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관리 종류 및 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뽕킴 댓글 0건 조회 1,289회 작성일 09-12-05 14:45
본문
가) 경력상담제도의 개발(developing of career counseling system)
경력 상담은 직원과 조직의 상호이익을 위해 개인의 자질과 조직의 필요성과의 일치성을 찾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을 조직이 제도화시키는 것을 경력상담제도라고 하며, 이 제도에서 개인과 조직을 기업목표에 일치시키고 고차원의 수단과 방법을 찾는 과정을 경력상담제도의 개발이라고 한다. 경력 상담은 직원의 진로를 정하고 전문적인 성장분야를 파악하고 수용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대면관계의 상담은 다음의 4 가지 요소를 중심주제로 토의 또는 상담이 이루어져야 한다.
(1) 상담의뢰인은 향후 5년 이상의 미래를 전재로 자신의 직업에 대한 목표와 열망, 그리고 기대에 관한 내용을 상담.
(2) 상담의뢰인은 자신의 열망이 현실적이고 미래기회와 조화되는지의 검토
(3) 새로운 기회제공에 따른 자신의 자질개발을 위한 요건의 확인과 개발의 노력 및 방법제시
(4) 개발과 성공을 위한 사고와 활동의 실질적 계획과 목표달성방법 등에 초점을 맞추어 상담
나) 경력개발의 워크숍(career development workshop)
경력개발을 위한 워크숍은 조직과 관리차원에서 전체구성원을 대상으로 하는 연수회 등을 통해서 문제점 중심으로 개선점을 모색하여 그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형식적인 내용이 아닌 실질적인 당면과제를 중심으로 적극적인 참여의식을 전제로 이루어져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조직과 관리적 차원에서 개발가능하고,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생산적인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선하면서 개발시켜야 한다. 여기에는 최고경영층의 적극적인 관심과 직원의 자발적 참여가 요구된다.
다)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continuing education and training)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의 방법은 미래지향적 교육훈련의 내용과 미래예측능력의 개발, 그리고 위험과 불확실성을 배제시켜 안전성과 성장성을 기대하는 방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방법은 세대적 낙후성을 인식시키고 책임성을 고취시키며, 개인의 욕구와 조직의 요구가 일치되도록 교육, 훈련의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는 경력개발의 필수요건이면서 자기개발과 조직성장의 기회를 제공한다.
라) 주기적인 직무(역할)전환(periodic job changes)
주기적인 직무(역할)전환은 조직구성원의 능력개발을 기초로 업무수행능력을 개발시켜 수직. 수평적으로 직무를 바꾸어 주는 방법이다. 직무나 역할의 전환은 수직적인 승진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고, 수평적으로 이동하거나 직무의 재구성과 공유, 또는 특별한 위원회나 일시적인 업무 가중으로 새로운 직무가 할당되는 형태도 있다.
마) 다 경력경로(Multiple career tracks)
다양한 경력개발경로 중에서 개인의 특성과 자질이 직무와 일치될 수 있는 개발경로를 선정하여 경력개발의 목표를 이루는 방법이다. 관리직 경로와 연구. 전문지식과 독립성을 강조하는 경로, 책임자로서 특정 프로그램과 기술성에 관련된 경로가 있을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성공하는 유일한 수단은 정해진 경력경로에 따라 승진하거나 또는 최고경영층으로 갈 수 있도록 전문적인 경영능력을 개발시키는 일이다. 즉, 다양한 경력개발의 경로 중에서 개인중심으로 확실한 경로를 선정하여 개인 능력과 지식. 기능중심의 개발로 성공하는 방법을 말한다.
바) 지적 직업상의 제휴(professional associations)
지적 직업상의 제휴는 전문가집단의 상호지원과 전문성 보완의 기회를 모색하는 개발기법이다. 이 방법은 제휴관계를 맺고 특정과업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상호지원과 보완은 물론이고 교육개발과 기술이나 전문지식의 이전기회가 될 수 있다. 특히 상호보완적인 제휴관계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자질향상과 생산성 증대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방법이다.
사) 상사와 부하와의 관계(mentor-protege relationships) 관리
상사와 부하직원간의 관계는 경력발전수단으로써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이성 간 상하관계는 경력 상담 및 개발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력을 갖는다. 상호 조언 적 역할로 창조적 업무개발이 가능하여 지도자의 노력에 대한 인정과 부하의 지원적 협력관계는 경력개발의 효과를 촉진시킨다. 이러한 현상은 경력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서 유능한 지도자와 부하의 경력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아) 지원적 환경(supportive environment) 관리
직원이 협조적이고 지원적인 환경을 제공하게 되면 조직은 직원의 복지 향상에 관심을 갖게 된다. 즉, 협조적이고 지원적인 행위는 경제적 또는 복지향상의 재원확보와 장기고용정책의 실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환경이 조성되면 그 과정에서 조직의 정책적 개발과 직원의 협동적 행동개발이 나타나게 마련이다. 따라서 직원의 장기고용과 조직의 성장을 기대하는 경력발전프로그램과 경력경로는 더욱 협조적인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