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전 우울증 메리지 블루 > 스트레스 줄이는법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스트레스 줄이는법


 

결혼 전 우울증 메리지 블루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장미 댓글 0건 조회 828회 작성일 15-07-04 08:18

본문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평생을 함께할 아름다운 미래를 꿈꾸기도 바쁜 예비 신랑 신부에게도 검은 그림자가 찾아올 때가 있다.

general_image

갑작스러운 환경의 변화, 결혼 준비 과정의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결혼 전 우울증을 겪는 이들이 늘어난 것. 이는 아마도 과거에 대한 아쉬움이나 결혼 이후의 미래에 대한 불안이 교차하기 때문이 아닐까? 결혼 전 스트레스로 인해 겪게 되는 우울증에 대한 전문가의 조언에 귀 기울여보자.

우울증이 나타나는 순간

우울증의 원인은 한 가지만으로는 말하기 어렵다. 개인적인 소인과 외부적인 스트레스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우울증이 발병하는 것이 보통. 따라서 우울증이 나타나는 순간을 특정 이유로 단정 지을 수는 없다.

다만 새로운 가족과의 의사소통, 생활 환경의 변화, 결혼 준비로 인한 스트레스 등과 같이 평소에 경험하기 힘든 순간에 처하게 된다면 우울증이 발생할 수 있는 위기에 놓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우울증이 생기는 경우는 흔하지 않고, 대부분은 이러한 상황에 잘 대처하고 넘어가기 마련이다. 그러나 과거에 우울증을 앓았던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취약할 수 있고, 우울증이 재발할 위험이 높으므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우울증의 판단 기준

우울증에 대한의학적인 기준은 주로 정신장애진단 통계 편람 기준(DSM-IV-TR)을 많이 활용한다. 그러나 임상에서는 우울증을 진단하기 위해 이러한 기준만을 적용하는 것은 아니고, 면담을 통해내담자 및 주변보호자들의 이야기를 듣고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진단을 내리는 것이 보통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내담자가 진단 체크리스트를 체크하거나 혹은 치료자가 체크하는 척도를 활용하는 것이 우울증 판단에 도움이 되는 경우도 있다.

정신장애진단 통계편람 기준(DSM-IV-TR)


-다음의 증상 중 5가지 이상이 2주 동안 나타났고, 예전과 기능 차이를 나타낸다면 우울증으로 분류한다.-

① 슬프거나 공허함을 느끼거나 타인에 의 한 관찰(예: 눈물을 글썽임)에 의해 거의 매일마다 하루종일 우울한 기분이 보임.

② 주관적 설명 또는 타인에 의 한 관찰로 하루 대부분의 활동에서 흥미가 현저하게 감소됨이 나타남.

③ 식이 조절을 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체중 감소 또는 증가가 나타남.

④ 거의 매일 불면 또는 과수면.

⑤ 정신운동 흥분 또는 지체(단순히 안절부절못하거나 느려진다는 주관적 느낌뿐 아니라 타인에 의해서도 관찰이 가능함).

⑥ 피로 또는 에너지 상실.

⑦ 단순한 자기 비난이나 아픈 데 대한 죄책이 아닌 무가치감 또는 과도하고 부적절한 죄책이 보임(망상적일 수도 있음).

⑧ 사고와 집중력의 감소, 결정 곤란을 보임(주관적 설명 또는 타인에 의해 관찰됨).

⑨ 죽음에 대한 반복적인 생각(죽음에 대한 공포가 아님), 구체적 계획이 없는 반복적인 자살 사고 또는 시도 나 자살을 자행하려는 구체적 계획

결혼 전 우울증, 메리지 블루

메리지 블루(Marrige Blue)는 일본의 '유이카와케이'라는 여류소설가의 베스트셀러 소설 제목에서 유래한 단어다. 결혼을 결정한 후 가정을 꾸리고 서로 다른 삶을 살아가는 두 친구에 대한 이야기로, 메리지 블루는 결혼을 결정한 이후 남녀가 겪는 심리적 불안을 의미한다. 특히 다가오는 결혼 이후의 미래에 대한 불안과 과거에 대한 아쉬움이 교차하기 때문에 심리적인 불안 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렇다고 병적으로 심각한 우울증이라고 단정짓지는 않고 조금 심한 불안정도로 이해하면 된다.

우울증 극복 방법

1) 약물 치료나 상담


치료자와 면담 및 심리 검사 후 우울증이 진단되고 치료의 필요성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우울증 치료에는 약물치료가 주로 사용되며, 항우울제를 복용하게 된다. 또 우울증은 재발이 잦으므로 충분한 기간 동안 치료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밖에도 면담치료, 인지 행동치료 등을 통해 왜곡된 사고를 교정하면 우울증 치료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

2) 스스로 극복할 수 있는 방법


① 자신이 힘들고 괴롭다는 사실을 혼자서만 앓지 말고 가족이나 친한 친구에게 자신의 마음 상태를 알리고 도움과 지지를받는 것이 중요하다.

② 주 3회로 하루에 30분 이상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이 우울증 극복에 도움이 된다. 운동을 하면 뇌에서 엔도르핀이라는 호르몬이 나와 기분을 좋게 만들어 준다.

③ 햇볕은 생체 리듬을 정상화해주어 우울증 극복에 도움이 된다.

④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여 호르몬을 생성해주는 영양소를 공급 받는다.

⑤ 자살 사고 등이 동반될 정도로 우울증이 심할 경우 반드시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하여 전문의의 도움을 받는다.

우울증에 좋은 음식

① 호두-호두에는 레시틴 성분과 칼슘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호두를 먹으면 뇌와 신경을 건강하게 만들어 준다.

② 우유, 바나나-우유와 바나나에는 신경 호르몬인 세로토닌을 생성하는 트립토판이 들어있다. 따라서 우유와 바나나를 먹으면 우울증이 생길 경우 부족해진 세로토닌을 보충해줄 수 있다.

③ 감자-감자는 비타민 C가 풍부하여 부신피질호르몬의 생성을 촉해 주어,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

④ 초콜릿-세로토닌을 자극하여 긴장감을 풀어주고 행복감을 느끼게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특정 음식만 먹는 것이 아니라, 골고루 음식을 섭취하고 균형잡힌 식습관을 가지는 것이다.

주변인의 대처자세

세상에 혼자라고 여기며 소외감을 느끼는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는 가장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가 보여주는 이해와 따뜻한 지지가 치료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의 말을 경청하고, 그들의 생각과 말을 수용하고 받아들이는 자세를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또 환자가 치료를 받을 경우 처방된 정신과적 치료계획을 지지하고 꾸준히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함병주 교수
현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신과 교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의학 박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