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궁에 빠진 中日..물리적 충돌 가능성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장미 댓글 0건 조회 991회 작성일 15-07-27 04:04
본문
中 해감선 댜오위다오 접근..日 진화 부심
중국이 일본의 댜오위다오(釣魚島·일본명 센카쿠 < 尖閣 > 열도) 국유화에 강력 반발하면서 중일 관계가 안갯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중국이 일본의 댜오위다오(釣魚島·일본명 센카쿠 < 尖閣 > 열도) 국유화에 강력 반발하면서 중일 관계가 안갯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중국은 10일 오후 일본이 댜오위다오 국유화를 결정하자 기다렸다는 듯 영해기선을 선포한 데 이어 11일에는 일본의 댜오위다오 매매계약 체결에 맞서 해감선(海監船·해양감시선) 2척을 댜오위다오 해역에 파견했다.


일본의 조치가 나올 때마다 즉각적인 대응에 나서는 형국이다.
현재로선 중국 해감선들이 댜오위다오에 어느 선까지 접근할지가 최대 관심거리다.
일단 해감선들이 중국 해양경찰 소속의 정부 선박이라는 점에서 막무가내로 댜오위다오로 돌진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그러나 중국 수뇌부가 일본의 댜오위다오 국유화에 총력 대응을 선언하고 내부적으로도 반일 감정이 극에 달한 점을 고려할 때 해감선들이 과거보다 '공세' 강도를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해감선과 일본 경비선 간 물리적 충돌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국면이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실제 양국 간 물리적 충돌이 일어날 경우 중일 관계가 최악의 상황으로 빠져들고, 미국의 중국 봉쇄정책과 맞물려 동북아시아 정세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중국의 강공책에 대해 일본은 `진화'에 애쓰는 모습이다. 일본 정부는 이날 외무성의 스기야마 신스케(杉山晋輔) 아시아대양주 국장을 베이징에 파견해 댜오위다오 국유화의 경위를 설명하고 이해를 구했다.
지난 2010년 9월 댜오위다오 해역에서 발생한 중국 어선과 일본 경비선 간 충돌 사태 이후 희토류 금수 등 중국의 경제 보복으로 백기를 든 경험을 한 일본으로서는 이번 사태의 파장을 최소화하는 과제를 안은 셈이다.
그러나 중국은 이미 일본 기업에 대한 경제 제재와 일본 제품의 통관검사 강화 등 대일 보복책 검토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국민의 반일 시위와 일본 상품 불매운동을 조장하거나 방관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다만 일각에서 거론되는 양국 간 무력충돌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중국에서 최근 인터넷 등에서 '해군을 동원해 댜오위다오를 점령해버리자'는 주장이 제기됐지만 인민해방군의 기관지 해방군보가 그건 지나친 생각이라며 군의 개입 가능성을 일축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는 안보환경의 불투명성이 증대하고 있다는 점을 들어 이례적으로 자위대에 경계감시 강화를 주문했다.
노다 총리는 이날 자위대 고급간부회의에 참석, "미사일 발사와 핵개발을 추진하는 북한, 군사력을 증강해 주변해역에서 활발한 활동을 계속하는 중국, 극동 지역에서 활동을 활발화하는 러시아 등 일본을 둘러싼 안전보장 환경이 전례 없이 불투명성을 증대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이같이 지시했다.
연합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