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태 변화를 목표로 한 머천다이징 전략 > 마케팅 아이디어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마케팅 아이디어


 

업태 변화를 목표로 한 머천다이징 전략

페이지 정보

작성자 뽕킴 댓글 0건 조회 1,186회 작성일 09-12-05 17:40

본문

업태 변화를 목표로 한 머천다이징 전략
(1) 업종의 경직성과 업태의 유연성

70년대에는 자본의 집중, 생산의 확대에 의해서 메이커는 시장을 지배 하는 정책을 진행하여 왔다. 그리고 제조에서 판매에 이르는 유통단계중 에서 소매업의 위치는 메이커의 시장정책의 도구로서 사용되어왔다.

전통적 소매업은 그러한 의미에서 말하면 [관리된 말단의 배합기구]로 서의 의미가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한마디로 하면 소매업은 상품의 선택권을 잃어가면서 다른 한편 으로는 메이커의 딜러 헬퍼 등에 의한 관리에서 메리트를 향유하면서 존 재해 왔다고 할 수가 있다. 거기에서는 소매업이 판매업으로서의 對시장 유연성이 현저하게 결여되어있고 소매업 본래의 [자주적인 상품 구색을 통한 시장에의 밀착]이라고 하는 기능이 잃어버리게 되었다. 즉 [업종] 소매업의 최대의 문제점은 소매업 모두가 같은 행위을 하고 유통의 경직 화를 고정시켜 왔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대로는 시장환경의 변화에 의해 소비자의 욕구에 대응이 불가 능하게 되므로 메이커 주도형이 아닌 [자주적으로 선택하고 상품구색을 갖춘 상품群을 시장에 합치시키는 형태로 판매한다]고 하는 소위 시장적 합성의 채택이 오늘날 소매업에게 주어진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제 까지의 경직성에서 유연성에의 전환이 [업태개발]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2) 소비자의 변화와 업태화

소득수준의 향상, 서비스 지출의 증가, 여가시간의 증대, 여성의 사회 진출, 가치관의 변화 등에 의한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시장조건의 변천 에 따라 소매업의 업태화 지향도 그 속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CVS(컨비니언스 스토아: 편의점)는 시간과 편의성의 제공이 라는 형태로 일상필수품을 그것에 적합하는 형태로 머천다이징하고 셀프 서비스를 채용하여 체인 시스템에 의해서 운영하는 형태이다.

또 빵가게에서도 과자점도 있고 케익류를 주체로한 양과자점, 셀프서비 스형의 점포, 그 장소에서 구운 빵을 제공하여 주는 [in store 베이커리] 등 여러가지 업태가 존재한다.

이러한 존재는 T.P.O에 의해서 변화하는 이용자 욕구의 다양성에 대응 하는 방책을 생각하여 거기에 장사의 시점을 찾아내려고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소비자의 일부욕구를 찾아내고 거기에 장사의 시점을 집중시 켜 가기 위해서 모종의 연구나 노력이 필요하며 독자성있는 판매방법이나 경영방향을 추구하는 것은 다른 점포와의 차별화 대책이 되기도 한다.

이같은 생각으로 업태화를 꾀하고 있는 점포의 예로 보면 이전에 전문 점이라고 부르던 운동구점은 테니스숍, 골프숍 등으로 전문화되고 있다. 또한 찻집에서는 상점의 한모서리를 이용하여 건강식품을 모아서 이것을 어필하기도 한다.

(3) 앞으로의 상품개발 방향

소비자에 대해서 [생활의 풍부로움]을 제공하는 것이 업태화 추진의 최 대목적으로 되지 않으면 안된다.

다품종 대량의 상품이 범람하고 이것을 판매하는 상점이 다수 존재한다 고 해도 그것은 단순히 [풍부로움]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본래의 풍부 로움이라는 것은 다양화한 생활기회에 대응하는 상품이, 다양한 업태중에 서 선택할 수 있는 풍부로움이어야 한다.

그것은 광범위하게 확대되는 업태중에서 소비자가 어느 업태에서 무엇 을 사는가 하는 자유를 말하고 자신의 생활양상에 적합한 것을 자유로이 선택 가능한 풍부로움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그것은 전체적인 가치중에서 평가되어져야 한다. 예를 들면 오늘 의 데리카뎃센이 장래에도 유망시 되는 것은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맛 과 매장의 분위기를 보유하고 조리품 또는 반조리품으로서 시간소비패턴 이 다양화한 소비자의 욕구에 적합하게 만들어 "좋은 물건"이라는 요소] 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종래의 바겐세일에 의해 비싼상품을 싸게 매입한다고 하는 방법 이 아니라 소비자의 구매성향을 파악한 위에 가격을 설정하여 상품을 제 공하는 것으로 금후의 상품개발의 방향도 이러한 추세와 일맥상통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