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적 사고 (Design Thinking)
페이지 정보
작성자 basil 댓글 0건 조회 1,142회 작성일 13-05-20 11:19
본문
최근 글로벌경제의 불확실성으로 창업경영 환경이 악화 되면서 혁신의 요구가 더욱 요구 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창업경영시 의사결정 체계를 실질적으로 보완 할 수 있는 것 하나를 꼽으라면 디자인적 사고 (Design Thinking)를 들 수 있다. 기존의 경영이 주로 정보분석을 토대로 한 논리적 사고에 기반 하였다면 디자인적 사고는 직관적 사고의 균형을 추구하고 있다. 디자인 이라는 용어 때문에 미학적 관점으로만 바라 보기 보다는 논리적 접근법으로서는 판단할 수 없는 것에 대해 감성적 접근법을 사용 한다고 이해해야 한다.
혁신 이라는 단어는 친숙한 용어가 되어버렸다. 혁신이나 창조경영이란 용어자체도 새로운 말이 아니다. 경영이란 특정한 구조와 프로세스를 가진 기업이나 조직체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것이고, 기업은 이런 활동을 통해 생존하고 수익 창출을 추구한다. 혁신은 기업이 가지고 있는 구조나 프로세스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이것은 마치 제 살 가죽을 벗기는 것만큼이나 두렵고 어려운 일이다.
기업이나 조직은 안정적 생존과 성장을 유지하기 위해 계획을 세우는데 계획은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는 “불가능한” 가정을 전제로 하지만 경영환경의 급격한 변화속도로 인해 기존 사업에서조차 미래를 예측하기 어려우며 새로운 체계를 전제하는 혁신에서 의 예측은 더욱 불확실해진다.
로저 마틴이 묘사하는 논리적 판단의 조건인 지식이 생산되는 흐름을 보면 어떠한 지식이든지 초기에는 아무것도 알 수 없는 혼돈 상태에 있다. 그러다가 몇 번의 성공체험을 하게 되면서 경험규칙화 되고 경험규칙은 암묵적 지식으로 존재하지만 곧 언어화 된 알고리즘(규칙과절차의모임)이 된다. 알고리즘은 객관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형태로 지식 단계 중 의사소통에 가장 효율적이며 알고리즘은 조직 내에서는 반복적으로 유통되고 소통된다.
디자인적 사고를 하는 사람의 특성
1.공감(Empathy)디자인을 구상하는 능력이 뛰어난 사람은 동료,의뢰인,사용자,고객 등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본다. 사람 중심의 접근 방식을 통해 Design Thinker들은 바람직할 뿐 아니라 겉으로 드러안 욕구와 숨은 욕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찾아낼 수 있다.Design Thinker는 이 세상을 아주 세밀하게 관찰 하며 이들은 일반인과는 다른 관점으로 사물을 관찰하며 통찰력을 바탕으로 혁신을 도모한다.
2.통합적 사고(Integrative Thinking) 탁월한 디자인 구상 능력을 지닌 사람은 분석 내용을 활용할 뿐 아니라 복잡한 문제와 관련된 모든 측면,심지어 서로 상충하는 측면까지 이해하는 능력을 갖고 있으며 기존 대안보다 훨씬 뛰어난 새로운 해결책을 만들어낸다.
3.낙천주의(Optimism) Ddsign Thinker들은 주어진 문제에 어떤 제약이 있든 기존 대안보다나은 해결책이 최소한 하나 이상은 될것이라고 생각한다.
4.실험주의(Experimentalism)점진적 변화를 통해 획기적인 혁신이 탄생하는 것이 아니다.Design Thinker들은 새로운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는 창의적인 방식으로 질문을 던지고 문제점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5.협업(Collaboration)제품과 서비스,고객 경험이 점점 복잡해지다 보니 홀로 활동하는 외로운 창의력 천재가 사라지고 여러 분야에 두루 지식을 갖춘 열정적인 협력가가 나타났다.최고의 Design Thinker 들은 한 가지 이상의 분야에서 중요한 경험을 하는 경우가 많다.
아이디오는 엔지니어이면서 동시에 마케팅 전문가인 인재,인류학자이면서 동시에 산업 디자이너인 인재,건축가이면서 동시에 심리학자인 사람을 고용한다.
디자인적 사고에 입각한 프로세스는 결국 첨단 방법론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재능과 성격을 가진 구성원들이 상이한 관점과 재능을 부여함으로써 새로운 아이디어나 제품을 탄생 시키는 것이다.
어려운 창업 환경 이지만 디자인적 사고를 통해 새로운 혁신 아이디어를 탄생 시키길 기대해 본다.
혁신 이라는 단어는 친숙한 용어가 되어버렸다. 혁신이나 창조경영이란 용어자체도 새로운 말이 아니다. 경영이란 특정한 구조와 프로세스를 가진 기업이나 조직체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것이고, 기업은 이런 활동을 통해 생존하고 수익 창출을 추구한다. 혁신은 기업이 가지고 있는 구조나 프로세스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이것은 마치 제 살 가죽을 벗기는 것만큼이나 두렵고 어려운 일이다.
기업이나 조직은 안정적 생존과 성장을 유지하기 위해 계획을 세우는데 계획은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는 “불가능한” 가정을 전제로 하지만 경영환경의 급격한 변화속도로 인해 기존 사업에서조차 미래를 예측하기 어려우며 새로운 체계를 전제하는 혁신에서 의 예측은 더욱 불확실해진다.
로저 마틴이 묘사하는 논리적 판단의 조건인 지식이 생산되는 흐름을 보면 어떠한 지식이든지 초기에는 아무것도 알 수 없는 혼돈 상태에 있다. 그러다가 몇 번의 성공체험을 하게 되면서 경험규칙화 되고 경험규칙은 암묵적 지식으로 존재하지만 곧 언어화 된 알고리즘(규칙과절차의모임)이 된다. 알고리즘은 객관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형태로 지식 단계 중 의사소통에 가장 효율적이며 알고리즘은 조직 내에서는 반복적으로 유통되고 소통된다.
디자인적 사고를 하는 사람의 특성
1.공감(Empathy)디자인을 구상하는 능력이 뛰어난 사람은 동료,의뢰인,사용자,고객 등 다양한 사람들의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본다. 사람 중심의 접근 방식을 통해 Design Thinker들은 바람직할 뿐 아니라 겉으로 드러안 욕구와 숨은 욕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찾아낼 수 있다.Design Thinker는 이 세상을 아주 세밀하게 관찰 하며 이들은 일반인과는 다른 관점으로 사물을 관찰하며 통찰력을 바탕으로 혁신을 도모한다.
2.통합적 사고(Integrative Thinking) 탁월한 디자인 구상 능력을 지닌 사람은 분석 내용을 활용할 뿐 아니라 복잡한 문제와 관련된 모든 측면,심지어 서로 상충하는 측면까지 이해하는 능력을 갖고 있으며 기존 대안보다 훨씬 뛰어난 새로운 해결책을 만들어낸다.
3.낙천주의(Optimism) Ddsign Thinker들은 주어진 문제에 어떤 제약이 있든 기존 대안보다나은 해결책이 최소한 하나 이상은 될것이라고 생각한다.
4.실험주의(Experimentalism)점진적 변화를 통해 획기적인 혁신이 탄생하는 것이 아니다.Design Thinker들은 새로운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는 창의적인 방식으로 질문을 던지고 문제점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5.협업(Collaboration)제품과 서비스,고객 경험이 점점 복잡해지다 보니 홀로 활동하는 외로운 창의력 천재가 사라지고 여러 분야에 두루 지식을 갖춘 열정적인 협력가가 나타났다.최고의 Design Thinker 들은 한 가지 이상의 분야에서 중요한 경험을 하는 경우가 많다.
아이디오는 엔지니어이면서 동시에 마케팅 전문가인 인재,인류학자이면서 동시에 산업 디자이너인 인재,건축가이면서 동시에 심리학자인 사람을 고용한다.
디자인적 사고에 입각한 프로세스는 결국 첨단 방법론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재능과 성격을 가진 구성원들이 상이한 관점과 재능을 부여함으로써 새로운 아이디어나 제품을 탄생 시키는 것이다.
어려운 창업 환경 이지만 디자인적 사고를 통해 새로운 혁신 아이디어를 탄생 시키길 기대해 본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