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우리는 '디스크가 생겼습니다. 좌골 신경통입니다'하는 말을 듣습니다. 디스크는 척추뼈 사이에 있는 연골로 누구나 갖고 있습니다. 디스크가 제 자리에서 벗어나 주위 신경이나 척추를 누를 때 문제가 되고 디스크 자체가 파열되거나 퇴화되어도 허리통증을 일으킵니다. 엉덩이 뒤로 해서 다리 뒤로 나려가는 좌골 신경을 눌러주면 다리가 저리고 힘이 빠지게 됩니다. 그래서 좌골 신경통이라는 말들을 자주 합니다.하지만 디스크가 약간 위에서 자리를 벗어나면, 다리 옆이 아프거나, 져려오고 더 위에서 신경을 누르면 복부나 사타구니쪽으로 …
작성자Angel
작성일 20-09-06 03:37
조회 712
더보기
|
허리가 아파서, 어깨가 아파서 찾아 오시는 일반 환자분들에게서 자주 듣는 질문은 1) 스테로이드가 몸에 해롭다는데요, 일생에 3번 이상 맞을수 없다는 데요, 뼈주사이기에 뼈를 다 약하게 한다는데요? 하는 염려들입니다. 이런 걱정들은 한편 이해는 되지만 과학적인 근거는 빈약합니다. 왜냐하면, 얼마만큼의 항염 스테로이드를 어떻게 ,어느부위에 얼마나 자주 맞는가에 따라 치료 작용이나, 부작용이 다 다르기 때문입니다.우선 항염 스테로이드로 자주 쓰이는 데포메드롤, 케날록등은 40-80mg 이라는 일정한 양을 초과하지 않고 , 1주…
작성자Angel
작성일 20-09-06 03:34
조회 694
더보기
|
약물 주사 치료에 대해 많은 분들이 염려하고 궁금해하는 부작용들을 살펴 보겠습니다. 첫째, 주사로 인한 부작용은 두통, 염증, 출혈, 신경 손상, 국소통증부터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까지 여러 부작용이 있을 수 있지만, 경험이 많고 시설이 잘 된 곳에서 주사를 맞는다면 부작용을 1% 미만으로 낮출 수 있으며, 저희는 오랜 경험으로 큰 부작용이 없었습니다. 둘째, “스테로이드주사는 일생에 3번 이상 맞을 수 없고, 부작용이 크다.“ 라고 걱정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스테로이드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
작성자Angel
작성일 20-09-06 03:31
조회 760
더보기
|
만약 어느날 갑자기 여러분의 한쪽 어깨가 슬금슬금 그러나 점점 아프기 시작하면서 사진 1에서처럼 팔이 위로 안올라가기 시작한다면 오십견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별로 특별히 어깨를 다치거나 사고를 당한것도 아닌데 팔이 아프면서, 혹시나 싶어 사진 2에서처럼 팔을 뒤로 올려보니까 안아픈 팔은 멀쩡히 등뒤로 올라가는데 아픈팔은 엉덩이 쯤에서부터 아파서 도무지 더 위로 올릴수 없다면 오십견일 가능성은 더더욱 높아지게 된다.
이런 성가신 질병의 문제는 처음에는 단지 팔이 안올라가서 옷을 입고 벗기가 힘들거나 …
작성자방아풀
작성일 12-05-09 09:59
조회 3762
더보기
|
통증 하면 크게는 급성 통증과 만성 통증으로 나눈다. 급성 통증은 화상이나 외상으로 인한 상처 등의 순간적인 자극에 의한 통증으로 비교적 치료가 쉽고 회복이 빠른 편이다. 흔히 급성 통증을 ‘화재경보기’ 또는 ‘사이렌’으로 부르기도 한다. 통증으로 인해 더 심각한 상황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복막염이 생겨 갑자기 배가 아프다든가 뇌출혈로 머리가 몹시 아픈 경우에 급성 통증이 있으면 치료를 서두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만성 통증은 원인이 매우 다양하고 치료가 더 어려운 편이다. 주로 신경의 손상이나 압박으로 …
작성자harvard
작성일 11-04-16 15:06
조회 2904
더보기
|
며칠 전부터 김 모씨는 누워 잠을 청할 때면 양손이 저려 쉽게 잠에 들지 못하는 것은 물론, 겨우 잠이 든 후에도 새벽 즈음 저릿한 느낌에 깨어 고통을 호소하는 일이 잦아졌다. 쥐는 힘이 약해져 자꾸만 물건을 떨어뜨리는 경우도 많다. 하루 종일 쉴 새 없이 바쁘게 움직이는 손이 이상 신호를 보내온 것. 손을 많이 쓰는 일을 하는 이들은 물론이고 여성들과 청소년들에게까지 흔하게 나타나고 있는 손목터널증후군에 대해 자세히 살펴봤다.
손목터널증후군이란?손목터널증후군은 손으로 들어가는 신경이 손목에 있는 …
작성자yale
작성일 11-01-18 23:38
조회 2917
더보기
|
외상이 치료된 후에도 통증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만성통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일반적으로 조직이 손상된 지 3~6개월 후에 나타나며 외상이 치료되고 통증 유발 원인이 제거된 후에도 계속된다. 만성통증은 엄연한 질환임에도 이를 치료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1996년 미국통증학회와 미국통증의학연합회는 합동선언을 통해 “만성통증은 병의 증상이 아니라 신경계 질환이다”라고 정의했다. 즉 인체 신경계는 말초신경, 척수신경, 뇌신경으로 구성돼 있는데 작은 자극, 혹은 자극 없이도 통증이 생기는 비정상적인 통증이 …
작성자harvard
작성일 11-01-13 10:10
조회 2942
더보기
|
관절염 환자들은 겨울이 깊어갈수록 더해가는 통증 때문에 시름에 젖는다. 그러나 문제는 관절염이 더 이상 노년층만의 질병이 아니라는 것. 6세 어린아이부터 임산부, 심지어 20, 30대까지 그 고통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초기 발견과 예방이 어려운 까닭에 흔하면서도 어려운 질병으로 손꼽히는 관절염. 하지만 아무리 고치기 힘든 병이라 해도 방법은 있다. 관절염 극복 홈 케어 비법 대공개!Part 1 지긋지긋한 관절염 제대로 보자 숫자로 알아보는 관절 상식
우리 몸을 이루고 있는 약 2백여 개의 크고 …
작성자harvard
작성일 11-01-08 09:59
조회 3088
더보기
|
스키 손상과 안전 대책 하얀 슬로프 타고 아래로 내려오는 기분은 짱! 하지만 그 스릴만큼 부상 위험이 큰 것도 사실.. 올 겨울 스키 안전을 위한 꼼꼼 점검 대전략 스키손상의 원인은 세가지
* 날씨와 스키장 상황 특히 추운 날씨에 동상에 걸리지 않도록 모자, 장갑, 고글 등 체온 유지에 신경을 써야 하고, 스키를 타기에 눈의 질이 좋지 않으면 무리하게 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장비 장비는 스키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개선되어 왔으므로 최근 것을 사용하면 크게 무리는 없다. 다만 초보자의 경우 바인딩이 잘 …
작성자princeton
작성일 10-08-21 22:15
조회 2484
더보기
|
추간판(디스크)는 경추(목뼈) 1, 2번을 제외한 각 척추 뼈 사이에 있는데 팥고물이 든 찹쌀떡처럼 가운데는 약 80%정도가 물로 된 물렁물렁한 겔 타입의 수핵과 수핵을 감싸서 보호하는 섬유질의 섬유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추간판(디스크)는 스프링처럼 충격을 완화시키고 분산과 흡수를 통해 척추가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디스크는 전후 좌우로 튼튼한 인대 조직에 둘러싸여 있어서 좀처럼 밀려나오지 않는다. 그러나 일단 나쁜 자세나 사고 등 외부적인 자극이 가해져 척추 뼈가 제자리…
작성자뽕킴
작성일 10-08-18 23:42
조회 2668
더보기
|
진료를 하면서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가 "허리가 아프면 모두 디스크인가?" 라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그 대답은 "아니다" 이다.
일반적으로 요통의 가장 큰 원인은 잘못된 습관에서 비롯된 근육 경직이고, 두 번째가 운동이나 외상으로 인한 근육 인대의 염증이다.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그 다음이 디스크, 협착증, 퇴행성 디스크 변성증, 척추 분리증, 척추 전방 전위증, 척추 압박 골절, 염증, 결핵, 종양 순이다.
허리가 왜 아파지게 될까? 간혹 환자 중에 디스크에 걸린 이유를 잘 모르겠다는 사람들이 있는데,…
작성자princeton
작성일 10-08-18 02:37
조회 2723
더보기
|
관절염은 60세 이상 노인에게 감기만큼 흔한 병이며 성인 6명 중 1명이 앓고 있는 질병이기도 하다. 관절염은 흔히 노인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 물론 ‘퇴행성관절염’은 노년층 발병비율이 높은 것도 사실. 하지만 넓게 보면 관절염은 어느 연령층에서나 생길 수 있는 질병이다. 또한 워낙 많은 부위에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염증의 정도나 그로 인한 후유증 역시 제각각이다. 흔히 관절연골이 닳아서 생기는 ‘퇴행성’관절염과 만성적 염증을 동반한 ‘류머티스’관절염이 대표적이다 . 퇴행성의 경우 초기에 가벼운 통증을 느끼거나 운동시 …
작성자princeton
작성일 10-07-30 22:21
조회 2520
더보기
|
★설거지나 조리할 때
1 최대한 싱크대나 조리대 가까이에 선다.
2 가능한 몸의 상체를 숙이지 말고 허리를 곧추세운 상태를 유지한다.
★채소를 다듬을 때
많은 주부들이 시금치나 파, 마늘 등을 다듬을 때 바닥에 신문지를 깔고 양반다리를 하고 앉아 일하는 경우가 많다. 이럴 경우 목을 많이 숙이게 되므로 목에 통증이 오는 것은 물론 무릎을 굽힌 자세이기 때문에 무릎 관절이 심하게 압박을 받게 된다. 아무리 적은 양의 채소라도 식탁과 의자 등을 이용해 편안히 앉아서 다듬는 습관이 필요하다.
★청소할 때 …
작성자princeton
작성일 10-07-30 20:01
조회 2969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