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방부 직원 60만명 이상 11일씩 무급휴가(종합)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장미 댓글 0건 조회 1,024회 작성일 15-07-28 02:39
본문
미국 국방부는 소속 민간인 직원 최소 60만명을 상대로 7월8일부터 개인마다 열하루씩 무급휴가를 시행한다고 14일(현지시간) 밝혔다.
연방 정부의 예산 자동 삭감, 이른바 시퀘스터에 따른 후속 조처다.
척 헤이글 국방장관은 이날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 소재 국방부 청사에서 이런 내용의 무급휴가 계획을 최종 발표했다.
무급휴가 일수는 애초 22일에서 14일로 줄어든 데 이어 다시 11일로 축소됐다.
이에 따라 민간 직원 80만명 가운데 최일선에서 일하거나 핵 전함을 유지·보수하는 핵심 인력 등 무급휴가가 면제된 국방부 민간인 직원이 대부분 올해 회계연도가 끝나는 9월 30일까지 매주 하루씩 무보수로 쉬게 된다.
외신들은 무급휴가 대상자가 최소 60만명에서 최대 68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헤이글 장관은 "정보를 다루거나 외국을 상대로 한 무기 판매 업무에 종사하는 직원들도 제외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결정은 아주 유감이다. 어려운 선택이지만 해야 하는 일"이라며 "정치권에 예산 삭감 및 재정 적자 해소와 관련한 협상에서 합의를 이끌어내 주기를 계속 압박하겠다"고 덧붙였다.
미국 국방부는 지난 3월 1일 발효한 시퀘스터로 인해 올해 회계연도에만 370억달러의 지출을 줄여야 한다.
이번 무급휴가를 통해 약 25억달러가 절감된다.
군 지도자들은 의회에 시퀘스터가 장기화하면 미군의 전투 및 대응 태세에 차질이 빚어질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다른 연방 정부 기관도 대부분 이미 직원 무급휴가를 시행 중이다.
앞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헤이글 장관 등은 무급휴가를 떠나야 하는 직원들과 고통을 분담한다는 차원에서 봉급 일부를 반납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연합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