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관리 - 성공적 직무 분석의 지름길 > AI 창업아이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AI 창업아이템


 

인사관리 - 성공적 직무 분석의 지름길

페이지 정보

작성자 angelica 댓글 0건 조회 973회 작성일 14-01-29 04:26

본문

과거의 직무분석은 거의 과거 지향적이며 업무중심적으로 이루어졌었지만 이제는 경쟁이 치열해지고 시장개방이 가속화되면서 새로운 산업, 새로운 업무가 하루가 다르게 생겨남에 따라 미래업무에 요구되는 요건을 파악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 과거 직무 분석의 실패 요인
지금까지의 직무분석은 한 직무내에 업무의 난이도·중요도 등 업무 특성이 매우 상이한 업무들이 공존하고 있어서 하나의 단위로 관리 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또한 직무분류 및 직무관리를 개인의 직급, 근속년수 등 인적특성을 지나치게 고려함으로써 직무분류체계와 업무의 특성간 상관관계가 낮은 경우가 많았으며 직무기술서에 의한 직무수행보다는 위에서 그때 그때 시키는 하달 명령 업무 위주였다. 뿐만 아니라 유사한 직무를 여러 부서, 여러 계층에서 수행하는 폐단을 직무분석을 통해서 제대로 개선하지 못하였고 직무의 내용보다는 직무 타이틀에 치중하는 경향도 짙었다.

◎ 직무분석의 새로운 대안
직무를 과업 중심에서 역할중심으로 분석하여야 한다.
역할중심의 직무분석은 부서내 사람과 사람간 관계성에 초점을 두고 수직적인 상하관계, 수평적 동료관계 속에서 과업이 누구를 통해 어떻게 흘러가는가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게 되어 직무분석을 통해 조직내 구성원간 역할관계가 규명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문제해결과 혁신중심으로 직무 분석을 시도해야 한다.
실제로 조직 내에서는 일상적인 일 외에 비일상적인 일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비일상적인 일이 발생할 때 누가 어떻게 이것을 해결하는가가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요즘들어 부각 되는 위기 관리의 경우 기존의 방법으로는 직무할당과 분석이 매우 어렵다.

내용보다는 과정 중심으로 업무를 파악해야 한다.
과정에 초점을 두고 수직적·수평적 업무 진행과정이 직무수행자의 업무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직무와 직무의 연관관계 및 과업내용의 변화와 결과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해야 한다.

단위직무를 지나치게 세분화하기 보다는 유사한 직무를 크게 묶는 것이 좋다.

단위 직무가 지나치게 세분화 될 경우 단계별 직무에 대해 굉장히 폐쇄적이고 경직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인사 관리도 유연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직무의 통합을 통해서 유연한 인사관리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