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을 하면 우리 몸에 얼마나 열이 날까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파슬리 댓글 0건 조회 1,613회 작성일 11-10-16 20:00
본문
수분을 섭취하지 않고 장시간 운동을 하면 신체는 어떻게 될까요?
탈수는 피로뿐만 아니라 그 밖에도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킵니다.
수분 섭취에 관한 다른 글들도 보면서 자신의 습관을 체크해보시길 바랍니다.
탈수는 피로뿐만 아니라 그 밖에도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킵니다.
수분 섭취에 관한 다른 글들도 보면서 자신의 습관을 체크해보시길 바랍니다.
1. 운동을 하면 근육에 많은 에너지가 발생한다.
발생한 에너지 중에 운동에 직접 사용되는 양은 적고 대부분 열로 변한다. 운동 시 신체가 뜨거워지는 것은 이 때문이다. 겨울에는 이 열이 신체를 따뜻하게 하지만 여름에는 열피로의 원인이 된다. 인간은 체온이 42도가 되면 사망한다.
예전에 등산 중에 물을 마시면 쉽게 지치므로 물을 못 마시게 한 적도 있었지만 이것은 틀린 정보다. 운동중에 수분을 섭취하지 않으면 체온이 상승하여 쉽게 피로해진다. 자동차의 엔진에 비유하면 오버히트(over heat)에 해당하는 것이다. 엔진의 오버히트를 방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냉각수로 열을 식힌다. 인체도 마찬가지다. 체온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수분을 보급할 필요가 있다.
발생한 에너지 중에 운동에 직접 사용되는 양은 적고 대부분 열로 변한다. 운동 시 신체가 뜨거워지는 것은 이 때문이다. 겨울에는 이 열이 신체를 따뜻하게 하지만 여름에는 열피로의 원인이 된다. 인간은 체온이 42도가 되면 사망한다.
예전에 등산 중에 물을 마시면 쉽게 지치므로 물을 못 마시게 한 적도 있었지만 이것은 틀린 정보다. 운동중에 수분을 섭취하지 않으면 체온이 상승하여 쉽게 피로해진다. 자동차의 엔진에 비유하면 오버히트(over heat)에 해당하는 것이다. 엔진의 오버히트를 방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냉각수로 열을 식힌다. 인체도 마찬가지다. 체온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수분을 보급할 필요가 있다.
2. 수분공급과 피로도에 관한 실험
온도 38도, 습도 30%의 조건에서 트레드밀을 6시간 걷는 것으로 등산과 유사한 운동을 한 결과를 보면,
① 음료수를 못 마시게 했을 때에는, 운동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체온이 상승하여 4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피로영역에 들어가 심한 피로감을 나타냈다.
② 음료수를 자유롭게 마시게 했을 때는, 체온이 크게 상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끝까지 쾌적한 상태에서 운동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운동 중에 마신 음료수는 탈수량의 2/3에 해당하여 운동 후반에는 체온이 약간 증가하였다.
③ 발한량과 같은 수분량을 강제적으로 섭취시켰을 때에는 끝까지 체온이 증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쾌적하게 운동을 할 수 있었다.
3. 등산할 때 어느 정도의 열이 발생할까?
선우 섭 교수는 자신을 실험대상으로 무더운 방에서 15kg의 배낭을 메고 1시간동안 모의 등산을 했을 때 평균 심박수는 분당 155회, 주관적 운동강도 ‘약간 힘들다~힘들다’, 운동 중 발생한 에너지 약 800Kcal이었다고 보고했다.
1시간 운동 후의 이론상 체온은 안정시보다 12도 상승한 49도가 된다. 운동으로 생성된 열이 전혀 소실되지 않는다면 이 운동을 20분만 하면 체온상승으로 사망하게 된다. 그러나 운동을 시작하기 전 37.5도였던 체온은 운동 1시간 후에도 1.5도 상승된 39도를 나타낼 뿐이다. 이것은 운동 중에 끊임없이 열을 체외로 발산시켰기 때문이다. 열을 발산시키는 주역은 땀이다. 땀이 증발하면서 많은 열을 빼앗아 체온을 떨어뜨린다.
온도 38도, 습도 30%의 조건에서 트레드밀을 6시간 걷는 것으로 등산과 유사한 운동을 한 결과를 보면,
① 음료수를 못 마시게 했을 때에는, 운동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체온이 상승하여 4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피로영역에 들어가 심한 피로감을 나타냈다.
② 음료수를 자유롭게 마시게 했을 때는, 체온이 크게 상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끝까지 쾌적한 상태에서 운동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운동 중에 마신 음료수는 탈수량의 2/3에 해당하여 운동 후반에는 체온이 약간 증가하였다.
③ 발한량과 같은 수분량을 강제적으로 섭취시켰을 때에는 끝까지 체온이 증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쾌적하게 운동을 할 수 있었다.
3. 등산할 때 어느 정도의 열이 발생할까?
선우 섭 교수는 자신을 실험대상으로 무더운 방에서 15kg의 배낭을 메고 1시간동안 모의 등산을 했을 때 평균 심박수는 분당 155회, 주관적 운동강도 ‘약간 힘들다~힘들다’, 운동 중 발생한 에너지 약 800Kcal이었다고 보고했다.
1시간 운동 후의 이론상 체온은 안정시보다 12도 상승한 49도가 된다. 운동으로 생성된 열이 전혀 소실되지 않는다면 이 운동을 20분만 하면 체온상승으로 사망하게 된다. 그러나 운동을 시작하기 전 37.5도였던 체온은 운동 1시간 후에도 1.5도 상승된 39도를 나타낼 뿐이다. 이것은 운동 중에 끊임없이 열을 체외로 발산시켰기 때문이다. 열을 발산시키는 주역은 땀이다. 땀이 증발하면서 많은 열을 빼앗아 체온을 떨어뜨린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