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은행, 상위 10% 대중적 부유층 공략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장미 댓글 0건 조회 403회 작성일 15-07-11 08:46
본문
부유층 범위 상위 1%에서 확대..논란 우려
미국 대형 은행들이 자산 규모로 상위 10%에 해당하는 부유층의 공략에 나서고 있다.
종전까지는 자산규모가 수백만 달러로 상위 1%에 해당하는 최상위 부유층에 시행했던 마케팅과 서비스를 자산 규모가 수십만 달러로 대중적 부유층(mass affluent)이라고 할 수 있는 상위 10%까지로 확대하고 있다.
JP모건은 지난해 기존 점포에 일정 규모 이상의 자산을 소유한 부유층 고객을 위한 프라이빗 뱅킹 서비스 장소 246곳을 만들었다. 올해는 750곳을 더 만들 계획이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지난해 일선 지점에 부유층 고객에 대한 서비스를 위해 600명의 금융 상담사를 배치했고 올해는 상담사 규모를 400명 더 늘릴 예정이다.
씨티그룹은 대표 지점이라고 할 수 있는 뉴욕 맨해튼의 유니언 스퀘어와 워싱턴 D.C. 포기보텀 지점에 부유층 고객이 이용할 수 있는 씨티골드 라운지를 설치한 데 이어 올해 씨티골드 상담사 50여 명을 각 지점에 배치할 계획이다. 씨티그룹은 씨티골드 상담사를 200명까지 증원할 생각이다.
컨설팅 기업인 매킨지 출신으로 금융 컨설팅 업체를 운영하는 찰스 웬델은 은행들이 1%대 99%로 나눴던 고객 분류를 10%대로 90%로 바꿨다고 보면 된다면서 "수십만 명보다는 수백만 명의 고객을 공략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뉴욕타임스(NYT)는 11일(현지시간) 은행이 상위 10% 고객의 공략에 나서는 것은 수표 관련 계좌나 저축 때문에 지역 은행을 이용했던 대중적 부유층들에게 뮤추얼펀드, 주식, 퇴직 상담 등 이윤이 많은 상품을 팔기 위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부유층 고객들은 일반 고객의 2배 가까운 수익을 은행에 가져다준다고 NYT는 전했다.
감독 당국의 규제도 은행들의 전략 변화를 유발했다.
미국 금융감독 당국은 직불카드와 유사한 데빗카드 등에 과도한 수수료를 부과하지 못하도록 규제하고 있어 은행은 줄어든 이윤을 다른 곳에서 보완해야만 한다.
NYT는 하지만 은행 수수료에 대한 일반 고객들의 불만이 가라앉지 않고 있으며 소득 불평등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특별한 서비스의 대상을 확대한 은행의 전략이 미묘한 논쟁을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출신으로 보스턴대학에서 은행 관련 강의를 하는 마크 윌리엄스 교수는 "전통적인 은행 모델이 무너지고 있다"면서 "은행에 큰 이윤을 줄 수 없는 고객들이 이전과 같은 대접을 받으려면 다른 곳을 찾아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