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템선정과 외부적 요소
페이지 정보
작성자 pistory 댓글 0건 조회 1,766회 작성일 14-03-13 04:21
본문
창업의 길에서는 전후좌우 신호를 잘 살펴야 한다. 성장기에 있는 유망 아이템일지라도 주변 여건에 따라 사업의 성패는 달라지게 마련이다. 명동에서 성공한 아이템이 강남지역에서도 성공한다는 보장은 없다. 또한 같은 장소에서 같은 아이템으로 창업을 한다해도 창업자에 따라 그 결과는 판이하게 달라지기도 한다. 후보 유망 아이템이 선정되었다 해도 내.외부적인 요소와 조화를 이루지 않으면 성공이 어렵기 때문이다. 모든 아이템은 제조, 유통, 판매, 소비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예비창업자는 이러한 과정의 어떤 위치에서 창업을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급선무다. 아이템을 생산하는 제조위치 또는 유통업, 그리고 최종적으로 소비자를 접하게 되는 마지막 단계인 도,소매 판매업중 어떤 위치에서 창업을 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같은 결정에 의해 점포의 유형인 도매업, 소매업, 대리점, 체인점, 편의점, 전문점등으로 결정되는 것이다.
▣ 아이템 선정시 고려할 외부사항
창업시점도 결정했고 아이템 자체에 관한 성장성에 확신이 가는 경우일지라도 잠재고객의 여부, 경쟁점포의 수, 상품의 구매여건, 인력 수급여부, 법적 규제, 신규업체나 대형업체의 참여 가능성 등 외부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은 산재해 있다.
▶잠재고객파악
상품을 구매하게 될 예상고객이 충분히 잠재해야 한다. 잠재고객을 파악하기 위해서 통행인구수, 배후지역의 인구수, 라이프사이클, 연령, 소득수준을 조사해야 한다. 통행인구와 배후지역의 인구수는 점포의 매출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권과 아이템은 떼려고 해도 뗄수 없는 사이이다.
▶ 경쟁점포의 파악
아무리 유망한 아이템과 잠재고객이 있다 해도 경쟁 점포가 너무 많으면 그 지역에서는 유망 아이템이 되기 어렵다. 아이템을 선정할 때 수요와 공급 측면을 고려해 경쟁 점포의 수 를 파악하고, 경쟁 점포의 장,단점을 파악한 후 진입이 가능한지 확인한다. 자영업은 몰려 있을수록 유리하지만, 포화상태일 정도면 성공하기 어렵다. 따라서 경쟁점포의 매출 추정으로 사업성이 있는지 따져봐야 할 것이다.
▶ 구매처 선정
아루밀 잘 팔리는 아이템일지라도 공급이 어렵다면 아이템은 무용지물이 될 수 밖에 없다. 공급자로부터 상품구입이 쉽고 저렴해야 한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생산될수 있는 아이템인지, 단종될 상품인지 확인해야 한다. 그리고 구매처까지의 거리, 상품가격의 적당성, 공급처의 배달관계, 친절등의 서비스관계, 품질, 유행, 신선도에 관한 만족도를 고려해야 한다. 프랜차이즈에 가맹할 경우 신중을 기하고 본사의 능력을 확인해야 한다.
▶ 위험부담 적어야
모든사업은 위험성이 따르게 마련이지만 마진율이 높다는 이유로 위험이 많이 따르는 아이템을 선정하는 것은 초보창업자로서는 무모한 일이다. 수익성이 높다면 그만큼 경쟁업체가 생겨나게 마련이다. 따라서 신규참여가 어려운 업종과 쉬운 업종을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영원한 유망 아이템도 없고 독점 아이템도 없다. 매스컴에 많이 나오는 업종일수록 유행업종이 될 가능성이 많다. 최근 대형할인점으로 인해 조그만 점포들은 판로가 막히는 실정이다.
소점포로 아이템을 선정할 경우 몇가지 특정상품만 집중적으로 다루는 전문점을 개발하는 것이 좋다. 대형점포들은 재고품 경비가 급증하기 때문에 가장 잘 팔리는 종류만 취급할뿐 한 종류의 상품만을 집중적으로 다룰수가 없다. 대기업이 손댈수 없는 대인서비스, 직접판매, 융통성, 민첩성 등을 고려해 아이템 선정 기회를 찾는 지혜가 필요하다.
▣ 법적규제 여부 확인해야
많은 업종들이 허가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만약 규제가 따르는 업종이라면 충족요건을 확인해야 할 것이다. 때로는 현재 규제가 따르지 않는 업종일지라도 규제가 따를 만한 업종이 될 수도 있다. 한때 유행하던 전화방이나 성인용품 전문점 등이 바로 이런 경우다. 또한 학교 출입문으로부터 직선거리로 50m까지의 지역인 절대정화구역에 해당하는 업종의 여부, 학교 경계선으로부터 직선거리로 200m까지의 지역중 절대정화구역을 제외한 지역인 상대정화구역에 해당하는 업종 여부등도 아이템을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아이템에 따른 신상품개발의 가능성 여부, 아이템의 계절성 여부, 경상비용지출의 과다 여부, 인력수급의 용이성 여부등이 고려될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