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도 폐쇄의 원인과 대처
페이지 정보
작성자 파슬리 댓글 0건 조회 1,459회 작성일 11-10-16 19:38
본문
1) 기도폐쇄의 원인
● 큰 조각의 음식물을 충분하게 잘 씹지 않고 삼키려 할 때
● 음식물을 먹으면서 술을 마실 때
● 의치(틀니) : 음식물의 크기를 감지하기 어렵다.
● 흥분하거나 크게 웃으면서 음식물을 삼킬 때
● 입에 음식물이 있는 상태에서 걷거나 놀거나 뛸 때
이상의 경우 기도폐쇄가 일어날 수 있다.
2) 의식이 있는 성인기도폐쇄의 경우
① 환자에게 자신이 응급처치원임을 밝히고 도와주겠다고 말한다.
② 복부 밀쳐 올리기를 실시한다.
● 환자를 서게 하거나 앉힌 뒤 환자 뒤에 서서 팔로 환자의 허리를 팔고 감은 한손은 주먹을 쥔다. 주먹 쥔 손은 엄지손가락 부분이 배꼽 위와 흉골 아래쪽 끝 사이의 복부 중앙에 오도록 한다.
● 주먹 쥔 손을 다른 손으로 잡고 팔꿈치가 환자의 바깥쪽을 향하게 하여 환자의 복부 안쪽으로 주먹을 누르며 위를 향하여 빠르게 밀쳐 올린다. 반드시 환자의 복부 중심선에 주먹이 오도록 하고 옆으로 밀치는 일이 없도록 한다.
● 복부 밀쳐 올리기는 한번 씩 확실하게 시도해야 함을 유념 하라.
● 계속적으로 반복하지 말고 한 번씩 하고 그 때마다 이물질이 제거 되었는지를 확인하라.
● 복부 밀쳐 올리기는 이물질이 제거 되었거나 환자가 의식을 잃을 때까지 반복한다.
3) 의식이 없는 성인기도폐쇄의 경우
① 현장조사/연락/의식유무 확인
현장의 안전 유무 조사. 119에 연락. 환자의 의식상태 확인.
② 1차 호흡확인 : 10초간
환자의 자세를 그대로 유지한 채 환자의 얼굴 가까이 대고 10초간 호흡 확인
③ 환자의 자세 교정 : 환자를 똑바로 눕힌다.
④ 기도개방
한 손은 환자의 이마 위에 한 손은 환자의 아래턱 뼈 밑에 대고 위로 충분히 끌어올려 기도를 열어준다.
⑤ 2차 호흡확인
기도개방을 유지 한 채 환자의 입과 코 가까이 귀를 대고 환자의 가슴을 보며 10초간 호흡확인.
⑥ 두 번 충분히 불어넣기
● 기도개방을 유지하고 이마에 얹은 손으로 코를 막으며 잡는다.
● 공기를 크게 들이 마시고 환자에게 매회 2초간 실시한다.
● 처치원의 귀를 환자의 코에 대고 가슴의 오르내림을 확인한다.
● 공기가 나감을 보고, 듣고, 느낀다.
⑦ 다시 기도 개방과 두 번 충분히 불어넣기
⑧ 흉부압박 15회
⑨ 이물질 확인
환자 얼굴을 위로 향하게 하고 입을 벌린 뒤 환자 다리 쪽의 처치원의 손의 엄지와 다른 손가락으로 환자의 혀와 아래턱을 잡고 턱을 끌어올린다. 검지를 환자의 목구멍 깊숙이 혀뿌리 부위까지 집어넣는다. 손가락을 갈고리 모양으로 하여 이물질을 입 속으로부터 끄집어낸다.
⑩ 두 번 충분히 불어넣기
⑪ 순서대로 반복
흉부압박 15회 →이물질 확인→기도개방과 두 번 충분히 불어넣기를 한다.
● 큰 조각의 음식물을 충분하게 잘 씹지 않고 삼키려 할 때
● 음식물을 먹으면서 술을 마실 때
● 의치(틀니) : 음식물의 크기를 감지하기 어렵다.
● 흥분하거나 크게 웃으면서 음식물을 삼킬 때
● 입에 음식물이 있는 상태에서 걷거나 놀거나 뛸 때
이상의 경우 기도폐쇄가 일어날 수 있다.
2) 의식이 있는 성인기도폐쇄의 경우
① 환자에게 자신이 응급처치원임을 밝히고 도와주겠다고 말한다.
② 복부 밀쳐 올리기를 실시한다.
● 환자를 서게 하거나 앉힌 뒤 환자 뒤에 서서 팔로 환자의 허리를 팔고 감은 한손은 주먹을 쥔다. 주먹 쥔 손은 엄지손가락 부분이 배꼽 위와 흉골 아래쪽 끝 사이의 복부 중앙에 오도록 한다.
● 주먹 쥔 손을 다른 손으로 잡고 팔꿈치가 환자의 바깥쪽을 향하게 하여 환자의 복부 안쪽으로 주먹을 누르며 위를 향하여 빠르게 밀쳐 올린다. 반드시 환자의 복부 중심선에 주먹이 오도록 하고 옆으로 밀치는 일이 없도록 한다.
● 복부 밀쳐 올리기는 한번 씩 확실하게 시도해야 함을 유념 하라.
● 계속적으로 반복하지 말고 한 번씩 하고 그 때마다 이물질이 제거 되었는지를 확인하라.
● 복부 밀쳐 올리기는 이물질이 제거 되었거나 환자가 의식을 잃을 때까지 반복한다.
3) 의식이 없는 성인기도폐쇄의 경우
① 현장조사/연락/의식유무 확인
현장의 안전 유무 조사. 119에 연락. 환자의 의식상태 확인.
② 1차 호흡확인 : 10초간
환자의 자세를 그대로 유지한 채 환자의 얼굴 가까이 대고 10초간 호흡 확인
③ 환자의 자세 교정 : 환자를 똑바로 눕힌다.
④ 기도개방
한 손은 환자의 이마 위에 한 손은 환자의 아래턱 뼈 밑에 대고 위로 충분히 끌어올려 기도를 열어준다.
⑤ 2차 호흡확인
기도개방을 유지 한 채 환자의 입과 코 가까이 귀를 대고 환자의 가슴을 보며 10초간 호흡확인.
⑥ 두 번 충분히 불어넣기
● 기도개방을 유지하고 이마에 얹은 손으로 코를 막으며 잡는다.
● 공기를 크게 들이 마시고 환자에게 매회 2초간 실시한다.
● 처치원의 귀를 환자의 코에 대고 가슴의 오르내림을 확인한다.
● 공기가 나감을 보고, 듣고, 느낀다.
⑦ 다시 기도 개방과 두 번 충분히 불어넣기
⑧ 흉부압박 15회
⑨ 이물질 확인
환자 얼굴을 위로 향하게 하고 입을 벌린 뒤 환자 다리 쪽의 처치원의 손의 엄지와 다른 손가락으로 환자의 혀와 아래턱을 잡고 턱을 끌어올린다. 검지를 환자의 목구멍 깊숙이 혀뿌리 부위까지 집어넣는다. 손가락을 갈고리 모양으로 하여 이물질을 입 속으로부터 끄집어낸다.
⑩ 두 번 충분히 불어넣기
⑪ 순서대로 반복
흉부압박 15회 →이물질 확인→기도개방과 두 번 충분히 불어넣기를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