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게 맞는 최적의 상권은 어디? > 상권분석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상권분석


 

내게 맞는 최적의 상권은 어디?

페이지 정보

작성자 angelica 댓글 0건 조회 643회 작성일 14-01-27 07:46

본문

내 점포는 어디로 정하는 것이 좋을까? 역세권? 주택단지 혹은 일반근린상권? 아니면 오피스상권? 각각 상권에 맞는 창업 업종은 따로 있으며 그에 따라 전략도 각각 필요하다.


내가 창업 하려는 지역의 상주인구와 유동인구의 수는 어떤지, 또 이들의 소비 수준은 어떤지 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통 주택단지 내의 점포는 배후거주지역의 상주인구수를, 역세권 점포는 유동인구의 유입 수, 오피스상권의 점포는 기업체 상근 종사자 수를 기준으로 상권의 질이 결정된다.

그러나 착각하지 말아야 할 것은 인구 수 만 많다고 무조건 높은 매출을 올릴수 있다는 생각이다. 꼭 해당 상권 소비자의 특성도 함께 파악해야 한다.

한 예로 같은 연령대와 같은 소비량을 갖는 두 지역을 비교해보자. 지출 규모가 적은 고시생 집중 지역인 노량진ㆍ신림 상권의 경우 주먹밥, 컵밥 등과 같은 저가 제품이 선호된다. 반면에 홍대나 건대 상권은 외부에서 찾아오는 소비자에 의해 이색음식점, 고급음식점, 주점이 주를 이루며 매출 규모가 달라진다.

역세권의 경우는 유동인구가 많은 출입구일수록 경쟁력 확보가 쉽다. 또한 주변에 백화점, 멀티플렉스극장, 초대형 할인마트, 시외버스터미널, 찜질방, 예식장 등의 대형집객시설과의 거리가 가깝고 동선이 같은 라인에 있으면 유입되는 고객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다.

한 상권 내에서는 보통 동업종 간 상호 경쟁을 하지만 서로 보완관계를 이룰 수도 있다. 오히려 같은 업종이 한 데 모이면 지역 특화 식당가를 이룰 수 있어 상권 선정 시 이러한 특징들을 살리면 성공 가능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그 외에도 건물 입구의 방향, 화장실의 위생상태 등 해당 건물의 편익 시설과 멀리서도 한눈에 들어올 수 있도록 간판 노출 가시성 등의 영향도 받으므로 꼼꼼히 체크해 봐야 한다.

지역 내 상주인구수와 유동인구 정보는 지방자치단체 조사자료, 도시철도공사나 서울메트로 등 각 교통시설 관리회사의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다.

창업몰 경제연구소 CERI 박영민 팀장은 “고객이 찾는 이유는 먼 곳에 위치해 있더라도 찾아갈만한 경쟁력을 갖추거나 접근성이 좋기 때문”이라며 “같은 상권 안에서도 주요 타깃을 설정해 고객의 동선과 수요를 정확히 짚어 점포 위치를 선정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