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를 이렇게 해서야 > 재테크 부자기술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재테크 부자기술


 

주식투자를 이렇게 해서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뽕킴 댓글 0건 조회 1,087회 작성일 10-05-13 15:12

본문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탐욕 (Greed)의 감정이 어떻게 주식시장에서의 손실로 연결되는지 알아봅시다. 1991년도 S&P 500 수익률이 25.8% 기록 되었습니다. 그야말로 거의 26% 수익률이란 누구에게나 대단히 만족스러운 결과임에 틀림없습니다. 그런데 많은 투자자들은 불행하게도 비슷한 이익률을 내지 못했습니다.
 
왜냐하면
1991 새해가 시작되고 2월 중순이 되었을 때 S&P 500 수익률이 무려 13%가 올라갔습니다. 영민 엄마 무슨 일이 일어났을 것 같습니까? $%&#^&* 예, 잘 맞추었습니다. 당신 말대로 신문, 라디오, TV, 잡지, 그리고 사람들이 모이기만하면 주식 올라가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를 합니다.
그러면 또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기 시작합니다. 흠,,, 현재 내 돈이 어디에 있나? 은행에 있지. 얼만큼 이자를 받나? 쥐꼬리만큼 받지, "나는 바보다" 하면서 은행에 있는 돈을 찾아 주식시장에 투자를 합니다.
그리고는 3월, 4월, 5월, 6월, 7월, (,,,) 기다리고 또 기다리는데 주식 수익률은 겨우 2.4%에서 맴돌고 있습니다. 그러면 또 어떻게 합니까? 또 생각하기 시작합니다. 나는 진짜진짜 바보다. 은행 CD (certificate of deposit) 도 2.4% 보다는 이자를 더 주는데 하면서 주식시장에서 은행으로 또 옮기는 것입니다.
그런데 1991년 12월 마지막 2 주에 주식시장이 10.4%가 올라갑니다. 우리 한국 국민의 가장 큰 장점 중에 하나가 은근과 끈기라고 배웠는데 언제부터 빨랑빨랑 문화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이것이 우리나라 경제에 도움이 되었다고는 합니다만, 주식시장에서는 전혀 도움이 안 됩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1991년에 주식시장에 그대로 놔두고 느긋하게 1년을 보냈으면 25.8% 수익률을 받았을 것입니다. 그런데 머리(?)를 써서 왔다 갔다 하는 바람에 실제 수익률은 상당히 적어진 것입니다.
이러한 경우는 1991년도만 특이하게 일어난 상황이 아닙니다. 다른 년도에도 상황이 많이 비슷합니다. 하기사 이러한 내용은 여러분과 함께 재정계획 세미나(financial planning seminar)를 하면서 설명을 해야 이해하기가 쉬운데 그렇게 할 수 없는 점이 많이 아쉽습니다.
각설하고, 그런다면 미국인들은 어떻게 하는지 궁금하다고요? 내가 대답하기 전에 당신 생각은 어떻습니까? 흠,,, 당신 생각에는 미국인들은 아무래도 여기서 나고 자라고 교육도 받았으니깐 이민 와서 사는 우리보다는 좀 나을 것 같다구요. 한마디로 말해서 "천만의 말씀"입니다. 우리보다 나은게 하나도 없습니다.
아래에 있는 도표(chart) 는 1984년부터 2006 년까지 주식시장의 돈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점선은 S&P 500, 즉 미국에서 규모가 가장 큰 Top 500개 회사의 수익률을 나타내며 전체 주식시장의 약 80%를 나타냅니다. 한국에서 배운 막대그래프는 주식시장으로 새로운 돈이 투자되고 혹은 주식시장에서 투자된 돈이 주식 시장으로부터 나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The Timing Penalty: Equity Fund Cash Flow Follows the Stock Market
 
왼쪽은 주식시장 주식 펀드(fund)로 들어오고 나가는 돈의 총 액수이고 오른쪽은 S&P 500 주가지수가 오르고 내림을 나타냅니다. 자세히 살펴봅시다. 주식시장의 S&P 500 주가지수가 오르면 주식시장으로 투자가 됩니다. 반대로 주식시장이 내려오면 주식시장에서 돈이 나오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지금까지 보았듯이 많은 투자자들이 뚜렷한 투자목적 없이 그저 주식시장이 올라가면 투자하고 주식시장이 내려가면 팔아 버리니 주식시장에선 계속적으로 평균 10%를 준다 해도 그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하니깐 주식시장에서 손실을 계속보고 있는 것입니다. 참고로 100,000달러의 투자는 10%의 이자율을 받는다면 30년 후 정확하게 1,744,940 달러가 됩니다. 앞에서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한 가지 추가 설명합니다.
주식시장이 올라갈 때는 "신문, 라디오, TV, 잡지" 들이 주식 올라가는 것에 대해 크게 기사화 한다고 했습니다. 이 말은 내가 "그럴 것이다" 하고 그냥 추측해서 하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영민 엄마와 함께하는 재정계획"을 쓸 때 가능한 나의 주관적인 생각을 떠나서 모든 것이 사실에 기반을 두고 당신하고, 그리고 많은 분들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을 하려고 합니다. 하기사 투자에 관한 책들은 책방에 가면 얼마든지 구할 수 있고 우리가 말하는 투자전문가(stock broker)와 재무 설계사(financial planner)는 많이 있습니다.
저는 주식투자에 대해서 내가 겪은 실제 경험과 객관적인 입장에서 주식투자 정보를 함께 나누려고 합니다.

이 명덕, Ph.D., Financial Planner &
Independent Registered Investment Advise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