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서서 일하는 사람 vs. 앉아서 일하는 사람, 관절건강 지키려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장미 댓글 0건 조회 1,293회 작성일 15-06-19 00:49
본문
한 대학병원의 간호사로 근무하는 한미연(29)씨는 매일 서서 근무하기 때문에 젊은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간혹 무릎이 아프다. 미용사로 매일 빗을 들고 가위질을 하면서 일하는 미연씨의 어머니는 컨디션이 좋지 않은 날에는 손가락이 붓고 아픈 통증에 괴로움을 호소한다. 더불어 택시기사로 근무하는 미연씨의 아버지는 좁은 공간 안에서 오랫동안 앉아 있을 수 밖에 없는 근무환경 때문인지 몇 달 전 '퇴행성관절염'을 진단 받고 병원에서 치료 중에 있다.
◆ 관절과 척추 질환은 일상 생활의 자세 때문에 발병
사람의 신체에서 발병하는 모든 질환은 평소 그 사람의 일상 생활습관과 관련성이 크다. 그 중에서 특히 관절이나 척추 질환은 각자 직업별 특성에 따라 많이 취하는 자세가 그 발병 유무를 좌지우지 할 정도로 많은 영향을 받는다. 서서 일하는 사람과 앉아서 일하는 사람의 관절건강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 서서 일하는 젊은 여성들, 평소 꾸준한 운동으로 무릎 근력 키워야
서서 일하는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과반 수 이상이 무릎 통증을 호소하고 있다. 서서 일하는 백화점 판매사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4.6%는 근육통, 65.9%는 무릎 관절 질환, 58.4%는 요통, 디스크 질환에 시달리고 있다고 밝혀졌다(2010년).
특히 젊은 여성들의 경우에는 평소 운동 부족과 급격한 다이어트, 하이힐의 착용으로 무릎 연골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많아 '연골연화증'을 진단받는 경우가 많다. '연골연화증'은 무릎 뼈를 덮고 있는 연골이 탄력성을 잃어 물렁해지다가 결국에는 닳아 너덜너덜해지는 질환으로 제때에 치료 받지 않으면 이른 나이에 '관절염'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젊은 여성들의 경우에는 평소 운동 부족과 급격한 다이어트, 하이힐의 착용으로 무릎 연골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많아 '연골연화증'을 진단받는 경우가 많다. '연골연화증'은 무릎 뼈를 덮고 있는 연골이 탄력성을 잃어 물렁해지다가 결국에는 닳아 너덜너덜해지는 질환으로 제때에 치료 받지 않으면 이른 나이에 '관절염'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손 많이 쓰는 직업, 손가락 통증 시 손가락관절염과 함께 목 디스크 가능성 있어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퇴행성관절염'이라고 하면 무릎에서 발병한 것이라 생각하지만 주부, 프로그래머, 미용사, 작가로 일하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다른 사람들보다 손가락을 많이 움직이기 때문에 '손가락관절염'이 발병할 가능성이 많다.
손가락 관절염은 보통 관절을 찌르는 듯한 통증으로 발생하는데 저녁에 통증이 심해진다는 점에서 아침에 자고 일어났을 때 통증이 가장 심한 '류마티스관절염'과 구분된다. '손가락관절염'은 발병해도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말도 있지만 손을 쓰지 않고 생활하기는 거의 힘든 일상에서 막상 이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괴로운 질환일 수 밖에 없다. 심하면 손가락 마디가 구부러지거나 튀어나오는 관절 변형과 함께 스치기만 해도 심한 통증이 나타난다. 만약 목이 뻐근함과 동시에 손가락에 통증이 나타난다면 '목디스크'를 의심해 볼 필요도 있다.
손가락 관절염은 보통 관절을 찌르는 듯한 통증으로 발생하는데 저녁에 통증이 심해진다는 점에서 아침에 자고 일어났을 때 통증이 가장 심한 '류마티스관절염'과 구분된다. '손가락관절염'은 발병해도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말도 있지만 손을 쓰지 않고 생활하기는 거의 힘든 일상에서 막상 이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괴로운 질환일 수 밖에 없다. 심하면 손가락 마디가 구부러지거나 튀어나오는 관절 변형과 함께 스치기만 해도 심한 통증이 나타난다. 만약 목이 뻐근함과 동시에 손가락에 통증이 나타난다면 '목디스크'를 의심해 볼 필요도 있다.
◆ 앉아서 일하는 경우, 허리와 무릎 적신호
택시나 트럭 등 운전을 하는 직업으로 가진 사람들은 대부분이 만성 요통을 기본적으로 앓고 있고 다른 사람들보다 '무릎 퇴행성관절염'을 진단받는 나이도 이른 편이다. 하루 종일 허리를 세우고 무릎을 굽힌 자세로 오래 앉아 있는 자세는 척추와 무릎 근육을 긴장시키는 자세다. 이 자세로 하루 열 몇 시간씩의 운전을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무릎과 허리의 근육이 줄어들고 그만큼 우리 체중을 떠받칠 수 있는 힘이 약해진다. 이밖에 항상 앉아서 일하는 화이트칼라 종사자들도 긴장된 허리 근육을 풀어주기 위해서는 적어도 1~2시간에 한번씩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다.
◆ 평소 바른 자세 유지하고, 꾸준한 운동으로 근력 키워야
우리 몸의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은 액체와 고체의 중간 사이의 물렁물렁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관절 통증은 거의 대부분이 이 연골이 닳아 손상된 뼈가 주위 근육과 힘줄을 공격하여 생긴 염증으로 발생한다.
무엇보다도 평소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꾸준한 운동으로 근육을 만들어 외부에서 관절에 가하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튼튼마디한의원(수원점) 김종옥 원장(하이닥 소셜의학기자, 한의사)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