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으로 들로 6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산으로 들로


 

Total 112건 6 페이지
산으로 들로 목록
그렇지 않습니다. 많은 개발도상 국가의 고산지역에서는 빈곤한 식수 때문에 장염(설사)이 일상적인 문제입니다. 반드시 청결한 물을 마시고, 잘 익힌 음식을 먹으며, 비누로 손을 씻음으로써 이러한 일상적 괴로움을 피해야 합니다. 설사는 개발도상 국가의 산악 지역에서 고소병(高所病 또는 고산병, 고소증세라고 함) 보다 더 일상적 증세입니다.
작성자파슬리 작성일 11-10-16 17:39 조회 1727 더보기
도대체 고소병(高所病)의 '위험인자' 들은 무엇일까? 역사적으로 고소병은 높은 고도에서 꾸준히 올라가는 것 조차가 매우 위험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너무 빨리, 너무 높게 오르면 육체적 무리는 명확한 위험요인 입니다. 과음, 수면제의 사용, 만성 폐질환(예, 낭포성 섬유증, 폐기종) 그리고 진행중인 호흡계통의 감염도 고소병(高所病 또는 고산병, 고소증세라고 함)에 취약하게 합니다. 잘 제어된 고혈압, 당뇨, 관상동맥 질환도 그 자체로서가 아니라 고소에 올라감으로 인해 고소병에 취약하게 하는 요인이 됩니다.
작성자파슬리 작성일 11-10-16 17:38 조회 1516 더보기
"왜 비슷한 연령이나 신체적 배경의 사람들이 고소에 같은 등정속도(동일한 고소적응 방법으로)로 등반할 때 다른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데 나만 고소병(高所病)으로 고통스러워 할까요?" 이런 질문을 많이 합니다. 이는 흥미로운 질문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고소병(高所病 또는 고산병, 고소증세라고 함)에 대해 다른 사람보다 더 민감하기도 한데, 이는 유전적 민감성이 같은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고소(高所)의 등반에서는 동료들을 서로 잘 돌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작성자파슬리 작성일 11-10-16 17:38 조회 1499 더보기
알코올을 마시는 것이 고소(高所)에서 문제의 원인이 될까요? 물론입니다. 알코올은 당신의 호흡을 억제합니다. 호흡을 자주하는 것은 고소(高所) 적응의 초석(礎石)이 되는 까닭에, 어떠한 호흡을 억제하는 물질(한 예가 수면제)도 피해야만 합니다. 추가하여 알코올은 탈수와 찌르는듯한 증상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작성자파슬리 작성일 11-10-16 17:37 조회 1574 더보기
고소(高所)에 갈 때 다이아목스(diamox, 아세타졸아미드acetazolamide 제재의 상품명)를 휴대하고 복용하여야만 하나요? 산에서의 약물복용은 피해야 합니다. 사람들에게는 단계별로 그들 신체가 적응하도록 하는 과정을 가지도록 하여 등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볼리비아의 라파즈(La Paz 볼리비아의 수도, 해발 3,250~4,100m)나 티베트의 라사(Lhasa 티베트의 수도, 해발 3,650m)로 비행하여야 하는 항공 관련자나 높은 고도에서 구조임무를 수행해야 하는 등의 단계적 적응할 시간이 없는 사람들은, 이전에 그 약에…
작성자파슬리 작성일 11-10-16 17:37 조회 2053 더보기
"저는 고소(高所)에서 가끔 밤에 가슴이 답답한(흥분된) 느낌으로 일찍 일어나는 경향이 있어 걱정됩니다. 어떻개 해야 할까요?" 이는 일상적 문제입니다. 이 현상은 아마 고소(高所)에서의 과도한 '주기성 호흡'(빠른 호흡을 하는가 하면 느린 호흡을 하기도 하며 시각적, 청각적으로 호흡이 없기도 하는 증상) 때문인데 때로는 불안증으로 이어집니다. 신뢰할 만한 경험 보고에 의하면, 다이아목스(아세타졸아미드 제재의 상품명)의 소량 복용(저녁 식전 125mg)으로 주기성 호흡의 고통 증상을 감소시켜 산소수준을 높이면 숨이 막히는 느낌을 사…
작성자파슬리 작성일 11-10-16 17:36 조회 1655 더보기
현재로서 수화(水和 hydration 신체에 보충된 물에 세포의 어떤 용질이 녹는 현상)가 고소병(高所病 또는 고산병, 고소증세라고 함)의 민감성에 얼마나 관련 있는지에 관한 보고는 매우 적습니다. 하여간, 고소에서 사람의 신체 세포가 탈수(dehydrated)되는 것은 고소병의 증후(두통과 피로)를 진행시키기 때문에 좋지 않습니다. 탈수는 대사 속도를 저해하여, 피로를 유발하고, 단기 기억력을 감퇴시키고, 여러 가지 건강상 문제를 일으키는 데 일정한 원인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지나치게 음료를 마셔 저염(抵鹽) 수준(…
작성자파슬리 작성일 11-10-16 17:36 조회 1596 더보기
아프리카 최고봉 킬리만자로(Mt. Kilimanjaro 5,895m) 등정 성공율은 얼마나 될까? 국제산악연맹(UIAA) 의무위원회의 회원인 영국인 의사 제레미(Jeremy Windsor)씨는 "이상하게 들릴 수 있겠지만, 킬리만자로봉은 이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산일 수도 있다."고 말한다. 그에 따르면, "안정적 날씨, 곧게 뻗은 산길, 질병이나 부상도 보통 정도임에 불구하고 매 년 약 4만 명이 킬리만자로봉에 가지만 25~50%만이 정상등정에 성공한다."고 한다. '차가운 온도, 탈수 그리고 고산병이 등반가들이 되돌아 서는 가장…
작성자파슬리 작성일 11-10-16 17:35 조회 1366 더보기
암벽등반의 예의 Rock Climbing involves certain risks and climbers are expected to be responsible enough to ensure safety. It is necessary to follow these Rock Climbing safety guidelines. 암벽등반은 어떠한 형태로든 위험을 내재하고 있으며 등반자들은 충분히 안전관리에 책임을 가져야 한다. 등반 시 다음과 같은 암벽등반의 안전수칙을 지키는 것이 필요하다. Be considerate to climbers,…
작성자파슬리 작성일 11-10-16 17:34 조회 1803 더보기
산행의 곳곳에는 사태, 낙석, 추락, 탈진, 탈수, 시력과 방향감각상실, 폐염, 전염 등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멀리 있는 높은 산은 그 위험이 더 크리라 생각한다. ExWeb은 존재하는 위험에 대해 몇 가지의 황금룰(Golden Rule)을 제시하며 '일곱 가지 생존법칙(7 Survival Rules)' 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제1조 Always have the last word on your safety. 항상 최종적으로 검토하여야 할 것은 안전이다. -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 제2조 Respect the weather. 날씨…
작성자파슬리 작성일 11-10-16 17:34 조회 1328 더보기
2009년 7월 한국의 여성등반가 고미영 씨의 죽음으로 히말라야 8,000m가 넘는 고봉이 14개가 된다는 것이 일반인들도 상식이 되었다. 흔히들 8천m 14(座)로 불리우기도 하지만 14(座)라는 표현은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한자로사용될 뿐이다. 영어로는 8000er 또는 8000ers(복수형)로 표현되며 "8,000m를 넘는 산" 정도로 표현된다. 그리고 현대 히말라야 등반의 의미를 부여함에 있어 단순한 8,000m 등정은 대단한 평가를 받지 못하며, "얼마나 어려운 루트를 올랐는가"로 등반의 성과를 평가한다. 2009년 7월 현…
작성자파슬리 작성일 11-10-16 17:33 조회 1256 더보기
산을 오르는 데 있어 목적과 방식에 따라 몇 가지 종류로 나누어 진다. 야외활동(Outdoor)하이킹과 백패킹, 트레킹, 등산, 등반으로 구분 대상에 따른 분류 계곡등산, 능선등산, 리지등반, 암벽등반, 설벽등반, 빙벽등반, 혼합등반 등산형태에 따른 분류 종주등산, 횡단등산, 방사상등산, 집중등산, 파상등산 인원에 따른 분류 단독등산과 그룹등산, 집단등산 그 밖의 등산방식 안자일렌, 격시등반, 동시등반, 연속등반, 속공등반, 극지법등반, 알파인등반 ※ 야외 활동(outdoor) 하이킹 편안한 옷차림과 간단한…
작성자챠이브 작성일 11-09-15 23:46 조회 1215 더보기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