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의 개념과 종류 알아보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angelica 댓글 0건 조회 1,014회 작성일 14-01-29 04:32
본문
채권이란 발행자가 투자자에게 일정한 기간에 원금과 이자를 지급할 것을 약속하는 일종의 차용 증서이다. |
◎ 채권의 종류
채권의 종류를 분류하는 데는 그 내용이나 형식이 다양하기 때문에 간단히 분류하기는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발행주체, 이자지급 방법, 보증유무, 상환기간, 이자지급율 변동여부 등에 따라 분류한다.
발행 주체
먼저 채권은 발행주체에 따라 국채, 지방채, 특수채, 금융채, 회사채로 분류할 수 있다.
국채는 헌법 제 93조와 예산회계법 제 4조에 의거하여 국회의 의결을 얻은 후에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으로서 정부가 원리금을 지급한다. 우리나라의 국채에는 양곡기금증권, 국민주택채권, 재정증권, 외평채, 국채관리기금채권 등이 있다. 지방채는 중앙정부가 아닌 지방자치단체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지방자치단에의 재원확보 목적으로 발행한다. 현재 각 시도에서 발행하고 있는 상수도공채, 도로공채, 지역개발채권과 서울시에서 발행하는 서울시 상하수도공채 등이 있다. 특수채는 한국전력, 토지개발공사, 한국기술개발등과 같이 특별한 법률에 의해 설립된 기관이 특별법에 의하여 발행하는 채권이다. 금융채는 특수금융기관이 발행하는 채권으로서 통화안정증권, 산업금융채권, 장기신용채권, 중소기업금융채권, 주택채권 등이 있다. 회사채란 상법상 주식회사가 일반대중으로부터 자금을 집단적, 대중적으로 조달하고 회사가 채무자임을 표시해 발행하는 유가증권이다.
이자지급 방법
채권은 이자지급 방법에 따라 이표채, 할인채 및 복리채로 구분할 수 있다.
이표채란 채권의 권면에 이표가 붙어 있어 이자지급일에 이것으로 일정이자를 지급받는 채권으로 회사채와 금융채 중 일부가 이에 해당한다. 할인채는 액면금액에서 상환기일까지의 이자를 공제한 금액으로 매출하는 채권으로 통화안정증권, 산업금융채권 등 금융채 중 일부가 이에 해당한다. 복리채는 이자가 단위기간수 만큼 복리로 재투자되어 만기시에 원금과 이자가 지급되는 채권으로서 국민주택채권, 지역개발공채, 금융채 중 일부가 이에 해당한다.
보증유무
채권을 보증의 유무에 따라 분류하면 보증채, 담보부채, 무보증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보증채란 정부 또는 금융기관이 원리금 지급이행을 보증하는 채권으로 정부보증채, 일반보증채(시중 은행, 보증보험, 신용보증기금 등) 등이 있으며 담보부채란 채권에 물상담보권이 붙어 있는 채권으로 통화안정증권, 외국환평형기금채권, 재정증권, 금융채, 회사채 중 일부가 이에 해당하고 무보증채는 발 행자의 신용도에 의해 발행되어 유통되는 채권으로 국민주택채권, 상수도공채, 금융채,회사채 중 일부 가 이에 해당한다.
보증채란 정부 또는 금융기관이 원리금 지급이행을 보증하는 채권으로 정부보증채, 일반보증채(시중 은행, 보증보험, 신용보증기금 등) 등이 있으며 담보부채란 채권에 물상담보권이 붙어 있는 채권으로 통화안정증권, 외국환평형기금채권, 재정증권, 금융채, 회사채 중 일부가 이에 해당하고 무보증채는 발 행자의 신용도에 의해 발행되어 유통되는 채권으로 국민주택채권, 상수도공채, 금융채,회사채 중 일부 가 이에 해당한다.
상환 기간별
채권은 상환기간에 따라 단기채, 중기채, 장기채로 나눌 수 있다.
단기채는 상환기간이 1년 이하인 채권으로 통화안정증권, 재정증권이 있으며 중기채란 상환기간이 1년에서 5년 미만인 채권으로 국고채, 외국환평형기금채, 회사채가 있다. 장기채는 상환기간이 5년 이상인 채권으로 국민주택채권(5년, 20년), 도시철도채권(9년)이 있다. 참고로 미국의 경우 장기채라 하면 10년 또는 20년 이상의 것을 말한다.
채권에 대한 투자는 비교적 안전하고 환금성 및 수익성이 좋은 편으로 인식되어 있지만 채권발행기업이 파산하거나, 물가상승 혹은 시장이자율 변동 등이 발생할 경우 투자자는 예기치 않은 손실을 입을 수 있기에 유의해야 한다.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