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주, 문징명과 그 추종자들 12/7/10
페이지 정보
작성자 뽕킴 댓글 0건 조회 7,887회 작성일 10-12-11 10:15
본문
중국회화사 18th hour : Study of the Ancients and the Formation of the Moral Personality 심주, 문징명과 그 추종자들
명나라의 정치적 배경
정화의 원정로 Zheng He (1371-1435) to the Western Ocean (1405-1435)
정화는 명나라 시대의 장군이자 환관이다. 영락제의 심복으로 영락제의 명령에 따라 남해에 일곱 차례의 대원정을 떠난 것으로 유명하다.
수저우 (소주), 장수성
명나라 중기 후기에 와서 수저우를 중심으로 하는 강남 귀족의 부류인 문인화가가 힘을 얻는다. 수저우는 주원장의 라이벌 장군의 근거지였기에 명왕조 초기에는 이 지역이 탄압을 받았다. 당시에 주원장은 화가를 궁궐로 불려들여 궁중화가로 양성하고 초기에는 절파 화가가 힘이 있었다. 문자의 옥이라 해서 어떤 문서에도 주원장을 가르키는 글자가 있으면 안 될 정도로 황제의 말 한마디로 좌지우지되는 분위기였는데 후기로 들어와 정치가 자리가 잡힌다.
'문자의 옥(文字之獄)'이란 주원장이 승려생활 때 머리를 깎은 것 때문에 '광(光)', '독(禿)'자를 쓰거나 '승(僧)'과 발음이 비슷한 '생(生)'을 쓰는 행위, 반란군 출신이란 의미의 '적(賊)'과 발음이 비슷한 '칙(則)'자를 쓰는 행위를 무조건 처벌한 것을 말한다. 어느날 황제의 은혜를 칭송하는 시를 짓는 절기가 있었는데 항주부학(抗州府學)의 교수 서일기(徐一夔)는 "빛이 가득한 천하에 하늘이 성인을 낳아 세상을 위해 법칙을 만들도다 (光天之下,天生聖人,爲世作則)"라는 상소문을 올렸는데 대머리의 '광(光)', 스님의 '생(生)', 도적을 나타내는 '칙(則)'이 함께 있었으니 죽음을 면하기 어려웠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당시 관료들은 매일 집을 나서며 가족과 작별 인사를 하고 살아서 집에 돌아가면 껴안고 살아 돌아온 것을 기뻐할 정도였다고 한다.
정난의 변을 통해 영락제가 즉위하고 수도가 난징에서 북경으로 천도한 후 수도가 수저우와 멀어지게 되어 탄압의 분위기에서 좀 자유로와지고, 중기 후기로 들어가 정치가 안정세에 들어가자 강남귀족이 힘을 얻는다. 직물 산업이 성한 수저우로 인해 명나라의 비단이 유명해지고 소주 지방에 거부가 생긴다. 또한 이 시기에 정화는 해외 원정을 나간다. 1492년 콜럼버스가 미국 대륙을 발견하기 80-90년 전에 이미 해외 원정을 7번 다녀오지만, 서양 중심의 역사 쓰기에서는 정화의 원정이 곁가지에 불과하게 취급된다.
명나라의 문화사적 배경
왕양명 Wang Yangmin 1472-1528, 왕학 (양명학)
왕양명은 유교 사상가이며 왕학 (양명학) 의 시조이다. 왕학은 주자학과 차이점이 있다. 주자학은 리와 본성을 중요시하며, 사물을 관찰함으로서 지식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경물치재의 이념인데 반하여, 왕학은 그 반대로 세상의 사물을 통해 앎에 도달함이 아니고 우리의 마음 속에 이미 옮고 그른 것이 들어있다는 치재경물의 이론을 내세운다. 따라서 세상과 격리되어 공부를 끝낸 후에 나오는 것이 아니라 세상에 살면서 윤리 도덕 사상을 실천함이 중요하다. 군신, 부모의 종적인 관계보다는 붕우, 인간관계 전반을 중요하게 여기며 위치에 따라 맺는 관계가 아니다. 주자학은 형이상학적 이념을 다룬 책인데 반해 양명학은 실생활의 윤리적 이야기를 다룬다. 양명학이 청나라에 와서 고증학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조선에서는 실학이라고 불린다. 명나라 때 서양학문, 천주교, 천문학이 중국에 소개되어 중국이 세상의 중심이라는 사상이 깨어진다.
양명학은 명에는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졌지만 성리학에 빠져 있었던 조선에서는 노론 서론의 당쟁의 이유를 제공했다. 일본이 왕학을 메이지유신에 ideology 의 틀로 쓰면서 양명학이라고 불렀다. 19세기 후반에 막부가 종을 치고 메이지 천왕이 다시 한번 국가의 중심이 되고 나누어져 있던 계급제도를 통털어 서민이라고 묶으면서 나라의 틀을 형성할 당시에 양명학을 이념으로 채택한다
명나라 시대에는 국자감에서 과거시험 준비를 하는 사람은 수만에 달했으나 매년 300-400 명만 과거에 합격한다. 문인화를 그리면서 시, 서예를 공부하다가 유학 교리 실현을 위해 과거 볼 생각을 하고 10년 만에 과거에 합격을 하는 백발이 성성한 사람들이 많았다. 강남의 상인 계층이 팽창됨에 따라 관직을 돈으로 매수하는 지역 유지도 생기고, 과거에 붙지 않아도 왕이 세금을 걷을 수 있는 작은 관직을 주기도 한다. 이런 세력이 권력 계층을 이루게 되고 강남지역에는 관직을 둘러싼 병폐가 생긴다.
명 4대 소설
서유기 Journey to the West 1590s, 오승은 Wu Chengen 1500-1582 금병매 Jin Ping Mei, The Plum in the Golden Vase, 소소생 Langling Xiaoxias Sheng
삼국지연의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나관중 Luo Guanhong 수호전 Water Margin, 시내암 Shi Naian
명나라의 4대 소설로 삼국지연의, 수호전, 서유기, 금병매를 꼽는다. 대중소설로서 best seller 급 소설이다. 서유기는 전 100회의 장편소설이다. 삼국지연의 삽화로서 조조가 유비를 초대해 매실을 안주로 천하에 영웅이라 할 만한 사람이 누가 있는지 대화하는 장면이다. 3세기에 진수 Chen Shou 가 쓴 삼국지 Record of Three Kingdom 를 기본으로 하여 14세기에 니관중이 문어체가 아닌 일상체로 삼국지연의를 쓴다. 수호전은 양산박 근처의 도적떼 이야기이다. 위의4대 대중소설은 도가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고 사람의 관계를 역동적으로 흥미있게 서술했으며 처세술을 강조하고 주자학의 군주 중심의 유교 교리 관계를 흐뜨려 놓는다.
명에 전파된 서양의 학문
곤여만국전도 A Map of the Myriad Countries of the World 1602 세계지도
명(明)나라에서 선교활동을 한 예수회 소속 이탈리아 신부 마테오 리치와 명나라 학자 이지조 (李之澡)가 함께 만들어 목판으로 찍어 펴낸 지도로서, 가로 533센티미터, 세로 170센티미터이며, 리치 지도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천주실의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마테오 리치 Matteo Ricci 1552-1610
천주실의는 마테오 리치(이마두)가 한문으로 저술한 천주교 교리서이며 강남의 귀족들에게 폭발적인 인기가 있었으며 천주교에 귀의하는 문인이 많았다. 이 책은 유교의 하늘 개념과 기독교의 하늘의 개념이 닿아 있으며 사람이 평등하다는 뉘앙스를 풍긴다. 예수회는 선교를 할 때 위에서 아래로 전파하는 전략으로 학식, 권력, 지위를 가진 자에게 먼저 접근하여 포교를 하면 아래 사람은 저절로 된다는 논리를 쓴다. 천주실의는 당대의 황제, 귀족, 문인 계층에서 부터 인기가 있었다.
탕약망 Johann Adam Schall von Bell 1591~1666
아담 샬은 독일의 예수회 선교사이자, 로마 가톨릭신부인데1622년 중국으로 건너와 서양의 과학을 명나라에 전했으며 벼슬을 받았다. 그는 천문·역학 등에 뛰어났기 때문에 역서의 개정, 대포 제조 등을 지도하였다. 청나라초기에 선교, 학문 등에서 활동하고 베이징 천문대장의 자리에까지 올랐으나, 1664년 중국 학자들의 모함으로 벼슬에서 물러났다. 한편 그는 1644년 병자호란 때 볼모로 잡혀와 있던 소현세자와 사귀면서 천문 지식과 천주교 교리를 전달해 주기도 하였다.
이시진 Li Shizhen 1518-1593, 본초강목 Compendium of Materia Medica 1596
명나라의 이시진이 지은 약초학의 연구서이며 서양의 책에서 약학의 틀을 모방했다. 중국 본초학 연구사상 가장 분량이 방대하고, 내용이 충실한 약학 저작이라고 평가 받는다. 약마다 이름을 주해하였으며, 명칭을 고증하고, 산지를 수록하고, 그때까지 있어온 문헌의 오류를 바로 잡았다. 약의 제조법과 민간에 떠도는 처방도 수집하여 책에 실었다.
천일각 Tianyi Chamber 1561 Tianyige, 범흥 Fanqin
소설 장르가 발달하고 양명학, 천주실의 등이 대중적으로 인기가 있어진다. 재력을 가진 강남의 부자들은 개인 서재를 가진다. 수저우의 범흥은 미미한 관직에서 물러난 문인으로서 권력을 행사하는 계층이었는데 7만권의 책을 가진 서재를 짓는다. 아편전쟁 때 영국이 희귀본을 다 가져가고 도굴을 당해 지금 2만권만 남아있다. 정원 complex 인 천일각 서재는 불이 나는 것을 두려워 하여 호수가 같이 붙어있다.
명나라의 예술적 배경
왕불 Wang Fu 1362-1416, Ink Bamboo 1401
명 중기의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지식과 독서가 대중화 된다. Ink Bamboo는 문인계급의 그림으로 세세하고 사실적 묘사를 했던 절파와도 다르고, 왕실 전문화가의 화조, 인물, 화려한 산수와도 다르다. 원시대의 왕몽과 황공망이 스승이 되며, 원 말기에 세한 삼우에 나타난 소재를 다시 그리며 왕불은 특히 묵으로 대나무를 그린다. 묵죽화가 문인화의 장르가 된다.
하창 Xia Chang 1388-1470, Bamboo in Wind
묵죽화가 문인들 사이에 인기가 있었던 이유는 서예능력이 묵죽화에 드러나기 때문이다. 시. 서, 화의 능력은 동일시되었으며 글인듯 대나무를 그리고, 그림인듯 시를 쓴다. 대나무 그림에는 잎과 몸통과 가지와 마디의 4가지가 꼭 있어야 한다. 문인들은 자신들의 장르와 그림 구사 능력이 절파와 궁중화가와 비교하여 다름을 나타내려 했다.
심주 Shen Zhou 1427-1509
심주는 오파, 오문화파 Wu School 의 창시자로 분류된다. 명대 초의 절파인 구영과 당인, 중, 말기의 오파인 심주와 문징명을 명 4대가로 부르기도 한다. 명말기에 동기창이 나타나면서 절파는 taste 가 낮은 그림이라고 멸시를 받는다. 절강파는 궁중화가, 전문화가 그룹이며 북종화로 분류되며, 오문파는 문인화로 남종화의 category 에 들어간다.
심주는 증고조 할아버지가 축척한 재산이 집안을 떠받치고 있는 수저우 지역의 부잣집 아들이다. 과거를 보지 않았지만 황제에게 세금 관장 지위를 받아 북경으로 떠나야 하는데, 아버지가 돌아가지자 홀어머니를 고향에 두고 떠날 수가 없어 관직의 꿈을 접는데 이 일로 인하여 그의 인품과 효성이 더욱 두드러진다. 집안에 물려받은 그림, 책의 collection 이 많으며, 시와 그림과 여행을 하면서 자유스럽고 유유자적한 삶을 산다. 심주는 여행을 다니면서 보는 것을 즉석에서 쓱쓱 그려 화첩으로 남긴다. 심주는 중점을 산수, 묵죽화에 두었지만 재미삼아 for fun 으로 바닷게, 고양이, 꽃 등도 그려본다.
삼국지 지도 오 촉 위
3-4 세기 삼국지 시대 위, 촉, 오나라가 있던 시절에 오나라는 수저우 (소주)를 중심으로 하는 저장성 지역을 차지하고 있었다. 삼국시대에 이어 서진, 동진의 근거지이기도 한 저장성 지역을 그 당시에는 ‘우’ 라고 불렀다. 후대 사람이 심주를 우 스쿨 Wu School(오파) 의 founder 로 묶는데, 우 스쿨이 생겨나는 곳이 바로 옛날의 오나라 지역이다. 저장성은 오나라 시절부터 문화 뿌리가 시작된 곳으로 소식, 남송 문인, 원4대가의 근거지이며 명시대에도 오파가 계보를 이어간다. 강남 지역은 독특한 방언인 ‘오어’ (우 language) 가 있으며 ‘우’ 자는 강남의 특수 문화를 반영하며 유구한 전통의 의미를 가진다.
곤극, 곤곡 Kunku Opera, A demonstration from The Peony Pavilion
원나라 때 희곡이 발달하고, 명나라 때 4대 소설이 쓰여지면서 내용이 쉽게 극으로 옮겨져 대중에게 파고 들고, 희곡 장르가 더욱 인기를 얻는다. 곤극의 중심지 역시 수저우 지역이다. 소주, 황주, 상하이 ‘우’지역은 entertainment 를 포함하여 Wu Cultural Heritage 를 지닌 곳이다. 모란정 The Peony Pavilion 은 모란꽃과 여자를 주제로 한 인기 episode 였다. 청나라 때 북경 중심의 경극 Beijing Opera 이 나타나면서 곤극은 없어진다.
심주 Shen Zhou, Poet on a Mount Top, album leaf mounted as a handscroll
도인이 홀로 경치를 보는 단백하고 단순한 그림으로 문인화, 강남산수에서 본 듯하다. 남송의 문인화가와 원4대가의 특징은 그림 안에 시, 서, 화에 능함이 함께 드러나는데, 이것은 우파의 특징이기도 하다. 우파의 시조격인 심주는 화첩으로 그림을 묶는다. 송나라 때는 궁중에서 화조화를 화첩으로 묶었는데, 명나라에서는 우파의 문인화 사이에 세한삼우, 묵죽화, 단백한 산수들을 묶는 화첩이 유행을 한다. 예쁘기만 한 꽃과 새 그림류는 낮은 taste 로 취급했다.
심주 Shen Zhou, 여산도 Lofty Mountain Lu 1467
세밀한 산수를 그린 원4대가와 화려한 산수를 그린 조맹부의 외손자 왕몽이 모델이며 심주의 산수는 산을 켭켭이 쌓아놓았다는 차이점이 있다. 남송 문인화의 세한삼우와 원4대가를 다 모사하고 합하여 받아들인다. 심주, 문징명의 작품집에는 ‘왕몽의 _____ 을 따라서’ 라는 제목을 가진 모사작도 있다.
문징명 Wen Zhengming 1497-1559, 졸정원 Humble Administrator’s Garden
심주의 제자인 문징명은 서예가, 시인이기도 하면서 우파의 계보를 이어가는데, 다양한 스타일을 실험한다. 문징명은 과거에 자꾸 떨어지며 북경에서 미미한 관직을 잠깐 하다가 낙향하여 수저우에 오니 심주도 있고 그림을 향유하는 부자들이 많아 수입이 쏠솔했다. 왕헌신 Wang Xiancheng 은 북경의 관료를 지내고 고향에 돌아와 정원의 설계를 문징명에게 맡기는데, 수저후에서 유명한 정원으로 졸정원이라 불린다. 왕헌신은 비단사업을 크게 하여 생계를 유지하며 비단이 장사 왕서방이 그에게서 유래한다.
문징명, 졸정원 Humble Administrator’s Garden
문징명이 그린 졸정원이다. 과거에 붙어 북경의 관료생활을 했지만 이제는 더 이상 정치를 할 일이 없는 왕헌신을 낙향문인이란 의미로 humble administrator 라고 이름했고, 실패한 정치가의 정원이란 뜻으로 졸정원이라 부른다. 문징명은 과거에도 붙지 못하고 한림원에서 편집하는 조그만 직책을 2-3년 하다가 회의를 느껴 수저우에 오니 그때 마침 왕헌신도 고향에 돌아와 있었다. 이처럼 장수성의 수저우(소주)는 낙향의 icon 이다.
문징명 Wen Zhengming, Garden of the Unsuccessful Politician 1551
정사를 돌볼 일도 없는 낙향문인이 한가한 시간에 시와 그림을 감상하며 소요하는 장소인 정원 그림은 인기가 있었다. 문인이 정원의 누각에서 친구와 차를 마시거나 멍하니 혼자 있는 그림이 많이 나타난다.
문징명, 품다도 Tasting Tea 1531
인내와 젊음의 상징인 편백나무 cypress 가 서 있고 실루엣처럼 아련한 산 밑으로 물이 흐르고 누각에서 문인이 차를 마신다. 원래는 차입을 쪄서 4각형의 차전을 만들어 마셨으나, 주원장 때 정책적으로 차문화에 변화가 온다. 당시에 차전이 금전의 역활을 했으며 밀수의 수원이 되므로 화폐의 통일을 꾀하기 위해 차전을 금지시키고 그때부터 차잎을 말리거나 가루로 만들어 마시게 되었다. 돈 벌일 없는 낙향 관료가 정원에서 차를 마시는 차문화가 품다도에서 문인화의 장르로 등장한다.
문징명 Wen Zhengming, Old Trees and Cold Pines 1594
아기자기하고 detail 한 스타일이 왕몽을 닮았으며, 심주보다는 화려하고 색채가 들어가 있어, 여기저기의 스타일을 혼합한 것으로 보인다. 심주는 우파를 시작했으며, 문징명이 팽창했다고 후대에서 평가된다.
Wen Zhengming, Living Aloft: Master Liu’s Retreat 1543
리휼린이 북경의 관리를 지내고 낙향하자 ‘이런 정원을 짓고 살라’는 의미로 친구인 문징명이 선물한 그림이다. 시내가 흐르고, 다리가 있고 담장과 나무가 있는 정원이 보인다. 편백나무 건너편의 누각에 문인이 허공을 바라본다. 산의 실루엣이 저너머에 보인다. 훌륭한 서체로 시나 쓰면서 사는 낙향문인의 유유자적한 이상적인 삶을 그린 그림이다. 누각이 높이 멀리 있어, 일본과 금나라가 어렷풋히 보여도 세상의 고통과 번뇌와 상관이 없이 사는 자세를 말한다. 누각, 정자가 그림의 주요 소재로 나타난다.
명대 이전의 문인화는 주자학 중심이었으므로 이성, 곽희의 산수화를 통해 거대한 산수 안에 인간을 점으로 표시하며 ‘이’ 에 도달하려는 노력이었다. 그러나 명나라의 문인화는 양명학적인 시대 분위기와 맛물려 현실 속의 자신의 생활을 그린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