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습관 하나로 눈을 보호하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DILL 댓글 0건 조회 673회 작성일 15-06-24 19:03
본문
눈의 젊음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평상시에 바른 생활습관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눈을 보호하는 방법
* 안경, 콘택트렌즈를 바르게 착용한다.
* 충분히 수면을 취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한다.
* 방의 공기를 깨끗이 하고 건조하지 않게 한다.
* 독서는 조명과 자세에 주의하여 한다.
* 에어컨을 사용하는 방에서는 건조 방지를 위해 가습기를 켜거나 물에 적힌 수건을 걸어둔다.
일상의 작은 변화로 눈의 부담을 덜어 주자
컴퓨터와 TV, 게임 등의 보급으로 현대인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눈을 혹사하고 있다. 눈이 건조하여 피로해지는 것은 눈이 혹사당하는 전형적인 증상이므로 조금이라도 눈에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안경·콘택트렌즈는 눈에 맞는 것을 착용하자
* 도수가 많지 않는 안경을 끼면 눈이 쉽게 피로해 질 수 밖에 없다.
시력은 항상 일정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안경으로 교정하도록 해도 계속 변화하므로, 정기적으로 시력 검사로 눈에 맞는 안경을 착용하도록 해야 한다.
* 콘택트렌즈는 안경과 달리 눈에 과중한 부담을 준다.
잘못된 사용으로 각막이 손상되면 실명할 위험도 있으므로 바람직한 사용법을 익혀 눈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수면 부족과 스트레스는 눈물의 분비량을 감소시키는 원인
낮 동안 혹사 당하는 눈은 자는 동안 피로를 풀게 된다. 그러나 수면이 부족하면 다음날까지 눈의 피로를 연장시키게 되므로 부족하지 않을 정도의 수면 시간은 확보해야 한다.
또 밤에는 낮에 비해 눈물의 분비량이 줄어드므로 독서나 TV 게임에 빠져 밤늦게 잠자리에 드는 것은 눈의 건강에는 아주 좋지 않다.
눈물은 교감 신경의 작용으로 긴장하면 분비량이 줄어들고, 긴장을 풀면 분비량이 늘어난다. 그러므로 의식적으로 긴장을 푸는 시간을 갖는 것이 좋다.
방의 공기를 깨끗하게
방이 건조하거나 담배 연기 등으로 탁해지면 눈은 더욱 건조해지므로 환기를 자주하여 눈을 보호하도록 해야 한다.
안약은 가능하면 방부제가 적은 것을 선택하고 방의 습도는 70% 전후로 유지하는 것이 적당하다. 에어컨 바람은 눈을 건조하게 하므로 바람이 얼굴에 직접 닿지 않도록 책상과 기구 등을 알맞게 배치하는 것도 중요하다.
독서는 알맞은 조명아래 올바른 자세로
책상 위에 책을 놓고 읽는 경우에는 방 전체를 밝히는 조명과 책을 밝히는 전기스탠드가 필요하다.
* 빛의 간도 : 책과 스탠드가 30cm이내일 때 300~500룩스
(60W 백열등전구, 또는 20W 형광등)
* 바른 자세 : 등을 곧게 펴고 눈과 책은 30cm정도의 거리를 유지
* 1시간 책을 읽은 후 10분은 눈에 휴식을
먼 곳을 볼 때에는 집중해서 초점을 맞출 필요가 없기 때문에 눈의 근육이 긴장을 풀고 쉬게 되므로 작업 중간중간 먼 곳을 보며 눈에 휴식을 주어야 한다. 텔레비전을 볼 때는 2m정도 떨어져서, 시선은 약간 아래쪽을 향하도록 하여 보는 것이 좋다.
눈을 보호하는 방법
* 안경, 콘택트렌즈를 바르게 착용한다.
* 충분히 수면을 취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한다.
* 방의 공기를 깨끗이 하고 건조하지 않게 한다.
* 독서는 조명과 자세에 주의하여 한다.
* 에어컨을 사용하는 방에서는 건조 방지를 위해 가습기를 켜거나 물에 적힌 수건을 걸어둔다.
일상의 작은 변화로 눈의 부담을 덜어 주자
컴퓨터와 TV, 게임 등의 보급으로 현대인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눈을 혹사하고 있다. 눈이 건조하여 피로해지는 것은 눈이 혹사당하는 전형적인 증상이므로 조금이라도 눈에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안경·콘택트렌즈는 눈에 맞는 것을 착용하자
* 도수가 많지 않는 안경을 끼면 눈이 쉽게 피로해 질 수 밖에 없다.
시력은 항상 일정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안경으로 교정하도록 해도 계속 변화하므로, 정기적으로 시력 검사로 눈에 맞는 안경을 착용하도록 해야 한다.
* 콘택트렌즈는 안경과 달리 눈에 과중한 부담을 준다.
잘못된 사용으로 각막이 손상되면 실명할 위험도 있으므로 바람직한 사용법을 익혀 눈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수면 부족과 스트레스는 눈물의 분비량을 감소시키는 원인
낮 동안 혹사 당하는 눈은 자는 동안 피로를 풀게 된다. 그러나 수면이 부족하면 다음날까지 눈의 피로를 연장시키게 되므로 부족하지 않을 정도의 수면 시간은 확보해야 한다.
또 밤에는 낮에 비해 눈물의 분비량이 줄어드므로 독서나 TV 게임에 빠져 밤늦게 잠자리에 드는 것은 눈의 건강에는 아주 좋지 않다.
눈물은 교감 신경의 작용으로 긴장하면 분비량이 줄어들고, 긴장을 풀면 분비량이 늘어난다. 그러므로 의식적으로 긴장을 푸는 시간을 갖는 것이 좋다.
방의 공기를 깨끗하게
방이 건조하거나 담배 연기 등으로 탁해지면 눈은 더욱 건조해지므로 환기를 자주하여 눈을 보호하도록 해야 한다.
안약은 가능하면 방부제가 적은 것을 선택하고 방의 습도는 70% 전후로 유지하는 것이 적당하다. 에어컨 바람은 눈을 건조하게 하므로 바람이 얼굴에 직접 닿지 않도록 책상과 기구 등을 알맞게 배치하는 것도 중요하다.
독서는 알맞은 조명아래 올바른 자세로
책상 위에 책을 놓고 읽는 경우에는 방 전체를 밝히는 조명과 책을 밝히는 전기스탠드가 필요하다.
* 빛의 간도 : 책과 스탠드가 30cm이내일 때 300~500룩스
(60W 백열등전구, 또는 20W 형광등)
* 바른 자세 : 등을 곧게 펴고 눈과 책은 30cm정도의 거리를 유지
* 1시간 책을 읽은 후 10분은 눈에 휴식을
먼 곳을 볼 때에는 집중해서 초점을 맞출 필요가 없기 때문에 눈의 근육이 긴장을 풀고 쉬게 되므로 작업 중간중간 먼 곳을 보며 눈에 휴식을 주어야 한다. 텔레비전을 볼 때는 2m정도 떨어져서, 시선은 약간 아래쪽을 향하도록 하여 보는 것이 좋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