畵 테크 뜬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inceton 댓글 0건 조회 1,394회 작성일 10-08-03 14:18
본문
미국이나 유럽 등 선진국의 경우 미술품 투자펀드(Art Fund)가 유행하고 있고, 미술품의 매매에서 투자조언까지 해주는 아트 컨설팅도 널리 퍼져 있다.
미술품에 투자해 차익을 노린다는 ‘화테크’ 개념은 아직 국내 일반인들에게 낯선 게 사실이다. 미술품의 경우 부동산이나 주식과 달리 작가의 장래성, 작품 구입의 목적성, 현금 호환성 등을 다양하게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미술품에 대한 관심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부동산과 주식에 대한 투자 동기가 시세차익을 노리는 단기투자라면 미술품에 대한 투자는 10년이 넘는 장기투자이면서도 정신적인 체험을 더 중시하는 형태를 띠기 때문이다.
국내 미술품의 유통은 크게 화랑과 경매를 통해서 이뤄진다. 경매의 경우 최근 온ㆍ오프라인을 넘나들면서 급속히 확대돼 낙찰률 역시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경매시 주의할 점은 수수료를 염두에 둬야 한다는 것. 구입자와 위탁자 모두 10% 이상의 수수료를 내야 하기 때문에 고가 미술품 경매시 수수료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한국화랑협회에서 발표한 작가별 호당 가격이나 경매낙찰가 등으로 작품가격을 미리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미술품, 골동품은 자체가 자신의 취미생활이나 열정의 대상이 될 때 높은 시너지 효과를 올릴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단기적인 투기가 아니라 적게는 1~2년에서 많게는 10년 이상을 느긋이 기다릴 수 여유를 가져야 성공할 수 있다.
한국 현대미술작가 박수근(1914~1905)의 작품들이 연이어 국내 경매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지난해 3월 미국 뉴욕 크리스티경매에서 유화 ‘겨울’이 57만달러에 팔려 한국현대미술 해외경매 최고가를 기록했다. 또 3월 말에는 국내 서울옥션 경매에서 유화 ‘초가집’이 4억7,500만원에 낙찰돼 한국현대미술 국내 경매 최고가 신기록을 세웠다. 5월에는 박수근의 유화 ‘아이 업은 소녀’가 5억500만원에 낙찰돼 또다시 기록을 경신했다. 그리고 지난 11월 경매에서는 3호가 조금 넘는 작품 유화 ‘노상’이 5억원에 팔렸다.
생전에 그의 작품은 한국적 정서를 잘 담고 있어 주한외국인들에게 인기가 높았다. 당시 그림가격은 50~100달러로 평범한 회사원의 한 달 월급에 불과했다.
제2의 박수근을 찾는 방법은 없을까. 젊은 화가일수록 시장가격이 낮게 형성되는 경우가 있어 ‘대박 기회’가 발생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젊은 작가들의 경우 시장에서 살아남을 확률이 그만큼 낮아 리스크가 높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한편 근현대미술품 중에서는 박수근의‘아이 업은 소녀’가 최고가에 경매가 성사됐지만 고미술까지 포함하면 국내 경매 1위는 2000년 4월 7억원에 낙찰된 조선후기 화가 겸재 정선의‘노송영지’다.
세계에서 가장 비싼 액수에 경매가 성사된 작품은 빈센트 반 고흐(1853~1890)의 ‘닥터 가셰의 초상’. 8,259만달러에 낙찰됐으며 한화로 1,000억원이 넘는 액수. ‘해바라기’ 역시 3,629만달러, ‘자화상’ 7,150만달러 등으로 고흐는 세계 미술시장의 최고 인기작가로 군림하고 있다.
미술품에 투자해 차익을 노린다는 ‘화테크’ 개념은 아직 국내 일반인들에게 낯선 게 사실이다. 미술품의 경우 부동산이나 주식과 달리 작가의 장래성, 작품 구입의 목적성, 현금 호환성 등을 다양하게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미술품에 대한 관심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부동산과 주식에 대한 투자 동기가 시세차익을 노리는 단기투자라면 미술품에 대한 투자는 10년이 넘는 장기투자이면서도 정신적인 체험을 더 중시하는 형태를 띠기 때문이다.
국내 미술품의 유통은 크게 화랑과 경매를 통해서 이뤄진다. 경매의 경우 최근 온ㆍ오프라인을 넘나들면서 급속히 확대돼 낙찰률 역시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경매시 주의할 점은 수수료를 염두에 둬야 한다는 것. 구입자와 위탁자 모두 10% 이상의 수수료를 내야 하기 때문에 고가 미술품 경매시 수수료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한국화랑협회에서 발표한 작가별 호당 가격이나 경매낙찰가 등으로 작품가격을 미리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미술품, 골동품은 자체가 자신의 취미생활이나 열정의 대상이 될 때 높은 시너지 효과를 올릴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단기적인 투기가 아니라 적게는 1~2년에서 많게는 10년 이상을 느긋이 기다릴 수 여유를 가져야 성공할 수 있다.
한국 현대미술작가 박수근(1914~1905)의 작품들이 연이어 국내 경매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지난해 3월 미국 뉴욕 크리스티경매에서 유화 ‘겨울’이 57만달러에 팔려 한국현대미술 해외경매 최고가를 기록했다. 또 3월 말에는 국내 서울옥션 경매에서 유화 ‘초가집’이 4억7,500만원에 낙찰돼 한국현대미술 국내 경매 최고가 신기록을 세웠다. 5월에는 박수근의 유화 ‘아이 업은 소녀’가 5억500만원에 낙찰돼 또다시 기록을 경신했다. 그리고 지난 11월 경매에서는 3호가 조금 넘는 작품 유화 ‘노상’이 5억원에 팔렸다.
생전에 그의 작품은 한국적 정서를 잘 담고 있어 주한외국인들에게 인기가 높았다. 당시 그림가격은 50~100달러로 평범한 회사원의 한 달 월급에 불과했다.
제2의 박수근을 찾는 방법은 없을까. 젊은 화가일수록 시장가격이 낮게 형성되는 경우가 있어 ‘대박 기회’가 발생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젊은 작가들의 경우 시장에서 살아남을 확률이 그만큼 낮아 리스크가 높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한편 근현대미술품 중에서는 박수근의‘아이 업은 소녀’가 최고가에 경매가 성사됐지만 고미술까지 포함하면 국내 경매 1위는 2000년 4월 7억원에 낙찰된 조선후기 화가 겸재 정선의‘노송영지’다.
세계에서 가장 비싼 액수에 경매가 성사된 작품은 빈센트 반 고흐(1853~1890)의 ‘닥터 가셰의 초상’. 8,259만달러에 낙찰됐으며 한화로 1,000억원이 넘는 액수. ‘해바라기’ 역시 3,629만달러, ‘자화상’ 7,150만달러 등으로 고흐는 세계 미술시장의 최고 인기작가로 군림하고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