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독을 올려놓는 낮은 축대. 제주도에서는 장항굽, 이북에서는장독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대부분 부엌 뒷문에 가까운 뒤꼍 공간에 두지만 격조 있는 집에서는 대청의 주축선과 연결시킨 정결한 자리에 배치한다.ㄱ자집에서는 안채의 옆 공간인 뒤뜰에 놓기도 한다. 남해안과 서해안의 작은 집과 뒤꼍이 넉넉하지 못한 산골짜기나 섬의 집들은부엌 앞 양지바른 마당에 자리잡기도 하며, 때로는 부엌을 넓게 하고부엌 한 귀퉁이에 장독들을 세워놓기도 한다.장독대는 배수가 잘되도록 약간 높은 곳, 혹은 지면에서 20∼30㎝ 정도 높이로 호박돌과 자갈을 깔고 그 위에 여러 개의 판석을 깔아 만든다. 그러나 요즈음은 판석 대신 석회를 써서 마감하기도 한다.모양은 긴 네모꼴이 많으며 보통 집의 용마루방향과 같게 놓인다.크기는 2×3m, 3×4m, 혹은 2×4.5m 등으로 일정하지 않지만,일반적으로 경기도를 중심으로 한 중부지방이 큰 장독대를 두는경향이 있다.이 곳에는 우리의 기본 식품인 간장, 된장, 고추장 및 빈 항아리를나열한다. 드물게는 고춧가루, 김치, 깨, 소금 등의 부식을 담은작은 항아리를 두기도 한다. 장독들은 두 줄 또는 석 줄로 잘 정렬하여 배치하는바, 큰 독을 뒤쪽에 두고 작은 독은 앞쪽에 놓는다.장독의 숫자는 지방에 따라 일정하지 않지만 큰 것이 4∼6개 정도, 중간크기의 것이 4∼5개 정도이며, 작은 것은 대중이 없기는 하지만 이보다 훨씬 많으며 전체의 숫자는 대충 15개 내외이다. 그러나 살림이 풍족하지 않은 산간지대에서는 큰 독이 3∼4개, 작은 항아리가 3개 내외 정도이다. 특이하게 제주도에서는 둥근 모양의장독대를 만들기도 한다. 제주도에서도 4∼5개의 장독을 놓아두는데, 이것은 육지의 산간지대와 같은 현상으로 장독대에는 장류만 저장하고 기타 부식품은 집 안에 두기 때문이다. 영남과호남지방의 일부에서는 장독대를 안마당에 두는 대신 주위에 나지막한 담장을 예쁘게 두르고 지붕을 해 달아서 아름답게 꾸미기도 한다. 장독대에는 성주가 모셔져 있는 수가 많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