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기가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 우리집주치의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우리집주치의


 

알러지과 알레르기가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yale 댓글 0건 조회 2,990회 작성일 10-09-06 22:35

본문

▣ 알레르기란 어떤 질환인가?

흔히, 알레르기라는 말은 많이 듣지만 그 정확한 의미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알레르기(Allergy)란 그리스어인 「allos」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변형된 것」을 의미하며, 1906년 프랑스 학자 폰 피케르가 처음으로 알레르기란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는 보통 대부분의 사람에게서는 아무런 문제도 일으키지 않는 물질이 어떤 사람에게만 두드러기, 비염, 천식 등 이상과민반응(Hyper-sensitivity reaction)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알레르기도 우리 몸 속에서 일어나는 면역반응의 한 종류지만 몸에 유해한 반응을 말하며 요즘 들어서는 과민성이란 의미로 사용된다.

알레르기 질환은 봄철에 주로 발생하는 계절형과 1년 내내 증상이 나타나는 만성형 알레르기질환으로 나누며 계절형이 해마다 계속되면 만성형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레르기 질환은 봄철에 유행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우리 나라에서는 집먼지 진드기에 의한 알레르기 질환이 사시사철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 알레르기가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주된 증가요인은 실내생활의 증가, 실내흡연, 매연, 자동차 배기가스 증가, 신소재의 개발, 외국으로부터 이물질 유입 등과 같은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급증이다. 이 같은 환경의 변화가 유전적 요인(11번째 염색체 이상 등)과 함께 우리 몸의 면역체계에 혼란을 가져오는 것이다.

이처럼, 알레르기의 발생이 증가하는 원인으로 대기오염과 원인 알레르겐에 대한 노출이 늘어나기 때문이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흥미로운 것은 환경위생의 발달로 병원체의 침입이 적어지고 우리의 면역 시스템이 병원체에 노출될 기회가 적어져서 병원체와 알레르겐을 잘 구별하지 못하는 것이 알레르기 질환이 증가하는 한 원인이라는 설이 있다. 이것을 입증하는 한가지 예로 기생충 감염이 많은 지역에서는 알레르기 질환이 적다는 것이다. 1999년 12월 15일자 동아일보의 기사에서도, 요즈음엔 젖먹이나 어린이의 감염질환의 감소가 주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어릴 적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알레르기 질환의 발생을 억제하는 Th1세포가 만들어지지만 그렇지 않으면 오히려 알레르기질환을 유발하는 Th2세포가 생성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자료: http://www.medcity.com

▶ 알레르기 유발물질(알레르겐)

알레르기의 원인물질은 유발 경로에 따라 공중항원, 음식항원, 접촉항원으로 나눌 수 있다.

o꽃가루 :나무, 잔디, 두드러기쑥 등

o곰팡이, 먼지, 집먼지진드기 

o절지동물 : 집먼지진드기, 새우, 게, 바퀴벌레 등

o동물 : 고양이, 개의 비듬과 털, 고양이 침, 쥐뇨 등

o음식물 : 바다가재, 우유, 달걀흰자, 옥수수, 복숭아, 초콜릿, 땅콩, 딸기, 건강식품, 

식품첨가물, 방부제, 식용색소 등

o물리적 : 찬 온도, 햇볕, 압박, 더위, 문지름, 방사선 등

o기타 : 니켈, 크롬, 금속, 고무, 가죽, 화장품, 향수, 세제, 액세서리, 페니실린주사, 혈관조영제 등

▣ 알레르기가 생기는 과정은 어떠한가?

알레르겐이 특이체질을 가진 사람을 자극한다. 

알레르겐의 침입에 대항하여 특수 항체(면역글로불린E = IgE)를 생산한다.

이 특수 항체는 비만세포(mast cell)란 세포표면에 붙어 있고 이 세포 안에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여러 가지 화학물질이 들어있는 데 대표적인 것으로 히스타민 이라는 것이 있다. 

알레르겐이 재차 침입하면 특수 항체와 결합하여 항원-항체 반응이 일어난다. 

이 과정에서 비만세포의 벽이 파괴되고 화학물질이 쏟아져 나온다. 

이 화학물질에 의해 천식, 비염, 두드러기 등 알레르기 질환이 발생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