시 이야기: 박목월, 나희덕, 함민복, 김준철, 정수자 > AMERICA 이민문학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AMERICA 이민문학


 

시 이야기: 박목월, 나희덕, 함민복, 김준철, 정수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harvard 댓글 0건 조회 4,145회 작성일 10-09-26 21:15

본문

*** 111

송화(松花) 가루 날리는
외딴 봉우리

윤사월 해 길다
꾀꼬리 울면

산지기 외딴 집
눈 먼 처녀사

문설주에 귀 대고
엿듣고 있다

     박목월 (1916 - 1978) 「윤사월」 전문

너무 많은 것을 보고 듣고 사는 요즈음이다. 너무 많은 정보가 책에, 인터넷에, 메스컴에 쏟아져 나온다. 그러다보니 내 의사와는 상관없이 영원히 몰랐으면 더 좋았을 성싶은 일까지도 알게 된다. 
오늘은 산지기 외딴 집 눈 먼 처녀가 되고 싶다. 그리고 송홧가루 냄새가 묻어오는 바람에 얼굴을 맡기고 귀를 모으겠다. 시간이 느리게 간다. 윤사월 해 길다 꾀꼬리가 운다. 

*** 112

벌겋게 녹슬어 있는 철문을 보며 
나는 안심한다 
녹슬 수 있음에 대하여 
냄비 속에서 금새 곰팡이가 피어오르는 음식에 
나는 안심한다 
썩을 수 있음에 대하여 
썩을 수 있다는 것은 
아직 덜 썩었다는 얘기도 된다 
가장 지독한 부패는 썩지 않는 것 
부패는 
자기 한계에 대한 고백이다 
일종의 무릎 꿇음이다 
그러나 잠시도 녹슬지 못하고 
제대로 썩지도 못한 채 
안절부절, 
방부제를 삼키는 나여 
가장 안심이 안 되는 나여 

       나희덕 (1966 -   ) 「부패의 힘」 전문

한국의 정치가들은 부패를 폭로하고 비난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다소의 차이는 있을망정 부패하지 않은 정치가는 눈에 띠지 않는다. 남을 비난하기에 앞서 자기 자신의 부패한 모습을 들여다보는 거울을 하나씩 들고 다녔으면 좋겠다. 그래서 모두가 잘 발효된 음식, 잘 썩은 세상의 거름이 될 수 있으면 좋으련만.

*** 113

시 한편에 삼만 원이면
너무 박하다 싶다가도
쌀이 두말인데 생각하면
금방 마음이 따뜻한 밥이 되네.

시집 한권에 삼천 원이면
든 공에 비해 헐하다 싶다가도
국밥이 한 그릇인데
내 시집이 국밥 한 그릇만큼
사람들 가슴을 따뜻하게 데워줄 수 있을까
생각하면 아직 멀기만 하네.

시집이 한권 팔리면
내게 삼백 원이 돌아온다.
박리다 싶다가도
굵은 소금이 한 됫박인데 생각하면
푸른 바다처럼 상할 마음 하나 없네.

         함민복 (1962 -   ) 「긍정적인 밥」 전문

시인도 경제활동의 주체라는 사실을 이 사회는 도대체 알고나 있는 걸까. 시인도 펜과 종이가 있어야하고, 컴퓨터가 필요하고, 처자식을 먹여 살려야 한다는 걸 기억하는 일은 선비의 고귀함을 값싼 자본주의에 팔아넘기는 거라고 생각하는 걸까. 
그래도 함민복 시인의 시는 쌀이 되고, 국밥이 되고, 소금 한 됫박이 될 수 있어서 다행이다. 미국에서 한국어로 글을 쓰는 시인들은 돈을 받기는커녕 돈을 내는 경우도 많다. 출판 비용을 필자들이 나눠야만 책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 114

어디에도 문이 없기에
모두가 문이다

일상의 자물쇠를 달지 않은…
자신을 제외한
모두가 문이 된다

열리지 않기에
닫히지도 않는

벽은 허술한 자유다
 
  김준철 (1969 -   ) 「벽. 문」 전문

좁은 문이건, 넓은 문이건 하나밖에 없다면 사람들은 그 문을 통해 드나들 것이다. 그러나 만일 문이 없이 사방이 벽으로만 된 공간 속에 있다면 밖으로 나가기 위해 그 벽을 밀어보거나 넘거나 무너뜨릴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 벽으로 갇혀있다고, 고립돼 있다고, 더 이상 갈 곳이 없다고 느껴지는 바로 그 때, 세상의 벽은 모두가 문이 된다. 그래서 벽은 허술한 자유다.

*** 115

   시오리 달빛 끌고 워낭소리 두런두런 산 넘어 고개 넘어 오시는가, 오시는가

   아부지- 먼저 엉긴 생떼 같은 오라비 번쩍 안아 내리다가 손에 얼른 쥐어 주던 눈깔사탕 눈부셔서 순간 침이 가득 고여, 아부... 나 그만 얼어붙자 여동생 둘 덩달아 발묶여 돌아서니 운동장보다 넓은 마당 달빛만 출렁거려, 텅 빈 우리 손바닥엔 달빛만 가득 고여, 치마폭에 달빛 속에 눈물 묻은 눈깔사탕만 하릴없이 어룽거려, 이후에도 소 눈 같은 고것만 볼라치면

   벌겋게 목이 받치네
   아버지 나도! 나도!

        정수자 (1957 -   ) 「눈깔사탕」 전문 

   미국에 먼저 와 살고 있던 작은 누나가 캔디를 먹어보라고 꺼내주었다. 그리고 누나에게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캔디가 된 연유를 얘기해주었다. 
   육이오 사변 후에 미군이 지나갈라치면 아이들이 달려가 헤이 껌 어쩌구 하면서 손을 내밀곤 했다. 숫기가 없었던 어린 누나는 멀찌감치 떨어져서 그것을 바라볼 뿐이었다. 그런데 한 미군이 멀리 있는 누나를 불러 사탕 몇 개를 손에 쥐어주었다. 그 캔디는 그야말로 입안에서 살살 녹았다. 수십년이 지나서도 누나는 그 맛을 가진 캔디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었다. 
   나는 시대를 잘 만나서 뱃가죽이 등에 붙어본 적이 없다. 그래서 정말 맛있는 것이 무엇인지 내 혀와 배는 잘 모른다. 경험자들이 그것은 굶주림 후에 먹는 음식이라고 하는데 머리로만 수긍할 뿐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