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정신과 학습장애 - 읽기장애 (Reading Disorder)/산술장애 (Mathematics Disorder)/쓰기장애 (Disor…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세이지 댓글 0건 조회 4,216회 작성일 11-08-12 22:56
본문
읽기장애는 학습장애 중에 가장 흔히 나타나는 장애로 두 가지의 진단기준을 가지고 있다. 1) 읽기 부분 성취도가 연령, 학년, 그리고 지능지수가 예상하는 수준과 비교하여서 표준편차 2 또는 그 이상의 현저한 차이가 나고 있다. 시각, 청각 등 지각적 문제가 학습장애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경우에는 이로 인하여 나타나는 성취도 문제가 지각문제가 초래할 수 있는 수준을 훨씬 상회하여야 한다. 2) 이로 인하여 학업성취에 중대한 지장이 발생하며 일상생활에서 읽기능력을 요하는 일이나 과제물처리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읽기장애의 또 다른 중요 특징으로는 직접적인 관찰이 가능한 겉으로 드러나는 문제점들을 지적할 수 있다. 소리 내어서 문장이나 paragraph를 읽을 때 발음이 왜곡되어 나오거나, 단어를 다르게 읽거나, 또는 건너뛰기 또는 생략하기 등으로 나타나며, 침묵하고 읽을 때는 속도의 느림, 글의 이해도에서 잦은 실수 등이 나타난다.
|
산술장애의 중요한 특징은 산술능력의 성취도가 연령, 학년, 그리고 지능지수가 예상하는 수준과 표준편차 2 또는 그 이상의 현저한 차이가 나는 것을 말한다. 이로 인하여 학업성취에 중대한 지장이 발생하며 일상생활에서 산술능력을 요하는 일이나 과제물처리에서 중대한 지장이 발생한다. 시각, 청각 등 지각적 문제가 학습장애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경우에는 이로 인하여 나타나는 성취도 문제가 지각적 문제가 초래할 수 있는 수준을 훨씬 상회하여야 한다. 산술장애에는 흔히 다음 4 가지 각기 다른 기능상의 문제가 나타난다. |
|
|
쓰기장애는 쓰기 부분의 성취도가 연령, 학년, 그리고 지능지수가 예상하는 수준과 비교해서 표준편차 2 또는 그 이상의 현저한 차이가 나는 것을 말한다. 시각, 청각 등 지각적 문제가 학습장애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경우에는 이로 인하여 나타나는 성취도 문제가 지각문제가 초래할 수 있는 수준을 훨씬 상회하여야 한다. 이로 인하여 학업성취에 중대한 지장이 발생하며 일상생활에서 쓰기능력을 요하는 일이나 과제물처리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을 때 쓰기장애의 진단이 가능해진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문장이나 paragraph에서 문법, 맞춤법, 토씨, 그리고 paragraph의 미숙한 조직력, 그리고 필체가 지나치게 조악하여서 알아보기 어려운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철자미숙이나 필체의 조악함 그 자체만으로는 쓰기장애의 진단기준이 되지 못한다.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