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2016 특별전14: 이슬람 현대미술 Islamic Art Now,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
페이지 정보
작성자 Mint 댓글 0건 조회 2,408회 작성일 16-05-06 10:08
본문
Firooz Zahedi (1949-) Elizabeth Taylor
로스엔젤레스 카운티 미술관(LACMA, 라크마)은 현재 미국 내에서 이슬람 현대 미술을 최대로 보유하고 있다. 2011년부터 이슬람 현대 미술 위원회가 구성되어 작품 컬렉션을 했다. 위원회의 중심 인물은 사진 작가인 피루즈 자헤디는 2011년에 라크마 전시에 엘리자베스 테일러의 사진을 전시했다.
Jameel Prize, Victoria & Albert Museum
영국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은 이슬람 현대 미술을 소개할 목적으로 작가에게 상을 주는 자밀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것을 보고 LACMA에서도 중동 미술 컬렉션을 시작한다.
Shrin Neshat(1957-), Speechless 1996 from the series Women of Allah
이란 출신 작가 쉬린 네샅은 뉴욕에서 활동한다. 알라의 여자 시리즈이다. 귀고리의 총구가 외부로 향해 있으며, 얼굴에 미세한 글자들이 가득 쓰여있다. 1979년에 이란 혁명 후 호메이니의 통치 아래 이슬람 여성이 얼굴을 가리는 히잡을 쓰는 전통이 시작되었다. 이란 혁명 후 이란 이라크 전쟁이 8-9년 동안 계속되었다. 여자들은 애국심을 부추키며 전쟁 참여를 외치지만, 정작 국내에서 자신들에게 행해지는 폭력은 보지 못한다.
Shrin Neshat, Faceless, 1994, from the series Women of Allah
Abbas Kowsari(1970-), from the series Police Women Academy 2006
여성 경찰은 훈련할 때도 치렁치렁한 복장으로 한다. 여성 경찰 학교는 2-3년간 운영되다가 폐쇄된다. 1979년 호메이니가 혁명에 성공하여 최고 통치자 겸 종교 지도자로 세력을 잡았고, 지금은 하메네이가 그 자리를 대신한다. 신정체제이며 죽을 때까지 통치하는 종신제이다. 대통령이 있지만 형식에 지나지 않는다. 역사는 거꾸로 흘러가서 율법에 의한 삶을 살아야 한다.
Hassan Hajjaj(1961-), Gang of Kesh 2000
모로코의 엔디 워홀이다. 바이크 문화를 즐기는 족이다. 우리가 도둑질 하는 갱단도 아닌데 왜 이렇게 가려야 하는지를 희화화시켜 표현한다.
Nasser Al-Salem(1984-), Whoever Obeys Allah, He Will Make for Him a Way Out 2012
나사 알살렘은 메카에서 텐트파는 집안의 아들로 태어난다. 그는 서예를 배웠다. 이슬람 미술은 사람의 얼굴을 금지하며, 문자에 더욱 관심이 있다. 서예가가 더 존중되며 화가는 그 밑에 놓인다.
Newsha Tavakolian(1981-), Untitled from the series Listen 2011
여자가수가 거리에서 권투장갑을 끼고 외롭게 대항한다. 이란 여자들의 공개적 공연은 허락되지 않는다. 여자의 목소리는 사회가 관심을 가지는 음역대 밖에 있다. 율법을 거슬러 가까스로 공연을 해도 사람들이 보러 가지 않는다. 뉴샤 타바콜리안은 여성 신문 작가였는데 2011년에 중동 여성 사진 작가 클럽을 결성했다. 호메이니 혁명 후 이란과 이라크 내전이 오랫동안 계속되는 동안 남자들은 전쟁에 나가 많이 죽었다. 먹고 살기 위해 일해야 하는 여자들은 그 전에 못 가지던 사진작가같은 직업을 가진다.
Newsha Tavakolian, Untitled from the series Listen 2011
목소리가 없는 이란 여자가수가 파도를 버티면서 서 있다. 외부에서 중동 여자를 바라보는 시각에도 문제는 있다. 이란의 노동력의 1/3은 여자이며, 대학에도 여학생들이 많다. 보석, 속옷 시장, 성형수술이 붐을 일고 있다. 외국인들은 이슬람 여자들이 항상 폭력에 시달린다고 생각하지만 국내 상황은 그렇지만은 않다.
Newsha Tavakolian, Untitled from the Day I Become a Woman Series 2009
여자가 성년식을 하고 나면 전통 복장을 하고 다녀야 한다.
The Invention of Tradition 1983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전통은 원래부터 사회에서 내려왔던 것이 아니다. 근대 국가 형성시기에 국가의 정체성 nationality을 확립하기 위한 기재로 만들어진 것이다. 일본은 메이지 유신을 거치면서 근대 국가로 탈바꿈 하기 위하여 양처현모 전통을 만들어 낸다. 여자를 하위 그룹에 놓고 전통의 이름으로 엄마와 아내 역할을 하라고 교육을 시킨다.
Newsha Tavakolian, Mothers of Martyrs 2006
전쟁은 신의 뜻에 의한 성전이며, 전사자는 순교자로 추앙된다. 엄마가 순교자가 된 아들의 사진을 들고 있다.
Nafisi(1948-), Reading Lolita in Tehran
이란 혁명 이후에 출생한 작가들은 윗세대가 만든 억압받는 세상에서 얼굴 없는 여자처럼 살아야 한다. 이란 영문학자 아자르 나피쉬는 여성 해방운동을 하다가 대학에서 쫓겨난 후 클럽에서 동료들과 함께 로리타를 읽었다. 미국에 망명한 작가는 히잡을 쓴 여성들은 정체성이 없으며, 여성의 욕망을 거세시키는 사회에서 산다고 회고록에 쓴다.
The Hijabi Lolita
캘리포니아에 사는 25세의 알리사 살리자는 일본의 sub culture의 한 종류인 로리콘 문화에 접한다. 히잡을 쓴 로리타의 모습으로 사진을 찍어 올리는 텀블러를 운영하는데 많은 수의 followers를 가지고 있다.
Hamila Vakili(1979-), Stamps
국가가 여성의 이미지를 담은 우표를 발행한다. 하지만 거리에 나가면 어두운 히잡을 쓴 여자의 모습만 보인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