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하며 친구사귀는 신종서비스 > 안전빵 창업아이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안전빵 창업아이템


 

요리하며 친구사귀는 신종서비스

페이지 정보

작성자 Angel 댓글 0건 조회 611회 작성일 18-08-25 06:32

본문

‘소셜 다이닝’은 누군가의 집이나 레스토랑에 모여 함께 식사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집밥’이란 온라인 서비스가 대표적이다. 집밥은 소셜 다이닝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이다. 식사를 매개로 대화를 나누며 사람들과 친교를 맺는 기회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집밥은 누구나 여행, 독서, 음악 등 자신이 흥미 있는 주제를 선택 후 모임을 만들고 참가하는 기본적인 프로세스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모임 개설을 원할 경우, 집밥 사이트에 모임의 주제, 시간, 장소를 공지한다. 집밥은 식당을 예약하고 참가자 모집을 대행한다. 또 개인이 모임 참여를 원할 경우 집밥 사이트에 공지된 모임리스트 가운데 원하는 모임을 골라 밥값을 결제하면 신청이 완료된다.


‘핀치 푸드 디자인’(Pinch food design )은 소셜 다이닝과 다르게 음식을 통해 사람들의 교류를 유도한다. 파티에 처음 온 사람들의 친밀감을 높이기 위해 일부러 완성되지 않은 음식을 내놓고 참가자들에게 나머지 음식재료를 나눠 준다. 참가자들이 완전한 음식을 먹기 위해서는 서로 재료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교류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연회장의 분위기는 활기를 띠게 된다.

 

소셜 쿠킹은 ‘집밥’과 ‘핀치 푸드 디자인’을 융합한 것이 특징이다. 소셜 다이닝의 확장된 개념으로, 누군가의 집과 레스토랑에 모여 식사하는 것이 아니라 음식에 필요한 재료를 가져와 서로 힘을 모아 직접 음식을 만드는 방식이다.


소셜 쿠킹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연계가 특징이다. 집밥 플랫폼과 비슷하게 온라인을 통해 음식에 대한 주제를 갖고 모임을 만들면서 참여한다. 모임이 결성되면 선정된 장소에서 서로 준비한 재료를 갖고 음식을 만들어 먹으며 교류한다. 모임장소는 주최자에 의해 결정되며, 따로 장소를 빌려주는 서비스를 통해 이익을 얻을 수 있다.


1인 가구 20~40대가 주요 고객

 

다만, 모르는 사람들끼리 만나기 때문에 보안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SNS 활동, 신상명세서 작성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해결할 수 있다. 소셜 쿠킹에 참여하고 싶지만 요리 실력이 부족한 사람을 위해 소셜 쿠킹에서 별도의 모임을 만들 수 있다. 요리실력을 초보-중급-고급으로 나눠 자신이 해당하는 모임을 개최할 수도 있다.


1인 가구가 급증하는 가운데 혼자 식사하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다. 대화와 즐거움이 있어야할 식사가 배 채우는 것으로 그치고 만다. 최근 ‘엔도르핀 디쉬’(음식과 행복호르몬의 합성어. 끼니만 채우는 것이 아니라 음식을 통해 행복을 느끼려는 경향)라는 트렌드에 맞춰 함께 음식을 만들고 나눠 먹으며 식사하는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다.


대화를 통해 이뤄지는 교류도 좋지만, 무엇이든 만들면서 친해지는 방식이 훨씬 더 효과적이며 기억에 남을만한 추억이 된다. 주요 고객 및 이용 대상은 1인 가구다. 연령층은 20~40대로, 인터넷을 잘 다룰 줄 아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마케팅하는 것이 유리하다.

 

사이트 개발비 500만원으로 창업

 

우리나라의 1인 가구 비중은 1990년 9.0 %에서 2010년 23.9%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또, 1인 가구의 절반은 20~30대다. 이들은 색다른 경험을 좋아하며, 인터넷 사용에 능하다. 이 같은 흐름에 맞는 시장이 소셜 쿠킹이다.


사이트 개발 및 운영 등 500만원 정도의 소규모 자본으로 창업이 가능하고,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의 연회비가 사업수익이다.


온라인 플랫폼을 만들 수 있는 디자인 및 프로그래밍 실력(인력)만 갖추면 사업이 가능하다. 1인 가구의 증가와 엔도르핀 디쉬의 트렌드를 바탕으로 성장가능성은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최근 음식을 즐겁게 준비하고 먹는 과정을 중시하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음식과 음악이 어우러진 ‘턴테이블 키친’이나 소셜 다이닝 커뮤니티 ‘집밥’ 등이 대표적이다.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비즈니스는 앞으로 3년 이내에 2배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