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왕정 (1830-1848) 치하의 프랑스 미술: 사롱전 미술과 대중 미술 3/14/13
페이지 정보
작성자 Mint 댓글 0건 조회 4,571회 작성일 13-03-20 05:58
본문
19세기 유럽 북미 미술 10th hour: Visual Culture in France during the July Monarch (1830-1848)
7월 왕정 The July Monarch (1830-48)
1789년 프랑스 혁명이 일어나 왕정이 무너지고, 혁명 정부가 집권을 한다. 당시 무관인 나폴레온이 혁명에 가담하여 전쟁에서 공적을 세우자 1804년에 황제로 등극한다. 재위 말기에 나폴레온이 전쟁에서 참패를 하자 1815년에 부르봉 왕가의 루이 18세가 귀환하여 왕정이 복고된다. 이어서 무능한 챨스 10세가 등극하여, 1830년에 선거 결과를 조작하기 까지 한다. 드디어 불만이 폭발하여 시민 봉기가 일어나는데 이를 7월 혁명이라고 한다.
7월 혁명(1830년)으로 부르봉 왕가는 물러나고 오를레앙(Orléans: 부르봉 왕가의 방계) 왕가의 루이 필리프(Louis Philippe, 1773년~1850년)가 시민 왕으로 오른다. 당시 혁명 세력인 신흥 부르조아가 왕과 결탁하여 권력을 누리며, 노동자, 농민들의 생활은 여전히 비참했다. 마침내 18년 후 1848년에 프롤레타리아 중심의 과격한 2월 혁명이 일어난다.
부르봉 왕가 시절에는 언론에 대한 censorship이 심했지만, 부르조아 혁명 세력이 앉혀놓은 7월 왕정(1830-1848년)은 처음에는 언론에 관대했다. 대중 매체의 등장에 따라, 정치, 사회, 및 문화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커지면서, 정치 및 세태 풍자를 그리는 커리커쳐가 유행한다. 인신 공격 및 정치적 약점을 들추는 '황색 저널리즘'이 시작되며, 신문들이 하루 아침에 생기고 없어지고 한다.
Eugène Delacroix, Liberty Leading the People (July 28th 1830), 1830. Oil on Canvas


들라쿠루와,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사회 각층 대표들이 옷을 차려 입고 모였다. 1830년 7월 혁명이 터지는 순간이다. 머리를 질끈 동여맨 자유의 여신은 어딘지 촌스럽고 속된vulgar 모습이다. 부르봉 왕가가 금지시킨 혁명을 상징하는 삼색기가 등장한다. 선보다는 강렬한 색으로 감정을 고조시키는 낭만주의 스타일 그림이다.
Louis-Philippe Crepin, Allegorie du retour des Bourbons le 24 avril 1814
루이 필립페 크레핀, 부르봉 왕가의 귀환
루이 18세가 귀환을 축하하는 역사화를 그리라고 명한다. 여자로 의인화된 조국 프랑스가 거의 쓰러지려고 한다. 루이 18세가 가슴을 드러낸 품위있는 귀족 여인 '프랑스'를 끌어 올리고 있다. 이에 비해 들라쿠루와가 그린 자유의 여신은 일을 하다 나온 듯한 수수한 차림이다.
Victor Hugo (1802-1885), < Les Miserables 레미제라블 > 1862년
낭만주의Romanticism 작가 빅토르 위고는 7월 혁명에 영감을 받아 <레미제라블 Les Miserables> 을 집필한다. 엄마를 잃은 어린 로제트가 여인숙에서 일을 하는 child labor 및 프로레타리아들의 비참한 생활을 그린 소설이다. 19세기에는 부르조아 계급이 부상되고, 이들의 여가 활동을 위한 대중 문화가 발달한다. 이 시기에 베스트셀러 소설들이 많이 쓰여진다.
Achille Deveria (1800-1857), Portrait of Victor Hugo, Lithograph, 19C
인기 대중 작가 빅터 위고의 초상을 프린트로 만든다. 사람들은 이미지를 재생reproduction 시키는 판화를 신기해한다.
Bartell, Musie, painting, sculpture in 'Le Diabble a Paris' (vol.2), Book by George Sand, P.J, Stahi and Others, 1846

바르텔, 음악, 그림, 조각, 르 디아블 파리, 제 2권
파리의 만담이 실리는 <르 디아블 파리> 의 삽화로서 1830년 경의 프랑스 화단의 흐름을 보여준다. 앵그르가 활동하고 있었고, 들라쿠루와가 주목받는 화가가 된다(제리코는 32세에 죽는다). 물감통을 든 날씬한 남자 들라쿠루와는 색채주의자로 선은 이미 죽었다고 주장한다(line is myth). 늙고 뚱뚱한 앵그르는 들라쿠루와 그림에는 색만( only gray, nothing but gray) 있다고 말한다. 앵그르는 '라파엘이 만든 선을 더 발전시켰다(Line of Raphael... augmented by Mr. Ingres)' 는 평을 받는다. 한편 절충적인 입장을 취하는 호레이스 베르네Horace Vernet 는 인기가 있어서, 커미션을 많이 받아, 벽화를 열심히 그리고 있다.
Charles Baudelaire(1821-1867)
챨스 보들레르
시인 챨스 보들레르는 파리의 미술계에는 '윤곽을 강조하는 linearists, 색 중심의 colorists, 중간의 회색주의자doubters 가 공존한다' 고 당시의 흐름을 평했다.
Jean Auguste Dominique Ingres (1780-1867), Self-portrait 1804
앵그르, 자화상
앵그르는 나폴레온 시절에는 로마에서 주로 활동을 했지만, 정권이 바뀐 7월 왕정 시기에는 파리로 돌아와서 아카데미의 선생으로 신고전주의 그림을 가르친다. 19세기를 관통하는 주류 미술은 신고전주의 이지만, 변화를 추구하고 시대상을 반영하는 다른 미술 사조가 많이 생긴다. 낭만주의, 사실주의, 인상주의 등 새로운 아방가르드 미술이 19 세기 동안 꾸준히 나타난다.
Ingres, Portrait of Napoleon on His Imperial Throne 1806
앵그르, 왕좌에 앉은 나폴레온
나폴레온이 집권할 시기에 앵그르는 Prix de Rome(로마로 가는 상)을 받아 로마에 살고 있었다. 앵그르는 프랑스 정부에 대한 의무이행으로 나폴레온의 초상화를 그려서 보낸다. 붓질한 흔적이 없을 정도로 반들반들한 신고전주의 풍의 그림이다. 들라쿠루와를 위시한 젊은 작가들은 자크 루이 다비드 류의 신고전주의 그림에 식상하여 낭만주의에 관심을 가진다. 이 무렵 (1841년) 60여세의 앵그르는 파리의 아카데미로 돌아와서 신고전주의식 그림을 가르친다. 앵그르는그림의 기본인 드로잉과 명암을 중요시 여긴다.
Ingres, Portrait of Madame Riviere 1806 Oil on Canvas, Musee du Louvre
앵그르, 마담 리비에르의 초상
앵그르가 로마에 있을 때 이탈리아에 체류하는 프랑스 사업가의 부인의 초상을 그린다. 리비에르 마담의 린넨 드레스의 얇은 질감과는 대조적으로 오리엔탈 풍의 쇼올은 두꺼워보인다. 디테일에 치중하다 보니 목이 뚱뚱하고 팔이 너무 길어 비례가 맞지 않는다. 이 점을 놓칠리 없는 당시의 비평가들은 '앵그르의 그림은 흠잡을 데 없지만 비례가 조금 이상하다'라고 평한다. 르네상스 후기에 미켈란젤로의 구도를 너무 따른 나머지 인물의 자세가 변형되고 형태가 왜곡된 그림이 나오는데 이를 매너리즘 이라고 한다.
Jean Auguste Dominique Ingres (1780-1867), The Grand Odalisque, 1814, Oil on Canvas, 91 x 182 cm

앵그르, 그랜드 오달리스크
살롱에 내는 공식 출품작이다. 오토만 제국의 황제 술탄sultan을 시중드는 첩들이 기거하는 하렘의 방에 부채, 물담배 등 이국적인 도구가 등장하는 낭만주의 그림이다. 앵그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미인은 전통적인 비너스가 아니라 극동의 오달리스크 이다. 당대 비평가들은 '촉감을 불러 일으킬 정도의 아름다운 그림이지만 엉덩이와 허벅지가 너무 두꺼워 비례가 맞지 않다' 고 지적했다.
프랑스는 오토만 제국의 Assyria 에 식민지를 만들고, 지배력 강화의 일환으로 문화발굴 작업을 한다. 문화재를 프랑스로 가져와 1847년에 루브르에 앗시리아 미술관을 만든다. 극동의 신상들을 처음 보는 프랑스인들은 타자others 에 대한 관심 및 호기심이 생긴다. 제국주의의 영향으로 인해 오리엔탈리즘이 서양 미술에 등장한다.
Titian, Venus of Urbino 1532

티션, 우르비노의 비너스
르네상스 시대의 서양의 전통적 미인도 이다. 앵그르는 비너스의 비스듬히 누운(reclining) 포즈에 터키의 이국적인 풍물을 가미시킨다.
Jacques Louis David, Madame Recamier 1800, Louvre

자크 루이 다비드, 마담 레카미에
앵그르의 선생인 다비드의 신고전주의 풍의 그림이다. 15살의 소녀는 45세의 은행가 레카미에와 결혼한다. 레카미에는 소녀의 biological father 로서 유산을 물려주기 위하여 딸과 결혼한다. 이 그림이 나온 후에 이런 스타일의 day bed 를 레카미에 라고 부르기 시작한다.
Ingres, Vow of Louis XIII, 1824, Oil on Canvas / Raphael with Dosso Dossi, Madonna di Foligno:Sacra Conversazione 1511-12, Tempera Grassa on Canvas 308x198cm
앵그르, 루이 18세의 맹세 라파엘, 폴리그노의 마돈나
앵그르는 라파엘을 영감의 원천으로 삼아 루이 18세 초상을 그린다. 이미 제도권이 된 신고전주의 그림 이다. 1789년 이후 혁명 정부 및 나폴레온 시대에는 계몽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은 신고전주의 미술을 선호한다. 자크 루이 다비드는 신고전주의 풍으로 혁명 미술을 그린다. 부르봉 왕가(1815-1830년)가 귀환하자 나폴레온의 이름은 금기가 되고, 새롭게 떠오르는 낭만주의 미술을 선호하는 분위기로 바뀐다. 그러나 7월 왕정(1830-48년)에서는 나폴레온을 그리워하게 되며, 신고전주의가 부활되어, 낭만주의 그림과 공존한다.
<Historical Work: Public Commission in Sculpture and Painting>
Unknown French, Modern View of the Gallery of Battles at Versailles,1837, Project by King Louis Phileppe
프랑스 정부는 프랑스가 겪은 전투 장면 그림을 화가에게 커미션을 주고, 완성된 그림 20개를 베르사이유 궁전에 전시한다. 7월 왕정의 루이 필립왕은 입헌군주제를 채택하고, 대중을 고려하여 공공 프로젝트를 활발히 진행한다.
Horace Vernet, The Revolution of 1830: Departure of King Louis-Philippe for the Paris Townhall 1832, Oil on Canvas 2.28x2.58cm
호레이스 베르네, 1830년 혁명: 루이 필립왕이 파리 시청을 향해 출발하다
루이 필립 왕이 나폴레온 이미지의 군복을 입고 파리 시청 앞에서 시민을 진정시킨다. 왕정 복고 시대에는 나폴레온에 대한 언급은 금기였지만, 7월 왕정은 나폴레온을 그리워 한다. 베르네는 무난하게 그림을 잘 그려서 커미션을 많이 받았다. 들라쿠루와처럼 색이 주가 되지도 않고, 앵그르처럼 비율이 이상하지도 않았기 때문이다.
Francois Rude, The Departure of the Volunteers of 1792, Arc de Triomphe, Paris, 1833-36
프랑소와 루드, 1792년 전쟁의 지원병의 출발, 개선문, 파리
7월 왕정 정부는 나폴레온이 끝 맺지 못 한 파리의 개선문을 완성한다. 나폴레온이 주도한 전쟁에서 죽은 프랑스 군인의 영혼을 기리는 현충탑이다.
Louis Tullius Joachim Visconti, Tomb of Napoleon 1840-61
비스콘티, 나폴레온 묘지
루이 필립왕이 대중의 인기를 얻기 위하여 나폴레온의 영혼을 위로하는 묘지를 짓는다. 프랑스 전사가 묻히는 곳으로 17세기 바로크 시대에 지었다.
James Pradier, 12 Victory Figures: The Italian Campaign,1853, Marble, Tomb of Napoleon at Les Invalides
나폴레온 묘지에 있는12명의 승리의 여신상 이다. 그리스 코레 같은 신고전주의 조각이다. 7월 왕정에는 낭만주의 미술이 그려지지만, 신고전주의 미술이 부활되어 함께 공존한다.
Hippolyte-Jean Fladrin, Christ's Entry into Jerusalem, 1842-44, fresco

프라드린, 예루살렘 입성
찬란했던 프랑스 문화는 카톨릭 교회와 연관이 있으므로 7월 왕정은 교회를 재정비 한다. 신고전주의의 엄정하고 고요한 그림이 벽화로 들어간다.
Eugene Delacroix, Pieta, 1844, Oil and Wax
들라쿠루와, 피에타 색채주의자 들라쿠루와는 윤곽과 상관없이 강렬한 색으로 표현주의적 그림을 그린다.
Pierre-Jean David d'Angers, Honore de Balzac, 1843, Bronze Medallion
문필가 발자크가 세상을 뜨자 정부가 브론즈 기념 메달을 만들라고 커미션을 준다. 19세기에 들어 산업 사회가 형성이 되고 대중이 즐기는 여가 leizure 개념이 생긴다. 많은 베스트 셀러 소설들이 이 시기에 쓰여진다.
Princess Marie d'Orleans Joan of Arc at Prayer, Exhibited on 1834, 41cm
프랑스 정부의 추천으로 쟌 다르크의 초상을 만든다.
7월 왕정 하의 대중 문화에 나타난 미술
Francois-Auguste Blard, Four O'clock at the Salon, 1847, Oil on Canvas, 57.5x67.5cm
블라드, 오후 4시의 사롱전
사롱전 오프닝 직전 4시에 화가들이 초읽기 작업을 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몰려오고 서로 밀려서 혼잡하기 그지 없다. 7월 왕정은 대중 유화 정책에 신경을 쓰고, 사롱전을 계기로 대중문화가 늘어난다.
Paul Delaroche, The Children of Edward IV in the Tower, 1831, Oil on Canvas, 1.81x2.15cm
프랑스 역사를 상기시키는 그림도 그려진다. 신고전주의 그림 이지만 고딕소설에 나올 법한 탑이 등장한다.
Eugene Delacriox, The Women of Algiers in the Apartment, 1834, Oil on Canvas 180x229cm

들라쿠루와, 아파트에 있는 알제리 여자들
이국적인 낭만주의 그림이다.
Jean Baptiste-Camille Corot 1796-1825, Hagar in the Wilderness, 1835 Oil on Canvas, 71 x 106.5 in.
카밀 코로, 사막에서 울부짓는 하갈
성경에 나오는 하가르와 아들 이스마엘이 사라에게 마움을 받고 사막으로 쫒겨난다. 물을 구하지 못해 울부짓는다. 역사화이지만 풍경이 압도를 한다. 코로는 야외 사생 스켓치(플랜느 에어 Pleine-Air: Outdoor landscape painting)를 시작한다. 근동지역의 이국적인 선인장, 보라색 하늘 등 특정한 한 시점을 그린다. 7월 왕정은 부유한 부르조아들의 비위를 맞추며, 카밀 코로는 부르조아들이 집에 걸기 좋은 낭만주의 풍의 그림을 그린다.
Jean Baptiste-Camille Corot, A Bridge at Narni, 1826, Paper on Canvas
카밀 코로, 나르니의 다리
밖에 나가서 사생을 하고 그린 플랜느 에어 Pleine-Air 이다. 붓 가는 대로 한 순간의 자연을 그린 수채화 이다. 앵그르가 그리는 신고전주의의 사실적인 그림과는 거리가 멀어진다.
Jean Baptiste-Camille Corot, Fishing with New, Evening 19th cent. Oil on Canvas
코로, 저녁 무렵의 낙시
- 이전글7월 왕정 (1830-1848) 치하의 프랑스 미술: 커리커쳐와 사진 3/14/13 13.03.22
- 다음글프랑스 왕정복고 시기 낭만주의 미술(1814-1830) 제리코 / 들라쿠루와 3/7/13 13.03.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