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조울증
페이지 정보
작성자 ewha 댓글 0건 조회 2,011회 작성일 11-07-22 10:39
본문
소아 조울증은 소아 양극성 장애 라고도 불리우는 증상입니다. 지난 십년간 아동과 청소년들이 조울증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은 회수가 약 40배가 넘게 급증 한것으로 조사 되었습니다. 특히 과잉 행동장애 (ADHD)와 함께 동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ADHD환자의 증가로 더욱 많은 케이스가 감별되고 있습니다.
조울증을 가진 소아와 십대들은 극단적으로 기분이 들뜬 상태, 즉 조증과 기분이 가라앉은 상태, 즉 우울증을 교대로 또는 동시에 나타낼수 있습니다.
이 증상은 누구에게도 발생할 수 있지만 만약 부모 중 한쪽이나 양쪽이 조울증을 가지고 있다면 자녀가 이 질병을 가지게 될 가능성이 10%에서 20%까지 확률상 높아지게 됩니다. 가족의 약물이나 알콜중독 또한 소아 조울증 발병에 영향을 끼칠수 있습니다.
조울증은 조증이나 우울 증상중 한가지로 시작됩니다.
조울증을 가진 소아와 십대들은 극단적으로 기분이 들뜬 상태, 즉 조증과 기분이 가라앉은 상태, 즉 우울증을 교대로 또는 동시에 나타낼수 있습니다.
이 증상은 누구에게도 발생할 수 있지만 만약 부모 중 한쪽이나 양쪽이 조울증을 가지고 있다면 자녀가 이 질병을 가지게 될 가능성이 10%에서 20%까지 확률상 높아지게 됩니다. 가족의 약물이나 알콜중독 또한 소아 조울증 발병에 영향을 끼칠수 있습니다.
조울증은 조증이나 우울 증상중 한가지로 시작됩니다.
다음은 조증 증상의 일부 입니다.
•수면시간이 갑자기 적어집니다. 반면 피로해 하지 않고 에너지가 넘쳐나며 며칠동안 거의 잠을 안자는수도 있습니다.
•자신감이 비현실적으로 높아집니다. 망상적인 시각을 가지게 되면서 자신이 초능력을 가진 또는 영화의 주인공인 영웅 인것을 확신하는 태도를 보입니다.(예를 들어 높은 곳에서 뛰어 내려도 다치지 않는 다는 확신을 가지게 됩니다.
•말이 빨라지고 많아지게 됩니다. 대화의 주제가 계속 바뀌고 대화보다는 일방적인 말을 많이 하게 됩니다.
•기분 변화가 자주 있습니다. 상황과 맞지 않게 행복해하거나 웃는 모습, 또는 매우 짜증을 내거나, 화내는 것, 안절부절하거나 공격적인 모습을 나타냅니다.
•위험한 행동을 반복합니다.
다음은 우울 증상의 일부입니다.
•우울해 하며 계속적인 슬픈감정 또는 자주 우는 모습을 보입니다.
•죽음이나 자살을 생각합니다.
•두통과 복통등의 신체 증상을 자주 호소 합니다.
•힘이 없고, 항시 피곤하며, 집중력이 떨어지고, 따분함을 호소 합니다.
•수면시간이 늘어나고 과식이나 거식등, 식사와 수면에 변화가 옵니다.
•평소 좋아하는 활동에서 느끼던 즐거움을 못 느끼게 됩니다.
소아와 청소년은 조울증 감별진단이 참 까다로운 때 입니다. 이 때는 워낙 변화가 많은 성장기이고 과잉 행동장애와 여러가지 다른 문제들이 비슷한 증상을 보일수 있기 때문에 경험이 많은 전문인이 상당 기간 동안 주의 깊은 관찰과 철저한 평가를 통해 진단을 할수 있습니다.
과거는 물론 현재도 소아, 청소년 조울증은 ADHD, 품행장애, 정신분열증 등으로 오인돼 엉뚱한 치료를 받기도 합니다. ADHD와 혼동돼 중추 신경 자극제로 치료를 받으면 충동성, 공격성이 심해져서 기분 주기가 더 심하게 변하며 증상이 악화 될수도 있습니다.
반면 정확한 진단을 받은 조울증을 가진 아동과 십대들은 비교적 효과적으로 치료를 받을수 있습니다.
치료에는 약물치료, 환자및 보호자 교육, 그리고 심리치료가 병행이 되어야 하는데 이처럼 체계적이고 검증된 치료 선택은 증상을 줄여주고 가족과 자신이 질병을 보다 잘 이해하여 학업과 사회에 잘 적응할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습니다.
•수면시간이 갑자기 적어집니다. 반면 피로해 하지 않고 에너지가 넘쳐나며 며칠동안 거의 잠을 안자는수도 있습니다.
•자신감이 비현실적으로 높아집니다. 망상적인 시각을 가지게 되면서 자신이 초능력을 가진 또는 영화의 주인공인 영웅 인것을 확신하는 태도를 보입니다.(예를 들어 높은 곳에서 뛰어 내려도 다치지 않는 다는 확신을 가지게 됩니다.
•말이 빨라지고 많아지게 됩니다. 대화의 주제가 계속 바뀌고 대화보다는 일방적인 말을 많이 하게 됩니다.
•기분 변화가 자주 있습니다. 상황과 맞지 않게 행복해하거나 웃는 모습, 또는 매우 짜증을 내거나, 화내는 것, 안절부절하거나 공격적인 모습을 나타냅니다.
•위험한 행동을 반복합니다.
다음은 우울 증상의 일부입니다.
•우울해 하며 계속적인 슬픈감정 또는 자주 우는 모습을 보입니다.
•죽음이나 자살을 생각합니다.
•두통과 복통등의 신체 증상을 자주 호소 합니다.
•힘이 없고, 항시 피곤하며, 집중력이 떨어지고, 따분함을 호소 합니다.
•수면시간이 늘어나고 과식이나 거식등, 식사와 수면에 변화가 옵니다.
•평소 좋아하는 활동에서 느끼던 즐거움을 못 느끼게 됩니다.
소아와 청소년은 조울증 감별진단이 참 까다로운 때 입니다. 이 때는 워낙 변화가 많은 성장기이고 과잉 행동장애와 여러가지 다른 문제들이 비슷한 증상을 보일수 있기 때문에 경험이 많은 전문인이 상당 기간 동안 주의 깊은 관찰과 철저한 평가를 통해 진단을 할수 있습니다.
과거는 물론 현재도 소아, 청소년 조울증은 ADHD, 품행장애, 정신분열증 등으로 오인돼 엉뚱한 치료를 받기도 합니다. ADHD와 혼동돼 중추 신경 자극제로 치료를 받으면 충동성, 공격성이 심해져서 기분 주기가 더 심하게 변하며 증상이 악화 될수도 있습니다.
반면 정확한 진단을 받은 조울증을 가진 아동과 십대들은 비교적 효과적으로 치료를 받을수 있습니다.
치료에는 약물치료, 환자및 보호자 교육, 그리고 심리치료가 병행이 되어야 하는데 이처럼 체계적이고 검증된 치료 선택은 증상을 줄여주고 가족과 자신이 질병을 보다 잘 이해하여 학업과 사회에 잘 적응할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