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버생활수칙 11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실버생활수칙


 

Total 346건 11 페이지
실버생활수칙 목록
□ 보청기 구입 요령 보청기는 난청에 사용하는 의료기기이므로 가격보다 안전성과 품질, 성능을 검토하고 구입해야한다. 보청기를 구입할 때는 다음의 사항을 반드시 확인하고 선택하자.   1. 청력검사는 필수 청력검사(측정)를 통해 자신의 청력 상태를 정확히 확인하고, 청력 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보청기 기능을 조절해야 한다. 2. 식약청의 허가여부를 확인 보청기는 의료기기이므로 반드시 식약청으로부터 정식 품목 허가를 받은 제품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안전한 보청기 사용의 지름길이다.   3. 보…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21 05:33 조회 1010 더보기
With the craze on for alternative fuel, electric scooters are all the rage. But with so many electric scooters to chose from it's tough to determine the one that is right for your mobility needs. 1 Determine your mobility needs before you buy. If you are someone who needs an electric scoot…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21 05:32 조회 972 더보기
처방의인 내가 확신하는 명약이 있다. 이 처방을 받으면 정성껏 받아 정성으로 먹기만 하면 ‘건강 평화 만사형통’하는 귀한 약이다. 이 약의 방제명은 ‘웃음’이다. 비웃음 짓지 말지어다. 신성한 ‘웃음’의 위대한 생명력을 자각하지 못하고 살았음을 오 히려 반성해야 한다. 하여 오늘 ‘웃음’이 가진 성스러운 생명력의 가치를 새로 깨닫고, 새해 축복된 삶의 거듭나기를 다짐해 보자. 만인과 나누고자 하는 명약인 웃음은 조물주가 주신 귀한 선물이다.웃음, 신이 내린 신약(神藥) 이미 웃음에 대해 질병치료학으로서의 의학적 임…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21 05:32 조회 880 더보기
중년기에 우울증을 앓은 여성이 차후 치매발병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캘리포니아대학 데보라 반스(Deborah Barnes) 교수가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에 발표했다. 교수는 40~55세의 성인 1만3000여 명을 대상으로 1964~1973년 중년기때와 1994~2000년 노년기때 치매의 위험과 혈관성 치매,알츠하이머병 등을 조사했다. 조사결과, 중년기에 우울증 증상이 있던 사람은 14.1% 노년기는 9.2%, 양쪽 기간 모두는 4.2%로 진단된 가운데, 6년간 추적결과 22.5%(…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21 05:31 조회 868 더보기
노인은 덜 먹는 것이 기억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메이요 클리닉의 요나스 제다(Yonas Geda) 박사는 70세 이상 노인 1천명을 대상으로 칼로리 섭취량과 기억력 저하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하루 2천143칼로리 이상을 섭취하는 노인은 경도인지장애(MCI: mild cognitive impairment)를 나타낼 가능성이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MCI란 건망증보다는 좀 더 심한 경우로 같은 이야기를 여러번 되풀이 하거나 들은 얘기를 기억 못 하거나 계산을 하면서 자주…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21 05:30 조회 909 더보기
요리 직접 하고 방 구조 바꾸면 자연스럽게 뇌 활동 늘어  지난 해 보건복지부 발표 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 중 치매 환자는 49만5000명으로 전체 노인 인구 중 8.9% 달한다. 최근에는 스트레스와 각종 질병으로 인해 젊은 나이에 치매를 겪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치매로 인해 기억력이나 이해력·판단력 기능에 장애가 오면 정상적인 사회생활은 물론, 가정을 꾸려나가기도 힘들어진다. 치매는 한번 걸리면 완치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예방법과 진단법을 알아두고,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21 05:29 조회 934 더보기
치매를 예방하는 확실한 방법 50 가지   01. 아침마다 맨손체조를 하라.02. 좋은 물을 많이 마셔라.03. 감사 기쁨의 말을 쓰고, 원망 비난의 말을 사용 말라.04. 뇌에 영양을 주는 식품을 섭취하라. - 호두, 잣, 토마토, 녹차가 좋다.05. 두부, 청국장 등 콩류를 많이 먹어라. 콩은 뇌 영양 물질 덩어리다. 06. 계란은 완전식품이다. 콜레스테롤 따위 신경 쓰지 말고 먹어라.07. 식탁에 멸치그릇을 놓아두고 수시로 먹어라. 멸치는 보약이다.08. 치아가 손상되면 바로 고쳐라. 이가 없으면 치매도 …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21 05:28 조회 899 더보기
칼로리 섭취를 줄이면 노화의 진행이 지연되는 것은 페록시레독신-1(Prx-1)이라는 효소가 활성화되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예테보리 대학 세포-분자생물학 교수 미카엘 몰린(Mikael Molin) 박사는 칼로리 섭취를 줄이면 세포노화에 따른 유전물질 손상 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Prx-1 효소가 활성화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고 말한 것으로 사이언스 데일리가 1일 보도했다. 이 효소는 세포노화가 진행되면서 점차 활동성을 잃게 되지만 칼로리 섭취를 줄이면 손상된 이 효소를 "수리"하는 또 다른 효소(Srx-1)가 …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21 05:26 조회 900 더보기
영원히 살 수는 없어도 노화를 방지해 젊게 살 수 있게 만들어주는 약이 현실화할 날도 멀지 않았다. 영국 데일리메일은 더럼대학교 연구팀이 비록 세포 단위지만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는 방법을 알아냈다고 2일 보도했다. 연구를 진행한 크리스 허치슨 교수는 아직 연구가 초기 단계이지만 사람들이 70, 80세의 나이에도 편안하고 덜 고통스러운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와줄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전했다. 허치슨 교수는 "조로증을 앓는 아이들과 노년층에게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선천성 조로증을 앓고 있는 아이들의…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21 05:25 조회 878 더보기
여성보다 평균 수명이 낮은 남성이 장수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10가지의 건강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미국 하버드대 교수의 연구보고서가 나와 주목을 끌고 있다. 하버드대 의대 부교수인 하비 사이먼은 미 시사주간지 뉴스위크 금주호에 발표한 보고서에서 "전세계적…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21 05:25 조회 911 더보기
부부가 해로하며 살기위해서는 상대방에 대한 이해가 필요조건이다. 상대방에 대한 이해는 마음에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몸에 대한 이해도 중요하다. 남편과 아내의 너무나도 다른 몸과 건강에 대해 알고 나면 마음을 이해하는 것도 더 쉬워진다.특히 본격적으로 건강의 적신호가 켜지는 중장년층의 아내와 남편이라면 이제부터라도 서로가 겪게 될 질환에 대해 살펴보아야 한다. 부부의 날을 맞아 아내, 남편에게 나타날 수 있는 질환을 살펴보고 행복한 두 사람의 노후를 위해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중년아내, 아내의 자궁, 유방 정기검진 잊지…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21 05:24 조회 1424 더보기
사람에 따라 뇌졸중을 일으키는 형태도 각양각색이다. 뇌졸중의 위험 인자에 대해서 살펴 보자. 1 당신의 혈압은?A 120/80미만 (3점)B 140/90초과 (0점)C A와 B사이  (1점)》혈압 수치가 최고치에서 20씩 증가할 때마다, 또는 최저치에서 10씩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으로 사망할 위험이 2배로 늘어난다는 것이 미국 예일 의과 대학의 교수인 월터 커난 박사의 설명이다. 2 당신은 담배를 피우는가?A 전혀 피우지 않는다. (3점)B 과거엔 피웠지만 지금은 끊었다 (…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21 05:23 조회 894 더보기
아버지의 부검 기록을 읽으면서 기이하게도 위안이 되는 점을 찾을 수 있었다.“피부 상태는 정상이다. 식도에도 손상된 흔적은 없다. 위에도 두드러진 증상이 없다. 소장에는 거의 소화가 되지 않은 음식 조각들이 남아 있다. 미약한 폐기종 증세만 있을 뿐이다.” 아버지가 17년 전에 담배를 끊은 것도 한몫한 것 같았다. 아마도 그것 때문에 다음과 같은 좋은 결과가 있을 수 있었는지도 모른다.“환자는 신장과 심장 판막, 간, 눈, 비장과 임파 조직의 일부, 방광, 전립선, 췌장 등을 포함하여 장기의 대부분을 기증했다.” 우리는 장기 기증 …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21 05:22 조회 910 더보기
혹시 나이 든 부모님께 소변도 아닌 대변이 샌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면?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변을 참기 힘든 변실금이다. 요실금처럼 불편한 것은 물론 자식들에게도 말하지 못하고 맘고생을 하게 만든다.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뇌출혈 등으로 변이 나오는 것 자체를 못 느끼는 경우보다는 변이 나오는 것을 알아도 항문 괄약근이 손상돼 참지를 못하는 경우가 많다. 여성은 출산으로 인해 괄약근에 이상이 생기면서 변실금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다. 배변을 할 때 지나치게 힘을 주거나 직장이 항문 또는 항문 밖으로 빠지는 직장 탈출증이 …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21 05:21 조회 881 더보기
69세 박금숙(서울 은평구 신사동)씨의 목소리는 낭랑한 고음이고 활기차다. 듣는 이가 기분이 좋아질 정도다. 달력에는 주부대학과 인터넷 강좌, 동창 모임 등 일주일 일정이 빼곡하다. 1년 전만 해도 초기 치매 환자였다고는 도저히 상상하기 어렵다. 치매 그림자가 박씨에게 스며든 것은 지난해 봄이었다. 어느 날 심한 우울감과 급속한 기억 장애가 찾아왔다. 집에서 혼자 지내던 생활은 '사고'의 연속이었다. 가스불 위에 국을 올려놓고 외출해 화재가 날 뻔했던 것이 몇달 사이 서너 번 있었고, 지하철 환승역을 계속 놓쳐서 두 시간을 왔다갔…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21 05:21 조회 959 더보기
활기찬 장수의 조건은… 변경삼씨의 경우[장수 집안도 아니다]업혀서 학교 갈 정도로 어렸을 적부터 허약체질… 80세 넘게 산 가족 없어[자전거 장수론]"자전거 멈추면 쓰러지 듯 끊임없이 일해야 건강"작년 특허 출원할만큼 머리 쓰며 왕성하게 활동… 자동차는 성묘 갈 때만 나이 들수록 신체 장기는 힘을 잃고, 해가 갈수록 관절은 닳아간다. 누구나 피할 수 없는 노화 현상이지만 어떤 이는 '팔팔한 백세'를 즐기고, 어떤 사람은 '골골한 노년'에 주저앉는다. 그 차이는 뭘까. 올해 98세가 되는 변경삼씨(창생사 대표) 허리춤에는 항상 만…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21 05:19 조회 1001 더보기
치매 조기 진단·치료 길 열린다예방과 치료를 동시에 백신 20여종 임상시험 중치매 발생 여부 예측 조기 진단법도 곧 실용화경기도 성남에 사는 정모(86)씨와 이모(84)씨는 부부가 같이 치매를 앓고 있다. 결혼생활 68년을 동고동락한 노부부의 인연은 기가 막히게도 '부부 치매'로까지 이어졌다. 남편 정씨가 2003년 먼저 치매의 덫에 걸렸고, 1년 후 부인마저 치매 늪에 빠졌다.부부는 현재 막내딸 집에서 '대소변 시중'을 받으며 함께 지내고 있다. 딸 정모(52)씨는 "부모님이 자식은 못 알아봐도 자기들끼리 서로 알 수 없…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21 05:19 조회 1399 더보기
누구나 나이 들어 치매에 걸릴까 봐 걱정한다. '본인은 천국, 가족은 지옥'이라는 치매. 이것만큼 질병의 부담을 주변에 크게 지우는 병도 없을 것이다. 치매 안 걸리도록 하는 것이 행복한 노년의 삶을 보장하는 첫 번째일 것 같다.최근의 의학 연구를 보면 치매 예방에 가장 좋은 것이 걷기다. 그것도 빠르게 걷기다. 땀내가 살짝 나는 꾸준한 걷기가 뇌 혈류를 개선하고, 특히 기억 중추인 해마(海馬)를 활성화시킨다는 것이다. 그러려면 최소한 시속 6㎞ 이상 속도로 걸어야 한다. 어떤 의사는 이를 무서운 개가 길거리에서 쫓아올 때 점잖게 …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21 05:18 조회 1604 더보기
얼마 전 40대 초반의 한 남성이 금연을 결심했다. 담뱃값 부담도 만만치 않았지만, 무엇보다도 만성폐쇄성폐질환을 앓고 있는 68세의 부친으로부터 “담배를 끊지 않으면 정년 이후의 인생을 즐기려야 즐길 수 없다”는 말을 듣고 자신의 노후가 걱정됐기 때문이다. 만성폐쇄성폐질환(CODP)란 유해한 입자나 가스의 흡입에 의해 폐에 비정상적인 염증 반응이 일어나면서 이로 인해 점차 기류 제한이 진행되어 폐 기능이 저하되고 호흡곤란을 유발하게 되는 호흡기 질환이다. 폐기종, 만성 기관지염 등이 이에 속한다. 오랜 세월 기도와…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21 05:17 조회 1033 더보기
일본 도쿄 건강장수 의료센터 연구소는 70세 이상 노인 5000명을 대상으로 8년간 추적 조사를 실시한 결과, 영양 섭취가 좋지 않고 마른 체형의 노인의 경우 노화가 빨리 진행될 뿐만 아니라 수명도 줄어든다고 밝혔다. 근육량이 줄어들면 결국 몸이 일찍 쇠약해진다는 것이다. 여태까지 동맥경화와 당뇨병 등을 우려해 칼로리 섭취를 제한하는 게 곧 장수하는 지름길이라 믿어온 미국과 유럽 등지의 상식을 뒤엎는 결과다. 이에 따르면, 나이 든 노인일수록 식사를 잘 챙기고 고기와 생선을 다 잘 먹는 등 고칼로리 식사를 해야 한다. 최근 도쿄 …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21 05:16 조회 1042 더보기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