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부의 약물복용법 - 임산부인 경우 약물을 조심해야 하는 까닭 > 약복용 바로알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약복용 바로알기


 

임산부의 약물복용법 - 임산부인 경우 약물을 조심해야 하는 까닭

페이지 정보

작성자 동백아가씨 댓글 0건 조회 2,145회 작성일 12-04-22 21:53

본문

임산부인 경우 약물을 조심해야 하는 까닭 - 태아의 발달에 따른 약물의 영향

임산부가 약물을 복용할 경우 주의해야 하는 까닭은 약물이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에게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임산부에게도 독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소중한 태아와 함께한 임산부

임산부의 약물복용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다양하여 유산, 태아조기사망, 자궁 내 성장장애 및 종양유발 등이 있습니다.
이 중 가장 문제시되는 것이 기형유발로 외형적 이상 뿐 아니라 기능, 행동장애까지 포함합니다.

약물에 의한 기형발생은 약물용량, 노출시간, 투여방법, 특히 임신주수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임신 주수는 마지막 생리일을 0주 0일로 잡아 계산합니다. 태아가 생긴 시점부터 계산하는 정확한 임신 주수인 수정 수주는 수정일자를 0주 0일로 잡아 계산하기도 하며 태아의 성장단계를 중심으로 검토할 수 있습니다. 임신 주수에 따라 약물이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임신 주수에 따른 약물의 태아에 대한 영향
 
임신 0-2주
(blastogenesis period, 포배형성기)
착상이전시기 (preimplantation)와 체절발생전시기 (presomite stage)로 나눌 수 있고, 이 때는 독성이 있는 약물복용 시 세포에 방해작용을 하여 기관발달을 저해하므로 자연유산 형태로 나타나므로 형태학적인 기형이 유발될 확률은 적습니다. 그러므로 이 시기에는 발생란이 손상을 받으면 태아가 죽게되거나 완전히 재생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임신 3-8주
(organogenesis period, 기관형성기)
기관형성이 되는 시기로 기형이 유발될 수 있는 결정적 시기입니다. 각 장기의 분화시기가 다르므로 어느 시기에 노출되었느냐에 따라 기형발생빈도와 기형의 종류가 다를 수 있습니다.
임신 8주 이후
- 분만 (태아기)
장기의 기능적 성숙기로서 최기형성의 가능성은 있으나 기형발생은 드문 편입니다. 주로 이 시기에는 성장지연 및 기능부전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