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되지 않은 거대한 별이라도 인류역사 전체를 합한 것보다 오래되었다. 그런데 어떻게 천문학자들은 그들의 별 진화 모델의 예측을 검사할 수 있을까? 과학에서 과학적 진실을 판단하는 유일한 것은 실험과 관측이다. 아무리 좋고 멋진 과학적 이론이 나타나더도 그것이 정확한 검사가능한 예측을 만들지 못한다면 쓸모없는 것이다. 성단에 있는 별들의 color-magnitude(HR) 도표가 만들어졌을 때 그것에는 우리의 별 진화 모델을 설득력있게 확정하는 것이 있었다.
성단에 있어서 좋은 점은 별들간의 차이는 오직 한가지 변수 즉 질량에 …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2:56
조회 1240
더보기
|
수소와 헬륨, 그리고 약간의 리튬, 보론, 베릴륨은 우주가 생성될 때 생겨났다. 우주속의 원소의 남은 것들은 핵융합 반응으로 별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 반응들은 별의 중심부에서 가벼운 원소들을 합쳐서 무거운 원소를 만들어냈다. 별의 바깥층들이 내부로 당겨질 때, 그 과정에서 물질들은 나중에 별이나 행성이 될 가스구름으로 만들어진다. 우리 태양계를 형성한 물질은 이전의 별들의 잔해들을 뭉친 것이다. 수소와 대부분의 헬륨을 제외한 지구상의 모든 원소들은 재생된 물질이다---그들은 지구에서 생성된 것이 아니라 별들에서 만들어진 것들이었…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2:56
조회 1589
더보기
|
단계: 거대 분자 구름
거대 분자 구름은 크고 밀도가 높은 (먼지가 포함된) 구름인데, 이곳은 분자가 형성될 만큼 충분히 차갑다. 수천 개의 거대 분자 구름이 우리 은하의 원반 부분에 존재한다. 각각의 분자 구름에 있는 물질들은 태양 질량의 10만 배에서 수백만 배에 이르는 질량을 가진다.
가까운 예로 오리온자리의 칼 부분에 있는 보풀 모양의 오리온 성운이다. 오리온 성운은 약 1500광년 떨어져 있으며 29광년의 폭을 가진다. 이 성운은 성운의 중심부에 있는 네 개 별로 이루어진 사다리꼴 성단에 있는 O형 별 주위…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2:55
조회 1963
더보기
|
별이 지나가는 단계와 각각의 단계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머물것인가 하는 것은 별의 질량에 의존한다. 무거운 별은 가벼운 별보다 빨리 진화한다. 앞장에서 광도와 질량의 관계는 압축가스가 어떻게 행동하는가에 기본 원리를 사용하여 설명되었다. 질량의 약간의 증가는 별의 많은 양의 광도 증가를 가져온다.
별은 핵에서 핵융합 작용으로 빛을 낸다. 무거운 별들이 가벼운 별들보다 짧게 사는 이유는 그들이 연로를 쓰는 비율이 훨씬 크기 때문이다 무거운 별들은 연료들을 엄청나게 많이 소비하는 큰 연료통을 가진 수십년전의 자동차와 같다. 그에 비해…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2:53
조회 1411
더보기
|
우리 은하(은하수,Millky Way)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거리에 대한 감을 잡기 위해서, 1파섹=3.26광년이라는 것과 태양에 밖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별이 1.3파섹 떨어져 있다는 것을 상기해 보기 바란다. "금속이 풍부한" 별은 헬륨보다 무거운 원소의 성분비가 더 크다. 이 무거운 원소들은 오직 별의 핵융합 반응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금속이 풍부한 별은 이전의 별생성에서 나온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금속이 부족한 별은 어떤 과정도 거의 거치지 않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금속이 부족한 별은 …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22:52
조회 1146
더보기
|
우리은하의 중심은 궁수 자리 방향으로 태양계로부터 26,000광년 떨어진 곳에 있다. Sagittarius A라 불리는 긴 라디오파원이 중심에 보인다. 라디오파 방출은 강한 자기장 주위를 회전하는 빠르게 움직이는 대전 입자에 의한 비(非)열적(싱크로트론) 복사이다. 직경 3광년 이하인 물체로부터 나오는 X-ray도 또한 보인다.
은하 원반면은 좌상에서 우하로 뻗어있다. 평행한 필라멘트들은 은하면에 수직하다. 영상은 직경 190광년 정도이다. 중심 부근의 별들의 스펙트라에서 스펙트럼 선들의 도플러 이동으로부터 발견된 별들의 속…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00:06
조회 1421
더보기
|
로스엔젤레스 교외의 월슨산 천문대에서 일하던 천문학자 월터 바데 (1893-1960)는 그가 독일 태생이라는 이유로 2차대전동안 미국의 군사 연구에 참여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좋은 천문학자로 그는 전시동안 로스엔젤레스의 전시 등화관제로 어두워진 밤하늘의 이득을 얻었다. 다른 천문학자들이 전쟁 관련 연구에 참여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는 망원경을 상의할 충분한 시간을 가졌다. 1944년, 그는 우리 은하의 별들이 두 기본 그룹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 종족 I과 종족 II로.
종족 I 별들은 은하의 원반 성분…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00:06
조회 1488
더보기
|
Gravity Applications 장 물체의 궤도 크기와 그 궤도를 도는 속도를 알면 중심 물체의 무게와 어떤 지점 주위로 궤도 운동을 하는 두 물체의 무게를 알 수 있다는 것을 회상하라. 같은 이론이 은하의 중력을 계산하는데에도 쓰일 수 있다!(중력이 놀랍지 않은가?) 이 경우에서는 관련된 두 개의 질량이 별의 질량과 별의 궤도 안에 있는 은하의 부분의 질량이다. 대부분의 궤도에서 궤도 안에 있는 은하의 질량은 별의 질량보다 훨씬 크고 따라서 별의 질량을 무시해도 된다.
별의 궤도 안의 은하의 부분으로부터의 중력은 별이 궤…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00:05
조회 1411
더보기
|
Shapley의 발견에 대한 다른 증거는 중심에 대한 태양의 운동에서 찾을 수 있다. 천구의 한쪽에 있는 구상성단들은 적색편이를 띄고 다른 쪽에 있는 구상성단들은 청색편이를 가진다. 별들과 태양근처에 있는 HII 지역은 약간의 도플러 편이를 띈다. 이것으로부터 당신은 은하는 일정한 방식으로 회전하지만 구상성단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성 수소원자에서 방출되는 21cm파는 은하원반의 운동을 그리는데 사용된다. 은하의 중심은 사수자리 방향으로 26000광년 떨어진 곳에 있다.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00:05
조회 1011
더보기
|
1918년 Harlow Shapley는 93개의 구상성단들의 거리를 알아내기 위해 그가 측정했던 변광성들의 주기와 밝기간의 관계를 사용했다. 구상성단은 은하의 중심 근처에 있는 수십만 개에서 수백만 개의 별(별들의 물방울처럼 보이는)들이 타원형의 궤도에 있는 구형의 성단이다. 두 개의 구상성단의 그림이 아래에 있다: Messier 5(뱀자리 머리부분에 있는)와 47 Tucanae(Tucana별자리의 남쪽에 있는) 이다.
위의 은하의 측면도에서 은하 중심의 부푼 부분 주위에 있는 작은 점들이 모여있는 것이…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00:04
조회 978
더보기
|
1540년대에,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 아님을 밝혔다. 그는 태양이 우주의 중심이라 했다. 코페르니쿠스의 관점은 수백년 동안 관찰적 근거에 대해 지속되었다. 1910년대에, 태양은 우주의 중심에서 밀려나, 은하 중심에서 벗어난 은하 원반의 한 표준 지점이 되었다. 할로우 셰이플리(1885--1972)는 매우 오래된 별의 집단들 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 사실을 알아냈다. 그는 빛의 밝기의 역수 제곱 법칙을 그 오래된 별 집단에 있는 특별한 유형의 변광성에 적용하였다.
별 집단이나 다른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00:03
조회 1704
더보기
|
태양계가 은하계의 안에 위치해 있고, 우리는 단지 모두 다른 방향을 바라볼 수 있으므로, 우리 은하계의 구조를 측정하는 것은 쉬운일이 아니다. 우리의 상황은 마치 당신이 앞문 현관(혹은 뒷문 현관)에 서서 단지 밖을 바라보며, 길을 건너 움직이지 않고, 마을의 경계를 측정하려는 것과 같다. 당신이 폭이 좁고 긴 한 무리의 별을 본다는 사실은 우리 은하가 얇은 원반모양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만약 우리가 좀 더 둥근 모양의 은하에서 살고 있다면, 별들은 하늘에서 더 일정하게 퍼져 있을 것이다. 궁수 자리 방향으로 돌출의 단…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00:03
조회 1415
더보기
|
성간 물질의 약 99%는 가스(Gas)로 되어 있고 이것은 90%는 수소(원자나 분자의 형태)와 10% 의 헬륨, 그리고 아주 조금의 나머지 원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가시광선의 영역에서 먼지들이 이 가스들보다 훨씬 더 큰 영향을 끼친다. 성간 가스의 존재는 쌍성 계의 선스펙 트럼을 봄으로써 알 수 있다. 두 별이 서로 궤도 운동을 함에 따라 움직이는 넓은 간격의 선들 사이에 우리는 움직이지 않는 좁은 간격의 선들을 볼 수 있다. 이것들은 우리와 쌍성 계 사이에 있는 성간 물질의 다소 차가운 가스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다…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00:02
조회 2976
더보기
|
티끌(Dust)은 얼음으로 싸인 얇고 탄소나 규소로 된 납작한 조각이나 바늘들로 이루어졌다. 한 조각의 크기는 푸른빛의 파장정도 이다. 티끌은 아마도 차가운 적색거성의 표면에서 생겨서 적색거성풍이나 행성상성운에 실려서 우주로 퍼졌을 것이다.
소광(Extinction)티끌층을 지나는 빛은 두가지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티끌층이 충분히 두꺼우면 빛은 완전히 차단되고, 안 그러면 빛의 파장이나 티끌층의 두께에 따라 부분적으로 산란된다. 어느 파장이나 티끌층을 지나면 좀 흐려지는데, 이를 소광이라고 한다.
이 글…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4 00:00
조회 1493
더보기
|
태양계는 우리은하(은하수, 미리내, the Milky Way) 라고하는 큰 은하안에 있다. 당신이 밤에 볼 수 있는 모든 별들과 그 외 수천억개의 별들은 모두 은하라고 불리는 중력으로 뭉쳐진 큰 응집물 안에 있다. 우리 은하안의 대부분의 별들은 멀리 떨어져 있어서 하늘에서 하나의 띠로 합쳐 보인다. 운이 좋으면 당신은 카시오페이아, 페르세우스, 황소, Monoceros, 돛자리, Crux, 직각자, 궁수, Scutum, Aguila, Cygnus, Lacerta 의 별자리를 지나가는 은하수(Milky Way)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3 23:59
조회 997
더보기
|
전파천문학(電波天文學 Radio Astronomy)은 가시광선(可視光線)보다 파장이 긴 전파(파장 1mm이상)를 이용하여 천체나 성간물질 등의 물리적 상태를 연구하는 천문학입니다.
1933년 미국의 K.G.잰스키가 당시 벨전화연구소의 기술자로 있을 때 전화통신이 벼락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연구하다가 은하수(銀河水) 방향에서부터 강력한 전파가 날아오고 있는 것을 발견한 것이 우주전파(宇宙電波)를 연구하는 새로운 학문의 문을 열게 되었고, 우주에 대한 지식도 획기적으로 전진하게 되었습니다. 1942년 1∼10cm의 파장인 태양으로…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3 23:58
조회 1051
더보기
|
광학천문학( 光學天文學 Optical Astronomy)이란 한마디로 눈으로 관측하는 천문학입니다. 현대에는 광학천문학을 전자기파(電磁氣波) 중에서 사람의 눈에 보이는 범위의 파장을 가지고 있는 가시광선(可視光線)의 영역(파장범위 400∼800nm)에서 천문관측을 실시하고 물리법칙에 적용하는 천문학이라고 정의합니다.
갈릴레이(Galilei, Galileo)
갈릴레이가 만든 광학망원경광학천문학은 갈릴레이에의해 망원경이 실제로 천체관측 응용됨에따라 혁신적으로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광학천문학은 …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3 23:57
조회 998
더보기
|
천체분광학(天體分光學 Astronomical Spectroscopy)은 천체를 분광학적으로 연구하는 천체물리학의 한 분야로서 1814년 J.프라운호퍼의 태양 스펙트럼 관측이 그 시발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천체분광학은 목적은 천체의 복사(輻射)를 스펙트럼으로 분해하여 사진이나 광전관(光電管) 등을 사용해서 기록하고 가시광선인 경우에는 망원경에 프리즘 또는 회절격자(回折格子)를 사용한 분광기를 부착시켜서 관측함으로써 천체의 연속스펙트럼, 휘선(輝線) 및 흡수선 스펙트럼을 양자역학(量子力學)의 지식을 활용해서 해석하고 천체의 물리적…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3 23:56
조회 1123
더보기
|
옛날부터 여러 가지의 우주관이 자연과학의 발달에 따라 변천을 겪어 왔습니다. 금세기에 들어와서 거대한 망원경이나 전파망원경(電波望遠鏡)이 만들어지면서 관측자료가 늘어남에 따라 우주론은 단순한 상상이나 추정에 의한 것이 아니라 확고한 관측사실에 바탕을 둔 정밀과학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특히 1929년에 E.허블에 의하여 밝혀진 우주의 팽창은 1965년 발견된 우주의 배경복사(背景輻射)와 더불어 현대 우주론의 발판이 되는 중요한 사실입니다.
이러한 관측사실을 설명하는 이론은 금세기 초에 A.아인슈타인이 …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3 23:55
조회 1002
더보기
|
우주물리학(宇宙物理學)이라고도 불리워지며 천체의 내부구조, 에너지원, 진화등을 연구하는 분야인 천체물리학(天體物理學 Astrophysics)은 기존의 물리법칙을 이용하여 천체에 적용하고 또 새로운 물리법칙을 도출하는데 그 의의가 있는 천문학 분야입니다. Astrophysics라는 말은 2개의 어원으로 이루어져있는데 열(별)을 의미하는 astron과 성질을 의히마하는 그리스어(물리학) physic또는 physis가 합쳐진 말입니다.
천체물리학의 발전사
위치천문학과 천체역학과 달리 천체물리학은 19세기 이후로 발달한…
작성자타라곤
작성일 12-06-13 23:54
조회 1017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