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치병 치료에도 널리 활용되며 최근 각광받고 있는 제대혈
페이지 정보
작성자 harvard 댓글 0건 조회 1,582회 작성일 11-01-14 22:23
본문
제대혈(탯줄 혈액)은 인간을 탄생시키고 생명을 지켜주는 조혈모세포와 간엽줄기세포가 풍부해 생명의 보고라 일컬어진다. 난치병 치료에도 널리 활용되며 최근 각광받고 있는 제대혈의 채취 및 보관은 어떻게 이뤄질까.
최근 미국 골수혈액이식협회지에 실린 프랜시스 버터 박사의 논문에 따르면 인구통계학적으로 70세까지 조혈모세포를 이식받을 확률이 1/217까지 급증했다. 이는 요즘 들어 결혼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고령 임신이 증가한 데다 중금속, 화학약품 등 환경오염과 인스턴트 중심의 식습관 등으로 인해 난치병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으며 의학의 발달로 제대혈 조혈모세포 이식의 활용범위가 넓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 소아암, 백혈병 등 15세 이전의 소아들에게 많이 발병했던 난치병들이 중장년층에서도 자주 발생함에 따라 조혈모세포를 미리 확보할 수 있는 제대혈 보관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제대혈은 출산시 탯줄에서 채취된 후 조혈모세포와 간엽줄기세포로 분리해 영하 196℃의 냉동탱크에 보관되는데 이 역할을 담당하는 곳이 바로 제대혈은행이다. 이곳에 보관되었던 제대혈은 소아암, 재생불량성빈혈, 고셔병, 류머티스, 루푸스 등 각종 난치병 치료시 해동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환자에게 이식된다.
그렇다면 제대혈은 어떤 과정을 거쳐 환자에게 이식될까. 제대혈의 채취에서부터 운반, 검사·분리, 보관, 이식의 전 과정을 국내 최대의 제대혈은행인 메디포스트㈜ 셀트리(Celltree)의 사례를 통해 알아본다.
채취 오전 7시 50분, 인천의 한 병원에서 3.5kg의 건강한 아기의 탯줄에서 나온 제대혈을 주치의가 분만 직후 10분 내 채취한다. 이때 세균감염을 막기 위해 탯줄을 소독한다. 채취량은 147cc. 평균 채취량이 80~150cc임을 감안할 때 넉넉하게 채취된 편이다. 제대혈의 양이 많아야 혈액 내 조혈모세포 및 간엽줄기세포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충분한 양을 채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운반 오전 8시, 메디포스트㈜ 셀트리 전담수거팀이 채취된 제대혈을 전용 운송용기에 담아 본사 제대혈연구소로 향한다. 제대혈 전용 운송용기에는 섭씨 18~22℃를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항온팩과 T-SPY(온도추적장치)가 부착되어 있어 이동 도중 온도변화 여부를 면밀하게 관찰한다. 전국에서 채취된 제대혈은 24시간 이내에 모두 수거 완료돼 본사 제대혈 연구소로 보내진다.
검사·분리 오전 9시, 수거된 제대혈은 연구소 도착 즉시 무균실로 옮겨진다. 무균실에 들어가는 연구원들은 머리부터 발끝까지 무균복으로 갈아입은 후 손톱 정리부터 에어샤워까지 통과해야만 비로소 입장이 가능하다. 제대혈 접수 확인 후에는 라벨링 작업에 들어가는데 이 작업이 이루어지는 무균실 내부 청정구역(클린룸)은 보건복지부의 제대혈은행 표준업무 지침에 따라 항상 청정도 Class 10만 이하가 유지된다. 라벨링 작업이 끝나면 제대혈의 성분 분리를 위해 시약을 주입한다. 이어 오전 10시, 시약을 주입한 제대혈을 원심분리기에 넣고 적혈구, 혈소판 등을 분리해내면 최종적으로 냉동탱크에 보관할 조혈모세포가 얻어진다. 이와 함께 제대혈 중 일부를 채취해 향후 이식시 필요한 세포 수, 조직적합성항원(HLA), 세포 생존도, 각종 바이러스 검사 등 정밀검사를 실시한다. 이중 이식 가능한 유효 세포 수가 기준 이상 확보된 제대혈만 보관이 가능하다.
보관된 후 생명을 구할 치료제가 되는 조혈모세포와 간엽줄기세포가 분리과정 중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기술력의 핵심이다. 분리된 제대혈 중 일부는 제대혈 이식 시행 전 각종 정밀검사를 위해 별도로 보관하는 혈액인 자검체로 만들어져 영하 80℃의 전용 냉동보관기(Deep Freezer)에 보관된다.
보관 낮 12시, 이식에 필요한 유효 세포 수가 확보된 제대혈 조혈모세포(25㏄)는 메디포스트㈜가 실용신안을 획득한 캐니스터에 담겨 1시간 가량 프로그램 냉동(CRF)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세포가 정지 상태로 머무르는 영하 70℃로 천천히 온도가 떨어지게 된다. 오후 1시, 프로그램 냉동이 끝난 제대혈 조혈모세포가 영하 196℃의 냉동탱크에 보관된다. 현재 셀트리가 운영 중인 제대혈 냉동탱크는 총 51개로 한 개당 총 2천3백여 개의 유니트가 들어 있어 총 보관개수는 11만여 개가 넘는다.
이 같은 과정을 거쳐 보관된 제대혈의 조혈모세포와 간엽줄기세포는 세포 생존도를 최대한 높이면서 해동돼 백혈병, 소아암 등 난치병 환자에게 이식됨으로써 새 생명을 안겨주게 된다.
|
|
또 소아암, 백혈병 등 15세 이전의 소아들에게 많이 발병했던 난치병들이 중장년층에서도 자주 발생함에 따라 조혈모세포를 미리 확보할 수 있는 제대혈 보관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제대혈은 출산시 탯줄에서 채취된 후 조혈모세포와 간엽줄기세포로 분리해 영하 196℃의 냉동탱크에 보관되는데 이 역할을 담당하는 곳이 바로 제대혈은행이다. 이곳에 보관되었던 제대혈은 소아암, 재생불량성빈혈, 고셔병, 류머티스, 루푸스 등 각종 난치병 치료시 해동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환자에게 이식된다.
그렇다면 제대혈은 어떤 과정을 거쳐 환자에게 이식될까. 제대혈의 채취에서부터 운반, 검사·분리, 보관, 이식의 전 과정을 국내 최대의 제대혈은행인 메디포스트㈜ 셀트리(Celltree)의 사례를 통해 알아본다.
채취 오전 7시 50분, 인천의 한 병원에서 3.5kg의 건강한 아기의 탯줄에서 나온 제대혈을 주치의가 분만 직후 10분 내 채취한다. 이때 세균감염을 막기 위해 탯줄을 소독한다. 채취량은 147cc. 평균 채취량이 80~150cc임을 감안할 때 넉넉하게 채취된 편이다. 제대혈의 양이 많아야 혈액 내 조혈모세포 및 간엽줄기세포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충분한 양을 채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운반 오전 8시, 메디포스트㈜ 셀트리 전담수거팀이 채취된 제대혈을 전용 운송용기에 담아 본사 제대혈연구소로 향한다. 제대혈 전용 운송용기에는 섭씨 18~22℃를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항온팩과 T-SPY(온도추적장치)가 부착되어 있어 이동 도중 온도변화 여부를 면밀하게 관찰한다. 전국에서 채취된 제대혈은 24시간 이내에 모두 수거 완료돼 본사 제대혈 연구소로 보내진다.
검사·분리 오전 9시, 수거된 제대혈은 연구소 도착 즉시 무균실로 옮겨진다. 무균실에 들어가는 연구원들은 머리부터 발끝까지 무균복으로 갈아입은 후 손톱 정리부터 에어샤워까지 통과해야만 비로소 입장이 가능하다. 제대혈 접수 확인 후에는 라벨링 작업에 들어가는데 이 작업이 이루어지는 무균실 내부 청정구역(클린룸)은 보건복지부의 제대혈은행 표준업무 지침에 따라 항상 청정도 Class 10만 이하가 유지된다. 라벨링 작업이 끝나면 제대혈의 성분 분리를 위해 시약을 주입한다. 이어 오전 10시, 시약을 주입한 제대혈을 원심분리기에 넣고 적혈구, 혈소판 등을 분리해내면 최종적으로 냉동탱크에 보관할 조혈모세포가 얻어진다. 이와 함께 제대혈 중 일부를 채취해 향후 이식시 필요한 세포 수, 조직적합성항원(HLA), 세포 생존도, 각종 바이러스 검사 등 정밀검사를 실시한다. 이중 이식 가능한 유효 세포 수가 기준 이상 확보된 제대혈만 보관이 가능하다.
보관된 후 생명을 구할 치료제가 되는 조혈모세포와 간엽줄기세포가 분리과정 중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기술력의 핵심이다. 분리된 제대혈 중 일부는 제대혈 이식 시행 전 각종 정밀검사를 위해 별도로 보관하는 혈액인 자검체로 만들어져 영하 80℃의 전용 냉동보관기(Deep Freezer)에 보관된다.
보관 낮 12시, 이식에 필요한 유효 세포 수가 확보된 제대혈 조혈모세포(25㏄)는 메디포스트㈜가 실용신안을 획득한 캐니스터에 담겨 1시간 가량 프로그램 냉동(CRF)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세포가 정지 상태로 머무르는 영하 70℃로 천천히 온도가 떨어지게 된다. 오후 1시, 프로그램 냉동이 끝난 제대혈 조혈모세포가 영하 196℃의 냉동탱크에 보관된다. 현재 셀트리가 운영 중인 제대혈 냉동탱크는 총 51개로 한 개당 총 2천3백여 개의 유니트가 들어 있어 총 보관개수는 11만여 개가 넘는다.
이 같은 과정을 거쳐 보관된 제대혈의 조혈모세포와 간엽줄기세포는 세포 생존도를 최대한 높이면서 해동돼 백혈병, 소아암 등 난치병 환자에게 이식됨으로써 새 생명을 안겨주게 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