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병원체 감염이 암을 유발할 수 있나요? > 암치료 환자관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암치료 환자관리


 

어떤 병원체 감염이 암을 유발할 수 있나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angelica 댓글 0건 조회 1,156회 작성일 14-02-05 11:14

본문

감염이란 무엇인가요?

‘감염’이란 병원체가 사람 몸에 침입하여 증식하는 상태를 말하며, 감염으로 인해 증상이 생길 수도 있고(현성감염), 증상은 없지만 여전히 병원체에 감염되어 있는 경우(불현성감염)도 있습니다.
감염의 대부분은 몸의 면역반응을 통해 또는 치료를 통해 병원체가 사멸되면서 증상이 없어지지만, 드물게는 병원체가 사멸되지 않고 체내 일부에 지속적으로 생존하면서 아무런 증상을 유발하지 않는 경우(건강보균자)도 있습니다.

감염이 암을 유발할 수 있나요?

예. 일부 병원체의 만성 감염은 암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국제암연구소(IARC)와 미국 국립암협회지는 암 발생자의 20% 이상이 만성 감염으로 인해 암이 발생한다고 추정합니다. 최신의 국내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 암 환자 중 21% 가량이 감염에 의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어떤 병원체 감염이 암을 유발할 수 있나요?

국제암연구소가 1급 발암물질(Group 1 carcinogen)로 규정하는 병원체에는 B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and C virus), 인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 헬리코박터균(helicobacter pylori),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pstein-Barr virus, EBV), 간흡충(간디스토마, chlonorchis sinensis),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인간 T세포 바이러스(Human T-Lymphotrophic Virus-1, HTLV-1), 카포시 육종 헤르페스 바이러스(Kaposi’s sarcoma herpes virus, KSHV), 주혈흡충 (schistosoma haematobium), 타이간흡충(Opisthorchis viverrini)이 있습니다. 이 중 B형 및 C형 간염, 인유두종바이러스, 헬리코박터균,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간흡충의 감염은 우리나라에서 비교적 흔히 발생하며, 나머지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인간 T세포 바이러스, 카포시 육종 헤르페스 바이러스, 주혈흡충, 타이간흡충의 감염은 매우 드뭅니다.

병원체 감염증으로부터 암을 예방하려면?

예방접종은 일부 병원체 감염증을 예방하고 나아가서는 암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현재 B형 간염과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예방 백신이 개발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B형 간염 정기 예방접종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어 보건소에서 무료로 접종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B형 간염은 물론 궁극적으로 간염과 관련된 암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최근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 예방을 위한 백신도 개발되어, 예방접종을 받는 경우 백신에 포함된 유형의 인유두종바이러스에 의한 자궁경부암 및 기타 생식기 암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2007년부터 의료기관에서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 접종을 받을 수 있으나 아직은 국가필수예방접종 프로그램에 포함되지 않아 전액 본인부담으로 비용이 비싼 편입니다.

B형 간염과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 외에 다른 병원체 감염증에 대해서는 아직 백신이 개발되지 않아 예방접종의 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습니다.

안전한 성생활은 생식기를 통해 전파될 수 있는 병원체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안전한 성생활은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자궁경부암 등이 예방가능합니다.

민물고기를 날로 먹지 않는 습관은 간흡충 (간디스토마) 감염을 예방하여 담관암을 예방하게 합니다. 만일 간흡충에 감염되었다 하더라도 치료약을 복용하면 간흡충 치료와 담관암 예방이 가능합니다.
[ 표. 1급 발암 병원체와 관련 암 및 우리나라의 질병부담 ]
표. 1급 발암 병원체와 관련 암 및 우리나라의 질병부담
1급 발암 병원체 관련 암 감염에 의한 암
발생자 수
(2007년 현재)
예방
가능성
치료
가능성
자료원
  •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A Review of Human Carcinogens: Biological Agents, IARC Monographs Volume 100 - Part B. 2011
  • Shin A, et al. Population attributable fraction of infection-related cancers in Korea. Annals of Oncology 2011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helicobacter pylori)
(비분문부)위암, 저위도
B세포 점막연관성
위림프종(MALT위림프종)
19,427 낮음 높음
B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B virus, HBV)
간세포암 8,219 높음 보통
인유두종 바이러스
(human papillomavirus, HPV)
자궁경부암, 외음부암, 질암,
음경암, 항문암, 구강암,
구인두암, 편도암
3,872 높음 보통
C형 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C virus, HCV)
간세포암, 비호지킨림프종 1,953 보통 보통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Epstein-Barr virus, EBV)
비인두암, 버킷림프종,
비호지킨림프종,
호지킨림프종,
림프절외NK/T세포림프종
402 낮음 낮음
간흡충
(clonorchis sinensis)
담도암 381 높음 높음
카포시 육종 헤르페스
바이러스
(Kaposi's sarcoma herpes virus, KSHV)
카포시육종,원발성삼출성림프종 40 - -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카포시육종,
비호지킨림프종,
호지킨림프종, 자궁경부암,
항문암, 접합부암
인간T세포 바이러스
(human T-cell
lymphotrophic virus,
HTLV)
성인T세포백혈병/림프종 매우 드문 암,
자료 부족
- -
타이간흡충
(opisthorchis vivenrrini)
담도암 한국내 감염 없음 - -
주혈흡충
(schistosoma haematobuim)
담도암 방광암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