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에 따라 측정되는 생명보험커버금액?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장미 댓글 0건 조회 694회 작성일 15-07-07 06:56
본문
'보통 제 나이엔 얼마나(Death benefit) 드나요?'
제가 재정설계일을 하면서,, 특히 보험을 설계해드리다보면 정말 자주 듣는 질문입니다. 그리고 좋은 질문입니다. (여러분이 궁금한 점에 대해선 질문을 자꾸 하셔야 되구요.^^ 하지만, 본인의 나이란, 보험을 설계할 때에 고려해야 할 수많은 Fact 에 불과할 뿐이지그것 자체로는 보험액을 결정할 수 없다는 것이지요.
이해가 쉽게 가상의 시나리오로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홍길동이라는 28세의 남성이 있다고 칩시다.
1.첫번째 얘기에선, 홍길동이란 사람을 Investment Banker 에다가 미혼에 아이가 없는, 평균 연수입이 $100,000 정도가 되는 사람을 만들어보겠습니다.
2.두번째 얘기에선, 홍길동이란 사람을 자영사업가에다가 유부남에다 두 아이의 아버지로, 평균 연수입이 $100,000 정도가 되는 사람을 만들어보겠습니다.
벌써 약간의 감이 잡히지 않나요? ^^
첫번째 경우엔, 생명보험보다는 투자쪽으로 기울것이고 생명보험을 하더라도 99%는 저축성으로 추천이 들어갈 것입니다. (특별한 경우로 만약 이 미혼의 남성이 다른 부동산이나 재산이 있고 그 재산이 부모형제, 친구, 애인, 또는 약혼녀한테 상속되길 바란다면, 그만큼의 금액은 보험설계를 할때 따로 간주가 되야할 것입니다.)
이 남성은 현재 다른사람들에 대한 경제적 책임이 없기 때문에 특별히 부모님이나 다른 사람들이 보증을 서준 빚이 없는 한은, 조기은퇴나 투자로 인한 현재수입의 증가에 집중적으로 파고 들수 있고 또 그에 따라서 생명보험의 금액을 자신이 감당해낼수 있는 한도내에서 (기본 장례식비를 커버한 이후론) 비교적 훨씬 자유롭게 선택할 수가 있겠죠. 그 담에 disability 나 Long term care 등등이 뒤따라오게 되는거죠.
두번째 경우엔, 생명보험과 아이들 학자금쪽으로 기울것이고 모게지/렌트, 각종 빚, 아이들 학자금으로 최소한 필요한 금액과 본인이 쓰길 희망하는 금액, 배우자 Support, 비지니스 경비 금액, Estate Tax 등등...을 다 고려해서 생명보험의 Death Benefit 을 정해야 할 것입니다. 그 담에 disability 나 Long term care 등등이 뒤따라오게 되며 자영사업가이기 때문에 여러가지 benefit을 자신의 사업을 이용해서 든 다음, 그 비용을 Business Expense 로 면제받고 최대한 세금을 줄이는 방향으로 가야되고 그 다음에 일반 투자및 조기은퇴설계가 오고,, 그렇게 되야 일반적으로 가장 바람직하다는 것이죠.
같은 28세에 같은 $100,000 연수입이 있다하더라도 고려해야 할 사항들과 그것의 심각도가 많은 차이를 나타내게 됩니다. 즉, 본인의 나이뿐만 아니라, 현재 처해져있는 상황을 세세히 분석, 그 상황을 최대한 본인에게 유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방법을 찾는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