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 리조트 이용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타라곤 댓글 0건 조회 1,233회 작성일 12-06-08 22:37
본문
2. 호텔의 방의 종류.
호텔의 방의 종류는 다양하다. 그 호텔이 산악지대에 위치하느냐 바닷가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방에 대한 설정이 달라진다. 그래도 공통적인 방의 종류는 있다.
방의 종류는 Single, Double, Twin으로 나뉜다. Single은 말 그대로 한사람이 잘만한 크기의 침대가 들어가 있는 것으로 주로 출장 여행중인 사람들이 많이 이용한다. Double은 킹이나 퀸사이즈의 1개짜리 침대가 있는 방으로 신혼여행자들이나 일반 부부들이 많이 이용하는 곳이다. Twin음 말 그대로 쌍둥이처럼 Single 침대가 2개 놓인 곳을 말한다. 이 방은 단체 여행시의 방 배치 및 일본인 신혼여행자들이 좋아한다고 한다. 단체 여행중이나 가족이 여행을 할 때 자녀들을 위하여 Twin인 방에 침대를 더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Extra bed라고 한다. 이 때는 가격이 많이 저렴하다.
위의 공통적인 방의 구분과는 달리 창에서 바라본 호텔 창밖의 풍경으로 구분되는 경우도 있다.
신혼여행인 경우는 분위기를 생각해서 창밖의 경치에 각별한 흥미를 보이게 된다. 이에 따라 각 호텔들은 방의 위치에 따라 방의 이름과 가격을 다르게 책정한다. 예를 들어 해변에 있는 호텔은 "Sea View"인 방과 "City View"의 방이 있을 것이다. 물론 이경우는 "Sea View"가 훨씬 더 비쌀 것이다.
도시내에 있는 호텔이 강을 앞으로 하고 시가지를 뒤로하고 있다면 "City View" 와 "River View" 로 위치가 나뉠 것이다. 그리고 물론 강을 바라보는 편이 더 비쌀 것이다.
요즘은 금연운동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추세이므로 흡연실 여부를 꼭 확인받으려 한다.
3. 호텔 이용.
1. 호텔의 예약 : 요즘은 인터넷을 통한 호텔 예약이 아주 쉽게 되어있다. 아니면 국내에 있는 몇개의 호텔 예약 회사를 상대로 예약하면 된다. 좀 괜찮은 호텔 인터넷의 호텔예약 시스템은 travelweb(www.travelweb.com), UTELL(www.utell.com) 등이다. 한국내의 호텔예약 센터로 전화예약은 E2(02-738-2282), UTELL(02-512-0400)등이 있다.
2. 호텔 Check-In : 호텔 예약후 체크인은 될수록 정오이후에 하는 것이 좋다. 만약 호텔에 제 날짜에 못들어갈 입장이라면 미리 해약 전화를 해야한다. 하루전이라도 해약전화를 하면 보통은 취소료가 없지만 생각없이 전화도 없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하루치 방값을 모두 취소료로 바쳐야한다.
또한 호텔에는 오후 10시이전에는 체크인하는 것이 예의이다. 이후에 체크인할 경우 방이 자동으로 취소된 경우도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늦을 수 있는 상황이라면 미리 호텔 예약시 특기 사항으로 체크인 사항으로 입력해두면 된다.
3. 호텔 방의 사용 : 방을 사용함에 있어 에어콘이나 히터가 고장났다거나 작동을 못하겠으면 프론트나 콘시어쥬에 연락하여 작동시키거나 방을 옮기도록 한다. 욕실을 이용할 때는 욕조의 물이 욕조밖으로 넘치지않도록 유의한다. 보통의 호텔들은 치약,칫솔을 구비해두지않는다. 그러나 물론 큰 호텔의 경우는 룸서비스로 치약과 칫솔을 요청할 수도 있다. 방안에서는 떠들지않도록 유의할 것, 떠들면 주변 방의 관광객들이 신고하여 창피를 당할 수 있다. 호텔 복도는 공적인 공간이므로 내복이나 잠옷바람으로 다니지않도록 주의해야한다.
4. 호텔의 사용 : 대다수의 호텔에 아침식사를 포함한 패키지로 들어가기 때문에 아침식사하는 장소에 대해 체크인 때 잘 알아두어야 한다. 또한 호텔내의 사우나나 헬스, 수영장 등의 부대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용하자! 그외에도 호텔마다 자부하는 부대시설이 있으므로 각 시설을 이용하면서 투숙객인 경우 할인되는 것을 잘 살펴보자!
5. 호텔 Check-out : 호텔에서 체크아웃할 때는 비용정산이 가장 큰 문제일 것이다. Room Charge로 사용한 금액을 정산하여 한꺼번에 내게되는데 한꺼번에 뭉퉁그려진 비용이 헷갈릴 것이다. 그럼에도
정확을 기하도록 한다. 이상한 금액이 추가된 경우는 확실히 이해가 가도록 물어본다. 물론 호텔측
의 계산이 틀린 경우는 거의 없지만 혹시 때문이다. 미니바의 경우는 이용하지않는 것이 좋을 것이
다. 돈이 많아도 너무 비싸다. 모든 금액을 신용카드로 정산하는 것이 현명하다.현금으로 정산할 경
우 그 많은 현금을 가지고 다니는 것을 오히려 의심한다.
호텔의 방의 종류는 다양하다. 그 호텔이 산악지대에 위치하느냐 바닷가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방에 대한 설정이 달라진다. 그래도 공통적인 방의 종류는 있다.
방의 종류는 Single, Double, Twin으로 나뉜다. Single은 말 그대로 한사람이 잘만한 크기의 침대가 들어가 있는 것으로 주로 출장 여행중인 사람들이 많이 이용한다. Double은 킹이나 퀸사이즈의 1개짜리 침대가 있는 방으로 신혼여행자들이나 일반 부부들이 많이 이용하는 곳이다. Twin음 말 그대로 쌍둥이처럼 Single 침대가 2개 놓인 곳을 말한다. 이 방은 단체 여행시의 방 배치 및 일본인 신혼여행자들이 좋아한다고 한다. 단체 여행중이나 가족이 여행을 할 때 자녀들을 위하여 Twin인 방에 침대를 더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Extra bed라고 한다. 이 때는 가격이 많이 저렴하다.
위의 공통적인 방의 구분과는 달리 창에서 바라본 호텔 창밖의 풍경으로 구분되는 경우도 있다.
신혼여행인 경우는 분위기를 생각해서 창밖의 경치에 각별한 흥미를 보이게 된다. 이에 따라 각 호텔들은 방의 위치에 따라 방의 이름과 가격을 다르게 책정한다. 예를 들어 해변에 있는 호텔은 "Sea View"인 방과 "City View"의 방이 있을 것이다. 물론 이경우는 "Sea View"가 훨씬 더 비쌀 것이다.
도시내에 있는 호텔이 강을 앞으로 하고 시가지를 뒤로하고 있다면 "City View" 와 "River View" 로 위치가 나뉠 것이다. 그리고 물론 강을 바라보는 편이 더 비쌀 것이다.
요즘은 금연운동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추세이므로 흡연실 여부를 꼭 확인받으려 한다.
3. 호텔 이용.
1. 호텔의 예약 : 요즘은 인터넷을 통한 호텔 예약이 아주 쉽게 되어있다. 아니면 국내에 있는 몇개의 호텔 예약 회사를 상대로 예약하면 된다. 좀 괜찮은 호텔 인터넷의 호텔예약 시스템은 travelweb(www.travelweb.com), UTELL(www.utell.com) 등이다. 한국내의 호텔예약 센터로 전화예약은 E2(02-738-2282), UTELL(02-512-0400)등이 있다.
2. 호텔 Check-In : 호텔 예약후 체크인은 될수록 정오이후에 하는 것이 좋다. 만약 호텔에 제 날짜에 못들어갈 입장이라면 미리 해약 전화를 해야한다. 하루전이라도 해약전화를 하면 보통은 취소료가 없지만 생각없이 전화도 없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하루치 방값을 모두 취소료로 바쳐야한다.
또한 호텔에는 오후 10시이전에는 체크인하는 것이 예의이다. 이후에 체크인할 경우 방이 자동으로 취소된 경우도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늦을 수 있는 상황이라면 미리 호텔 예약시 특기 사항으로 체크인 사항으로 입력해두면 된다.
3. 호텔 방의 사용 : 방을 사용함에 있어 에어콘이나 히터가 고장났다거나 작동을 못하겠으면 프론트나 콘시어쥬에 연락하여 작동시키거나 방을 옮기도록 한다. 욕실을 이용할 때는 욕조의 물이 욕조밖으로 넘치지않도록 유의한다. 보통의 호텔들은 치약,칫솔을 구비해두지않는다. 그러나 물론 큰 호텔의 경우는 룸서비스로 치약과 칫솔을 요청할 수도 있다. 방안에서는 떠들지않도록 유의할 것, 떠들면 주변 방의 관광객들이 신고하여 창피를 당할 수 있다. 호텔 복도는 공적인 공간이므로 내복이나 잠옷바람으로 다니지않도록 주의해야한다.
4. 호텔의 사용 : 대다수의 호텔에 아침식사를 포함한 패키지로 들어가기 때문에 아침식사하는 장소에 대해 체크인 때 잘 알아두어야 한다. 또한 호텔내의 사우나나 헬스, 수영장 등의 부대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용하자! 그외에도 호텔마다 자부하는 부대시설이 있으므로 각 시설을 이용하면서 투숙객인 경우 할인되는 것을 잘 살펴보자!
5. 호텔 Check-out : 호텔에서 체크아웃할 때는 비용정산이 가장 큰 문제일 것이다. Room Charge로 사용한 금액을 정산하여 한꺼번에 내게되는데 한꺼번에 뭉퉁그려진 비용이 헷갈릴 것이다. 그럼에도
정확을 기하도록 한다. 이상한 금액이 추가된 경우는 확실히 이해가 가도록 물어본다. 물론 호텔측
의 계산이 틀린 경우는 거의 없지만 혹시 때문이다. 미니바의 경우는 이용하지않는 것이 좋을 것이
다. 돈이 많아도 너무 비싸다. 모든 금액을 신용카드로 정산하는 것이 현명하다.현금으로 정산할 경
우 그 많은 현금을 가지고 다니는 것을 오히려 의심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