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라도 먼저 복리의 마법을 걸어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뽕킴 댓글 0건 조회 952회 작성일 11-04-30 15:33
본문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무엇을 잘 활용해야 할까? 바로 시간이다. 시간은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주어지기 때문에 이 시간을 잘 활용하는 사람이 결국 부와 행복을 얻을 수 있다. 시간은 두가지 의미를 갖고 있다. 하나는 시기, 즉 타이밍이고 다른 하나는 기간, 즉 저축 시간이다. 여기에는 평범하지만 중요한 자산관리원칙이 내포돼 있다 "가능한 한 일찍 재테크를 시작하라"는 메시지다.
예를 들어보자. 철수와 영희는 고교 단짝 친구다. 철수는 대학에 진학해 27세에 졸업하고 취업한다. 반면 영희는 19세 때 고교 졸업 직후 취직한다. 영희는 입사 첫달부터 월급에서 50만원씩 10년 만기 적금을 든다. 10년 동안 영희가 총 저축한 원금은 6000만원. 이에 반해 철수는 29세부터 60세까지 32년 동안 매월 50만원씩 저축한다. 철수가 총 저축한 원금은 1억9200만원. 만약 두사람이 연 10% 복리로 굴린다고 가정할 경우 60세 시점에서 누가 더 많은 돈을 모을까?
정답은 영희가 철수보다 훨씬 더 많은 돈을 모을 수 있다는 것이다. 만기 시점에 철수는 약 10억원, 영희는 약 13억원을 쥐게 된다. 차액은 자그마치 3억원. 철수는 영희보다 무려 50만원을 22년간 더 모았고 원금 기준으로도 1억3200만원을 더 저축했는데도 말이다. 왜 이러한 비상식적인 결과가 나올까?
바로 시간의 마술을 부리는, 다시 말해 이자에 이자가 붙는 복리효과 때문이다. 이에 반해 단리는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가 붙는다. 똑같은 1000만원을 단리 10%로 운용한다고 가정할 경우 원금의 2배가 되는 2000만원이 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10년이다. 반면 복리 10%로 운용한다면 7.2년밖에 걸리지 않는다. 무려 3.8년이나 단축된다.
영희의 경우 10% 복리로 운용할 경우 6000만원은 7.2년이 지난 35세에 1억2000만원, 42세에 2억4000만원, 그리고 48세가 되면 4억8000만원으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그렇다면 복리효과를 최대화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첫째, 금융상품을 고를 때 복리효과가 있는 상품을 골라야 한다. 복리는 연복리, 월복리 등 금융상품에 따라 다양하기 때문에 가급적 복리효과가 큰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둘째, 장기간 운용해야 복리효과를 최대한 올릴 수 있다. 장기간 운용하기 위해서 반드시 해야 할 일은 재테크를 하루라도 일찍 시작하는 수밖에 없다. 비행기가 이륙하려면 최소한 시속 250~300km의 속력이 필요하다고 한다. 그리고 이 속도를 내기 위해 3km 이상의 활주로가 필요하다. 재테크 방법도 이와 별반 다르지 않다. 처음에는 끈기와 시간투자가 필요하다. 첫 시작부터 우리가 원하는 속도 즉, 수익률을 얻을 수는 없다.
셋째, 중도에 이자를 찾거나 중도에 원리금을 찾아 써버리면 복리효과는 물거품이 된다. 행복한 부자가 되는 데 왕도는 없다. 저축하는 목표를 분명히 하고 끈기 있게 실행해 나가는 방법밖에 없다. 수입이 제한돼 있는 상황에서 매월 저축할 수 있는 금액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작은 금액으로 큰 목돈을 만들기 위해서는 지금부터라도 장기간, 그리고 복리로 운용되는 금융상품이나 투자상품을 활용하는 길만이 행복한 부자로 가는 최상의 방책일 것이다.
예를 들어보자. 철수와 영희는 고교 단짝 친구다. 철수는 대학에 진학해 27세에 졸업하고 취업한다. 반면 영희는 19세 때 고교 졸업 직후 취직한다. 영희는 입사 첫달부터 월급에서 50만원씩 10년 만기 적금을 든다. 10년 동안 영희가 총 저축한 원금은 6000만원. 이에 반해 철수는 29세부터 60세까지 32년 동안 매월 50만원씩 저축한다. 철수가 총 저축한 원금은 1억9200만원. 만약 두사람이 연 10% 복리로 굴린다고 가정할 경우 60세 시점에서 누가 더 많은 돈을 모을까?
정답은 영희가 철수보다 훨씬 더 많은 돈을 모을 수 있다는 것이다. 만기 시점에 철수는 약 10억원, 영희는 약 13억원을 쥐게 된다. 차액은 자그마치 3억원. 철수는 영희보다 무려 50만원을 22년간 더 모았고 원금 기준으로도 1억3200만원을 더 저축했는데도 말이다. 왜 이러한 비상식적인 결과가 나올까?
바로 시간의 마술을 부리는, 다시 말해 이자에 이자가 붙는 복리효과 때문이다. 이에 반해 단리는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가 붙는다. 똑같은 1000만원을 단리 10%로 운용한다고 가정할 경우 원금의 2배가 되는 2000만원이 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10년이다. 반면 복리 10%로 운용한다면 7.2년밖에 걸리지 않는다. 무려 3.8년이나 단축된다.
영희의 경우 10% 복리로 운용할 경우 6000만원은 7.2년이 지난 35세에 1억2000만원, 42세에 2억4000만원, 그리고 48세가 되면 4억8000만원으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그렇다면 복리효과를 최대화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첫째, 금융상품을 고를 때 복리효과가 있는 상품을 골라야 한다. 복리는 연복리, 월복리 등 금융상품에 따라 다양하기 때문에 가급적 복리효과가 큰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둘째, 장기간 운용해야 복리효과를 최대한 올릴 수 있다. 장기간 운용하기 위해서 반드시 해야 할 일은 재테크를 하루라도 일찍 시작하는 수밖에 없다. 비행기가 이륙하려면 최소한 시속 250~300km의 속력이 필요하다고 한다. 그리고 이 속도를 내기 위해 3km 이상의 활주로가 필요하다. 재테크 방법도 이와 별반 다르지 않다. 처음에는 끈기와 시간투자가 필요하다. 첫 시작부터 우리가 원하는 속도 즉, 수익률을 얻을 수는 없다.
셋째, 중도에 이자를 찾거나 중도에 원리금을 찾아 써버리면 복리효과는 물거품이 된다. 행복한 부자가 되는 데 왕도는 없다. 저축하는 목표를 분명히 하고 끈기 있게 실행해 나가는 방법밖에 없다. 수입이 제한돼 있는 상황에서 매월 저축할 수 있는 금액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작은 금액으로 큰 목돈을 만들기 위해서는 지금부터라도 장기간, 그리고 복리로 운용되는 금융상품이나 투자상품을 활용하는 길만이 행복한 부자로 가는 최상의 방책일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