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버생활수칙 16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실버생활수칙


 

Total 346건 16 페이지
실버생활수칙 목록
‘밖에서도 안에서도 자외선 조심~’ ‘봄볕에 며느리 내보내고, 가을볕에 딸 내보낸다’는 말도 있지만 사실 자외선은 계절에 상관없이 늘 경계해야 하는 대상이다. 물론 적당하게 햇볕을 쬐는 것은 건강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문제는 무턱대고 오랫동안 피부를 햇빛에 노출시킬 경우다. 피부를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할 경우에는 심한 경우 각종 부작용을 앓게 될 수도 있다. 가령 피부가 붉고 가려워지거나 혹은 좁쌀만한 수포가 생기기도 하며, 심한 경우에는 화상을 입기도 한다.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은 비단 이뿐만이 아니다. 자외선은 …
작성자harvard 작성일 11-04-16 15:18 조회 2484 더보기
뼈에는 신경세포가 있어 서로 닿고 부딪치면 통증이 발생하지만 연골에는 신경세포가 없어 찢어지거나 닳아도 통증이 생기지 않는다. 연골에서 통증을 느낄 때는 이미 연골판이나 연골 손상이 많이 진행한 상태라고 한다. 흔히 뼈나 장기만 중요한 것으로 생각하지만 젊어서부터 연골을 건강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학의 발달로 인공관절 이식수술을 하면 20년 정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평균수명이 길어지고 있으므로 젊은 나이에 연골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한다. 뼈와 뼈 사이에 있는 연골은 온몸을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역할을 한…
작성자harvard 작성일 11-04-16 15:10 조회 3515 더보기
하버드 출신 뇌 과학자 크리스토퍼 채브리와 다니엘 시몬의 책 <착각의 과학(원제: The Invisible Gorilla: And Other Ways Our Intuitions Deceive Us, 2010년)>이 최근 일본에서 번역 출간돼 화제다. <착각의 과학>에서 두 과학자는 “퍼즐 풀기, 퀴즈 맞히기, 간단한 계산 등 흔히 추천되는 뇌 훈련 프로그램이 치매 예방에 아무 효과가 없다”고 주장한다. 대신 언뜻 보면 뇌 기능과는 전혀 상관없을 것으로 보이는 걷기가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두 저…
작성자뽕킴 작성일 11-04-16 00:01 조회 2832 더보기
사는 동안 누구나 한 번쯤 건망증 때문에 곤란을 겪은경험이 있을 것이다. 분명 뭔가를 하려고 일어났는데 머릿속이 새하얗다든지, 집 안에 온통 타는 냄새가 진동하고 나서야 가스레인지에 냄비를 올려놓은 것을 발견했다거나,중요한 약속을 잊어버린 일 등은 대부분 한 번쯤은 겪어봤을 법한 ‘전형적인’ 건망증 사례 중 하나다.Part 1 건망증 바로 알기 기억을 방해하는 요인을 찾는 것이 우선 건망증은 보통 피로가 쌓이거나 스트레스가 심할 때 더욱 심각하게 나타난다. 우울증 및 화병으로 인해 증상이 생기기도 …
작성자yale 작성일 11-01-19 00:04 조회 2667 더보기
몇 년 전만 해도 치매란 나이 들면서 찾아오는 피해갈 수 없는 병이라고 인식했다. 그러나 요즘은 매스컴의 정보 전달 효과로 치매가 질병이 아니라 하나의 증후군이며 조기 진단과 조기 치료로 얼마든지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 널리 알려졌다. 발병 7년 전부터 병리학적 변화를 일으킨다는 치매, 조기 진단과 치료가 절실하다. 건망증과 기억 장애, 치매와의 관계건망증이란 어떤 사실을 잊었더라도 누가 귀띔을 해주면 금방 기억해내는 현상으로 흔히 정상인에게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기억 장애는 귀띔을 해주어도 기…
작성자harvard 작성일 11-01-08 22:20 조회 2437 더보기
세포자살의 앞날 : 세포자살은 이제 하나의 가설이 아니고, 생명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정설로 굳혀진 과학적인 현상이다. 맨 처음 세포자살이라는 용어를 만들어낸 1970년대 초에는 과학자들로부터 많은 반대를 받았다. 그러나 세포자살이라는 현상에 대하여 알아보면 알아볼수록 세포자살이라는 현상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게되었다. 따라서 이제는 세포자살에 관한 한 세계적으로 이를 받아들였을 뿐 아니라 세포자살에 대한 많은 연구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는 중이다.세포가 자살하는 과정에 들어가게 되면 선명하게 그어지는 모습이 드러나게 된다.다음의 예를…
작성자토마토 작성일 09-11-11 17:14 조회 2541 더보기
세포가 죽는 두 가지의 극단적인 예인 것이다. 세포자살과 세포괴사를 비교해 보기로 한다.                               세포자살          &n…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11 17:13 조회 2116 더보기
세포는 어떻게 죽나? : 학자에 따라서, 모든 세포는 세포자살을 할 수 있는 소질을 다 갖고있다고 말하고 있다. 다만 세포자살을 유도하는 신호가 오기만 기다린다는 것이다. 세포자살 뿐 아니라 세포가 살아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자라면서, 분화되고, 특수한 기능을 발휘하는 신호도 외부로부터 온다고 보는 것이다. 세포자살을 유도하는 신호는 세포 밖으로부터 오게된다. 세포들은 외세포 기층(extracellular matrix) 위에 앉아있는데 바로 외세포 기층으로부터 신호가 올 수 있다고 보여지며, 기저막(basement m…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11 17:12 조회 2229 더보기
세포자살은 어떤 형태로 일어나나? 세포자살은 다음의 세 가지 형태로 발생하게 된다.1)봉사적인 세포자살(altruistic apoptosis) : 세포, 특히 세포핵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인데, 세포분열이 일어날 때 DNA가 잘 못 배치되면서 세포핵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은 항상 있게되면서 세포자살이 일어나는 과정이고, 2)과정상 세포자살(utilitarian apoptosis) : 전체적인 세포의 숫자를 맞추기 위한 현상으로 균형과 평형을 이루는 과정으로 세포자살이 일어나고, 3)노…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11 17:11 조회 2294 더보기
삶과 죽음을 명확히 말할 수 없는 예완전히 죽은 세포와 죽어가는 세포를 구분하기가 말처럼 그렇게 명확하지는 않다. 예를 들어보기로 한다. 중요한 한 기관의 기능이 실패하게 되면 나머지 건강한 기관들의 기능도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신장장애에 걸린 사람은 아무리 신장투석을 하더라도 어느 기간이 지나면 심장 및 혈액순환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간의 문제가 심각하게 될 때에도 나머지 모든 기관의 기능이 떨어지기 시작한다. 마찬가지로 심장이나 동맥에 문제가 생겨도 나머지 기관의 기능이 떨어지게 되며, 폐와 뇌도 마찬가지이다. 인공 심…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11 17:10 조회 2108 더보기
삶과 죽음 : 세포자살이란 엔트로피가 쌓이게 된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도 볼 수 있다. 생물학적인 표현으로는 세포가 상해를 입었을 때 그 상해의 정도가 고쳐질 수 있는 정도를 넘게되면 어쩔 수 없이 죽어야 하며 또한 완전히 분화가 된 세포가 끝을 맞이하게 되는 경우에도, 미리 프로그램된대로 세포자살이 일어나게 된다. 세포자살이 미리 예비된 코스를 거치면서 생기는 생리적인 현상임에 비해, 급격한 상태를 맞이하게 되면서 병리적으로 세포가 죽는 현상을 세포괴사라고 이해하면 될 것이다. 물론 엔트로피와는 상관이 …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11 17:10 조회 2164 더보기
자살한 세포는 어떻게 되나?세포자살이 이루어진 결과에 대하여 이를 깨끗하게 치워야 하는 임무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뉘어진다. 첫째 방법은 거대세포(macrophages)에 의한 식균작용을 통하는 길이고, 둘째는 세포자살이 이루어진 주변 세포들이 흡수하는 길이고, 셋째는 피부의 세포나 장 내면의 세포와 같이 몸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길이다. 첫째 방법인 식균 과정에서 거대세포가 세포자살이 이루어진 후 부스러진 세포핵 물질을 제대로 알아 본 후 이를 온전히 치워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생기는 항원/항체 복…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11 17:09 조회 1987 더보기
세포자살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세포자살이 일어나야 할 때 세포자살이 이루어지지 않게되면 여러 가지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우선 기형아가 생기게 된다. 태아가 자라나는 과정에서 필요한 부분은 계속해서 분열/성장하고, 없어져야 할 부분은 세포자살을 통해서 없어져야 하는데 이런 과정들이 제대로 발생하지 않을 때 여러 가지의 문제가 생기게 된다. 예를 든다면, 태아가 자라날 때 손가락과 발가락 사이의 조직들은 세포자살로 없어지면서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모양이 완성된다. 이런 과정이 일어나지 않게 될 때에는…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11 17:08 조회 1901 더보기
언제 세포자살이 일어나나?  세포자살은1)세포가 늙어서 더 이상 생리작용을 지속할 수 없을 때 생기고,2)어떤 조직에 필요이상으로 세포가 생겨날 때에도 세포자살이 일어나고, 3)세포가 상해를 입었을 때에도 세포자살이 일어난다.   세포 안에는 세포가 이런 상태에 들어갈 때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에 대한 프로그램이 되어있다고 믿어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세포는 주어진 상태에 맞는 변화가 일어나게 되는데 이런 장치는 주어진 유전인자와 이로부터 만들어지는 단백질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믿어지고 있는 것이다. &…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11 17:08 조회 1993 더보기
세포가 죽어야 하는 이유    어떻게 보면 세포가 죽어야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왜냐하면 모든 세포들은 세포분열을 통해서 그 수와 크기가 늘어나게 됨으로 제한된 장소와 공간을 채우되, 다음에는 처음에 있었던 세포들은 없어져 주어야만 그 공간을 채울 수 있게 되면서 전체적으로 새로운 모습으로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이 깨어진 상태가 암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상해를 받은 세포는 미리 프로그람된대로 세포자살이 일어나야 하는데 세포자살이 일어나지 않고 받은 상해를 세포분열을 통해서 다음…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11 17:07 조회 1976 더보기
세포자살이란?  세포가 죽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세포괴사(necrosis)와 세포자살(apoptosis)이다.   세포괴사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일어날 수 있다. 세포에 강한 힘이 가해지거나 심각한 세균의 침입을 받으면 세포가 괴사한다. 세포가 괴사할 때는 세포가 붓게되면서 터지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swell and rupture) 따라서 괴사로 죽는 세포들은 세포의 찌꺼기들이 많이 남게되어 뒤치닥거리를 해야한다. 곪게된 조직을 생각해보면 된다.   곪은 조직에는 죽은 세…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11 17:07 조회 2430 더보기
 세포자살과 노화 :   세포자살은 최근에야 인식되기 시작한 생리현상이다.   세포는 세포분열이 다 끝나고 나서 그 수명이 다하게 되면 어떤 형태를 통해서라도 몸에서 없어져야 한다.   죽는 세포가 가장 깨끗하게 처리가 되려면 세포가 스스로 죽는 과정을 거치면서 곁에 있는 세포들에게 흡수를 되어서 죽은 세포의 모든 내용을 다시 쓸 수 있게 될 때이다. 따라서 세포자살은 미리 계획되어 있게된다. 이런 계획된 세포자살이 생기지 않고 세포가 계속적으로 살아있게 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지게 될 지에 대하…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11 17:06 조회 1978 더보기
암 치료 :   암치료에 관한 한 아직까지도 암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암이 발생하여 진행되기 시작해서 조직 깊은 곳으로 침입하면 다른 장기로 전이를 가게 되는데 이 지경까지 가게되면 암치료는 아주 어렵게 된다.  언론을 통해서 암 치료에 대한 특효약이나 특별한 치료술이 개발되었다는 보도에 접할 때가 종종 있으나 언론보도 차원으로부터 실제적인 의학적인 치료와 연결되려면 많은 시일이 걸리게 된다. 어떤 것들은 도중에 슬며시 없어지는 것들도 있다. &nbs…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11 17:03 조회 1505 더보기
암의 원인 :   몸 안의 모든 세포는 배아 줄기 세포가 아니면, 체세포이다. 배아 줄기란 정자와 난자와 같이 그 생명을 이어가는 세포들로서 유전자의 절반을 간직하고 있으면서 다음 세대로 그 유전인자를 전달해주는 역할을 맡고있는 세포들이다.   체 세포는 당대의 생명현상을 이끌어 가는 역할을 맡고있다. 체세포가 전체 세포의 99% 이상이다. 이 체세포들은 살아있는 동안에 항상 변한다. 자라기도 하면서, 세포분열 과정을 통하기도 하지만, 결국은 죽게된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세포들은 끊임없이…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11 16:02 조회 1411 더보기
암에 대한 이해 :    원칙적으로 암은 노인들의 병이라고 했다.   노인들에게 암이 더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다음의 세 가지가 된다.   첫째, 세포가 분열할 때 오류가 생길 수 있는데 한 두번의 세포분열로 생기는 오류로 암이 발생한다기보다는 세포분열이 반복해서 여러 번에 걸쳐서 일어날 때 DNA에 오류가 생길 확률이 올라가게 된다.   둘째, 발암물질에 대한 우리 몸의 반응은 축적효과가 있다. 이 말은 한 두번의 발암물질에 대한 접촉으로 암이 발생하기보다는 발암물질에 대한 계…
작성자뽕킴 작성일 09-11-11 16:00 조회 1442 더보기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