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위축과 무감동
■ 무감동은 동기 부족과 전에는 즐거웠던 활동들에 대해서 관심이 줄어든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무감동이 있는 사람들은 활동을 하지 않으려고 하고 한다고 해도 매우 양이 적다. 그들은 계속 격려하면 아주 느리게 지시에 따르거나 참여하는 경향이 있다.
■ 사회적 위축은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피하는 행동을 말한다. 무감동이 있는 사람이 거의 활동을 하지 않는다면 사회적으로 위축된 환자는 혼자서 활동한다. 무감동이 있는 사람은 주간보호센터에 가만히 있거나 보호자와 함께 있는 반면 사회적으로 위축된 사람은 혼…
작성자angelica
작성일 14-02-06 03:08
조회 1806
더보기
|
소리 지르기 ■ 소리 지르기는 중등도 이상의 치매 환자들에서 관찰되는 증상으로 비명 지르기, 반복적으로 사람 이름 부르기, 도움 요청, 반복적인 소리, 신음하기, 알아들을 수 없는 웅얼거림을 포함한다. 다만 여기서 다루는 소리 지르기는 협박과 같은 공격성 언어 사용은 포함하지 않는다.
■ 소리 지르기는 간헐적으로 언제든지 나타날 수 있지만 특히 오후나 저녁에 더 심한 패턴을 보이기도 한다. 소리 지르기는 다른 환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므로 너싱 홈과 같은 시설기관에서 특히 곤란해 한다. 그러나 집에 있는 환자라도 가족은 이런 증상에…
작성자angelica
작성일 14-02-06 03:08
조회 1790
더보기
|
뒤지기와 모으기 ■ 무언가를 뒤지고, 만지고, 옮기는 행위는 무언가를 찾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몇 시간 동안 서랍이나 가방을 계속해서 뒤질 수 있다. 이런 예는 계속해서 옷장을 여닫고 이곳 저곡으로 옮기며 빨래를 접었다 펴는 행동을 계속하는 것들도 포함된다.
■ 종종 폐지, 봉지, 음식의 일부 등 별 가치가 없는 물건들을 모으는 경우도 흔하다. 또는 돈, 영수증, 통장, 신분증, 열쇠 등 귀중한 물건을 잘 숨겨놓지만 어디에 그것을 놓아두었는지 기억하지 못하고 여기저기 뒤지는 행동을 반복하기도 한다.
□ 원인■ 인지장애 - …
작성자angelica
작성일 14-02-06 03:07
조회 1896
더보기
|
비협조와 케어에 대한 저항■ 흔히 사용하는 비협조와 저항은 행동이 고의적이라는 것을 암시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케어에 대한 비협조와 저항은 다양한 요인들이 관여하는 최종 결과일 뿐이다.
■ 문제 행동은 고의적일 수가 있다. 예를 들어 환자들은 두려움으로 무엇인가를 하지 않으려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이런 행동은 치매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그 결과로서 문제 행동이 일어나는 것이다.
■ 예를 들어, 목욕에 저항하는 환자는 혼자서 씻을 수 없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케어제공자를 알아보지 못하기 때문일 …
작성자angelica
작성일 14-02-06 03:07
조회 1713
더보기
|
반복행동
□ 원인■ 생리적 혹은 신체적 이유- 약물 부작용- 치매로 인한 운동장애- 치매의 인지기능 장애로 인해 방금한 행동을 잊어버림.
■ 환경적 이유- 불안을 야기하는 소음이나 풍경에 대한 왜곡된 지각- 사랑하는 사람과의 분리
■ 기타 이유-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이해할 수 없는 경우- 허기나 배설 욕구 등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없는 경우 - 공포나 분노 등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없는 경우 □ 케어 요령■ 약물이나 통증에 대한 의학적 평가가 필요하다.
■ 산책, 기호 식품 등 환자가 좋아하는 것으로 방향을 전…
작성자angelica
작성일 14-02-06 03:06
조회 1126
더보기
|
정신행동증상에 대한 이해: 원인5
치매의 정신행동증상은 매우 흔하면서도 기능 저하를 가속시키고 가족의 부담을 높이며 비교적 초기에 시설에 입소하는 부정적인 결과들을 초래하는 중요한 이유가 된다. 치매의 정신행동증상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뇌 병변으로 인한 이유, 병전 성격, 감정상태, 과도한 장애, 환경 및 대인관계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환경과 대인관계■ 환경과 대인관계는 치매 환자의 감각 기능을 강화하고 과잉 장애를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치매환자는 학습능력이 저하되었다고 보기 때문에 환경 안에서 …
작성자angelica
작성일 14-02-06 03:06
조회 956
더보기
|
집에 가겠다는 행동
□ 원인■ 생리적 혹은 의학적 이유- 뇌의 병변- 장소에 대한 지남력 장애- 우울증
■ 환경적 이유- 스트레스가 심한 경우- 무료함- 익숙하지 않은 환경
■ 기타 이유- 과거 어린 시설의 집을 찾는 경우 - 집이 편안했던 다른 시간을 의미하는 경우□ 케어 요령■ 짧은 시간이라도 밖으로 나간다. 들어올 때는 지난 행동을 기억 못할 수도 있고 집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 표현되는 감정에 충실하게 대응한다. ‘당신이 외롭다고 느끼는 것을 안다.’ 혹은 ‘불안한 것이 있나요?’ 집에 가려는 이유를 묻고 안되…
작성자angelica
작성일 14-02-06 03:05
조회 897
더보기
|
실금은 치매환자를 창피스럽게 하고 환자 주위의 사람들을 곤란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실금이 고통스런 문제이긴 하지만 놀랍게도 실금은 공통적인 사항이며 좋은 소식은 충분히 도와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자료책자는 이용 가능한 지지를 강조하는 만큼 문제의 원인을 보고 도움이 되는 몇 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실금이란 무엇인가?
실금의 종류- 요실금: 방광괄약근의 부전으로 방광이 통제되지 않을 때 - 변실금: 항문괄약근의 부전으로 장이 통제되지 않을 때
이것은 항상 또는 대부분 일어날 수 있거나 단지 일시적인 누출의 원인일 수…
작성자angelica
작성일 14-02-06 03:05
조회 899
더보기
|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매우 다양한 원인들이 치매 환자에게 스트레스를 일으키는데 이로 인해 환자는 초조, 불안, 파국행동 등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게 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 스트레스의 원인■ 일반적인 이유
- 현재 여기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파악하기- 어리석게 행동하지 않기- 내가 변하지 않았다고 입증하기- 한 번에 해야 하는 일이 너무 많음- 무시당할 때
■ 일상생활
- 식사를 언제 해야 하는지- 누군가 나에게 옷을 벗기고 입힐 때 - 누군가 나를 목욕시키려고 할 때 - 너무 많은 사람…
작성자angelica
작성일 14-02-06 03:04
조회 834
더보기
|
실금
치매 환자는 소변이나 대변을 옷에다 보기 시작한다. 이것은 각각 요 실금 그리고 변 실금으로 불리 운다. 이 둘은 분리된 문제들이다. 그리고 하나는 종종 다른 하나가 없이 발생한다. 실금의 원인은 많다. 그래서 그 문제를 접근하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소변 보는 것과 대변을 보는 것은 인간의 자연적인 기능이다. 그러나 우리가 어렸을 때부터 이런 일들이 개인적인 활동이라고 교육 받아왔다. 많은 사람들은 이런 활동이 불쾌하고 더럽고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이라고 교육 받아왔다. 게다가 우리는 사생활에서 우리의 신…
작성자angelica
작성일 14-02-06 03:03
조회 829
더보기
|
치매 환자의 목욕관련 문제
□ 원인■ 생리적, 의학적 문제
- 우울증으로 인한 의욕저하- 감기, 감염 등 위생관리에 관심이 저하되는 신체적 질병들- 뜨거운 것과 차가운 것에 대한 감각 이상- 뇌 손상으로 인한 물에 대한 감각 변화
■ 환경적 요인
- 어두운 조명- 목욕탕을 찾을 수 없음- 개인의 사생활을 보장하지 않음- 너무 추운 욕실- 너무 깊은 욕조- 뜨겁거나 차가운 물
■ 기타 요인
- 낙상에 대한 공포- 물에 대한 공포- 하루 일과가 망가진 경우- 익숙하지 않은 케어제공자- 거대한 자동목욕기- 목욕의 목적을 잊어버…
작성자angelica
작성일 14-02-06 03:03
조회 805
더보기
|
치매 환자의 식사관련 문제
□ 원인■ 생리적, 의학적 문제
- 입마름- 파킨슨병- 잇몸질환- 맞지 않는 틀니- 심한 시력저하- 식욕저하와 관련된 만성질환 (당뇨, 위장질환 등)- 식욕저하와 관련된 급성질환 (감염 등)- 심한 변비- 우울증- 수면 패턴 변화- 식욕 저하를 동반하는 약물- 중증 치매 환자에게 발생하는 턱과 목의 근육 운동 장애- 허기짐을 적절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인지기능장애- 식사를 인식하지 못하는 인지기능장애- 식사한 것을 기억하지 못하는 인지기능 장애- 식욕을 억제하지 못함- 초조
■ 환경적 요인
- 익숙하…
작성자angelica
작성일 14-02-06 03:02
조회 808
더보기
|
의심과 망상, 착각과 환각
□ 원인■ 인지기능 장애
- 인지기능이 저하되면서 의심과 망상, 착각과 환각은 일반적인 현상이 된다. - 일부에서는 초기 치매환자의 경우 지갑을 둔 곳을 기억 못하는 사람이 다른 사람이 훔쳐갔다고 의심하는 것 처럼 자신의 인지기능 저하에 대한 보상으로 의심이 증가한다고 본다. - 하지만 망상과 환각이 치매로 인한 이차적인 현상인지 치매와 별도로 발생하는 증상인지는 아직 분명하지 않다.
■ 신체질병
- 뇌졸중, 알콜 중독, 경련 등의 신체 질병도 이들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 섬망을 유발하는 …
작성자angelica
작성일 14-02-06 03:02
조회 727
더보기
|
초조와 공격성
때때로 치매 환자들은 분노하게 된다. 그들은 자신들을 도우려는 시도에 대해서 자극 받을 수 있다. 그들은 주위의 어떤 것에 대해 혹평하고, 자신을 돌보는 사람을 때리고, 돌보아주는 것을 거부하고, 음식을 던져버리고, 큰소리를 지르거나, 고발을 하기도 한다. 이것은 환자를 돌보는 사람을 당황스럽게 만든다. 환자를 돌보는 사람이 환자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이러한 모든 적대감이 환자를 돌보는 사람에게 향한다면, 환자를 돌보는 사람은 환자가 스스로 위험해 질수 있거나, 환자가 분노로 자극받을…
작성자angelica
작성일 14-02-06 03:01
조회 727
더보기
|
좋은 구강건강은 전반적 건강, 웰빙, 삶의 질을 위해 중요한데 이것은 자아 존중감, 존엄성, 사회적 통합 및 전반적인 영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쁜 구강건강은 통증, 치아손실을 가져올 수 있고 자아존중감과 섭취능력, 웃음과 미소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교육 자료는 다른 단계의 치매환자들이 직면한 치과 문제와 예방, 치료에 대한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1. 치과질환주요 치과질환으로 잇몸(치주)질환과 충치(충치로 흔히 알려진 우식 dental caries)를 둘 수 있다. 이들 질환은 불편감과 통증을 …
작성자angelica
작성일 14-02-06 03:00
조회 790
더보기
|
이 글은 샌디에고 캘리포니아대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알츠하이머 협력연구(Alzheimer’s Disease Cooperative Study),기억장애 클리닉(Memory Disorders Clinic) 책임자, 마이클 라피 (Michael Rafii)박사가 작성하였음.
알츠하이머병은 여성이 남성보다 1.5배 더 많이 앓고 있다. 이는 남녀의 평균 수명을 보정하더라도 여전히 유의한 결과였다. 신경과학학회지(Journal of Neuroscience)에서 6월 13일 게재된 논문에서…
작성자angelica
작성일 14-02-06 02:59
조회 842
더보기
|
2012년 6월 15일, abc뉴스 닐스 콩 호그(NILS KONGSHAUG)입니다.
헤럴드 트리뷴(Herald-Tribune)지에 소개된 104세 로사리오 스킬제스(Rosario Schielzeth)가 딸인 87세 마리아 가르시아(Maria Garcia)를 돌보는 사연을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인류역사에 걸쳐서 내려오는 것이 있다.: 여러분의 부모는 여러분이 어릴 때 여러분을 돌보고 부모가 나이 들었을 때는 여러분이 보답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때로는 이러한 일반적인 순서가 바뀐다. 마리아는 87세로 부유하고 보람 있는 …
작성자angelica
작성일 14-02-06 02:59
조회 796
더보기
|
0
작성자angelica
작성일 14-02-06 02:55
조회 734
더보기
|
0
작성자angelica
작성일 14-02-06 02:53
조회 777
더보기
|
0
작성자angelica
작성일 14-02-06 02:52
조회 802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