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들은 몰려다니지 않는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베이질 댓글 0건 조회 853회 작성일 11-07-22 22:50
본문
부자가 부자인 이유는 외로운 늑대처럼 홀로 다니기 때문이고 가난한 사람이 계속 가난한 이유는 무리 지어 다니는 양떼이기 때문이라는 글을 읽은적이 있다.
이를 뒷바침하듯 부자들의 돈벌이는 기본적으로 혼자하는 매우 개인적인 작업이 많다. 많은 소수의 투자들이 주식시장의 불황에 뒷걸음 칠때 부자들은 유유히 주식시장으로 걸어들어가는 것을 본다.
투자에서 성공하려면 가끔은 논리를 떠나 항상 소수편에 서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무리짓게하는 가난한 본능은 소수편에 서는 것을 늘 방해한다.
사실 투자로 부자가 되는 길은 매우 간단하다. 싸게 사서 비싸게 되파는 것을 잘 하는 것이라는 것을 투자자라면 누구나 알고있는 사실이지만 알면서도 잘 지켜지지앟는 잘못된 투자습관은 마치 잘 고쳐지지않는 고질병 같다.
이를 뒷바침하듯 부자들의 돈벌이는 기본적으로 혼자하는 매우 개인적인 작업이 많다. 많은 소수의 투자들이 주식시장의 불황에 뒷걸음 칠때 부자들은 유유히 주식시장으로 걸어들어가는 것을 본다.
투자에서 성공하려면 가끔은 논리를 떠나 항상 소수편에 서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무리짓게하는 가난한 본능은 소수편에 서는 것을 늘 방해한다.
사실 투자로 부자가 되는 길은 매우 간단하다. 싸게 사서 비싸게 되파는 것을 잘 하는 것이라는 것을 투자자라면 누구나 알고있는 사실이지만 알면서도 잘 지켜지지앟는 잘못된 투자습관은 마치 잘 고쳐지지않는 고질병 같다.
먼저 투자에 관해 자신감이 지나쳐 무모해지는 유형이 있다. 돈은 곧 힘이라고 보는 시각때문에 조급해져버리는 것이다. 쉬지않고 사고 팔기를 남용함으로써 쓸데없이 각종 비용과 세금으로 뒤로 새는 돈이 많아지는 것이다.
치료법은 일단 매매를 참아보는 것이고 아니면 그나마 수수료가 좀 더 싼곳을 찾아보는 것도 좋다. 두번째 유형은 성공은 내탓 실패는 남의 탓이라고 생각하며 투자를 하는 형이다.
조금 안된다 싶으며 투자회사를 수시로 바꾸며 사고 팔기를 반복한다. 평소 성격이나 스타일과는 전혀 다르게 투자를 할 때는 자기 도취에 빠지는 경우가 흔하다. 한두차례 성공했다가도 장기적으로는 반드시 실패하는 투자자의 유형이기도 하다.
치료법은 가장 쉬우면서도 어렵다. 조력자를 믿을 수 있을 때까지 투자를 안하는게 그나마 손해를 줄일수 있는 길이다.
세번째는 지나번 투자 실패에 대해 지나치게 집작하며 하염없이 언젠가 오르겠지라는 턱없는 희망을 갖고 기다리는 유형이다. 모든 투자마다 성공을 거둘 수는 없으므로 실패했을 때 손해를 최소화하는 결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런 유형의 투자자는 믿을만한 전문가의 조언에 따르고 또 절매 하한선을 정해놓고 무조건 지키는는 결단력이 필요하다.
네번째 유형은 간이 작아 여러 곳에 투자는 엄두도 못낸다는 투자 공포증이 있는 사람들이 있다. 좋게 말하면 안전성에 가장 중점을 두는 것이지만 이런 사람들조차 돈을 은행에만 맡겨두지는 않는다. 자신이 가장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투자처에 모두 몰아서 묻어놓는 경우가 많은데 문제는 수익성은 차치하고 대단히 리스크가 클 수밖에 없다.
시장을 겁내는 투자자들이라면 안전한 분산투자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인간의 두뇌는 경험을 단순하게 받아들인다고 한다. 고통 아니면 즐거움으로만 기억한다. 그래서 즐거운 경험은 반복하려하고 고통스런 경험은 피하려한다.
고통은 피하고 즐거음은 따르려하는 쾌락 본능인셈이다. 그래서 대다수가 저축보다 소비를 좋아하고 절약보다 낭비를 즐긴다. 투자습관은 하룻밤에 이루어지지않는다. 끓임없는 노력과 자기절제 그리고 인내는 성공적인 투자자가 되기위한 필수과목일수 밖에 없다.
치료법은 일단 매매를 참아보는 것이고 아니면 그나마 수수료가 좀 더 싼곳을 찾아보는 것도 좋다. 두번째 유형은 성공은 내탓 실패는 남의 탓이라고 생각하며 투자를 하는 형이다.
조금 안된다 싶으며 투자회사를 수시로 바꾸며 사고 팔기를 반복한다. 평소 성격이나 스타일과는 전혀 다르게 투자를 할 때는 자기 도취에 빠지는 경우가 흔하다. 한두차례 성공했다가도 장기적으로는 반드시 실패하는 투자자의 유형이기도 하다.
치료법은 가장 쉬우면서도 어렵다. 조력자를 믿을 수 있을 때까지 투자를 안하는게 그나마 손해를 줄일수 있는 길이다.
세번째는 지나번 투자 실패에 대해 지나치게 집작하며 하염없이 언젠가 오르겠지라는 턱없는 희망을 갖고 기다리는 유형이다. 모든 투자마다 성공을 거둘 수는 없으므로 실패했을 때 손해를 최소화하는 결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런 유형의 투자자는 믿을만한 전문가의 조언에 따르고 또 절매 하한선을 정해놓고 무조건 지키는는 결단력이 필요하다.
네번째 유형은 간이 작아 여러 곳에 투자는 엄두도 못낸다는 투자 공포증이 있는 사람들이 있다. 좋게 말하면 안전성에 가장 중점을 두는 것이지만 이런 사람들조차 돈을 은행에만 맡겨두지는 않는다. 자신이 가장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투자처에 모두 몰아서 묻어놓는 경우가 많은데 문제는 수익성은 차치하고 대단히 리스크가 클 수밖에 없다.
시장을 겁내는 투자자들이라면 안전한 분산투자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인간의 두뇌는 경험을 단순하게 받아들인다고 한다. 고통 아니면 즐거움으로만 기억한다. 그래서 즐거운 경험은 반복하려하고 고통스런 경험은 피하려한다.
고통은 피하고 즐거음은 따르려하는 쾌락 본능인셈이다. 그래서 대다수가 저축보다 소비를 좋아하고 절약보다 낭비를 즐긴다. 투자습관은 하룻밤에 이루어지지않는다. 끓임없는 노력과 자기절제 그리고 인내는 성공적인 투자자가 되기위한 필수과목일수 밖에 없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