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근거
페이지 정보
작성자 Friday 댓글 0건 조회 895회 작성일 16-11-09 01:03
본문
사용
아래 제시하고 있는 사용은 인간실험이나 동물실험을 거친 것이다. 안전성과 유효성이 항상 보장된 것은 아니다. 일부는 매우 위험할 수 있으므로 자격을 갖춘 보건의료인의 평가를 받아야 한다.
등급
간염 (바이러스성) Hepatitis (viral)
아유르베다의 전통적인 한약제조법에 따른 Kamalahar는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에 의한 간 손상의 임상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완성도 높은 연구가 실시된 바 있다. Kamalahar에는 Tecoma undulate, Phyllanthus urinaria, Embelia ribes, Taraxacum officinale, Nyctanthes arbortistis와 Terminalia arjuna가 들어간다. 또한 다른 연구에서는 Picrorhiza kurroamay 허브로 만든 뿌리가루가 바이러스성 간염 환자의 빌리루빈 수치와 SGOT(혈청 글루타민산 옥살로산 트란스아미네이스)와 SGPT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그 효과에 대해 보다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
고콜레스테롤 High cholesterol
Guggul(Commiphora) 허브로 혈청 콜레스테롤과 혈청 중성지방 수치를 낮출 수 있다는 예비연구가 보고되었다. 또한 고밀도지질단백질(HDL)을 높이고 저밀도지질단백질(LDL)을 낮추는 작용도 한다고 한다. 그 효과에 대해 보다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
고혈압 High blood pressure
아바나는 아유르베다에서 예로부터 심장 건강을 위해 활용해온 것으로 허브와
C
광물을 적절히 조합하여 만든다. 초기 연구에 따르면 아바나는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그 효과에 대해 보다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골관절염 Osteoarthritis (OA)
Withania somnifera 뿌리와 Boswellia serrata의 줄기, Curcuma longa 뿌리줄기, 아연 복합체(Articulin-F®)를 조합하여 만든 아유르베다 치료제가 퇴행성 관절염 증상에 매우 도움이 된다고 하는 완성도 높은 연구가 발표되었다. 다른 연구에 따르면 Guggul(Commiphora mukul)을 캡슐약으로 매일 복용하면 퇴행성 관절염의 통증 감소와 신체기능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
과민성 대장 증후군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아유르베다에서는 바엘프루트(Aegle marmelos correa)와 Bacopa monnieri Linn을 조합하여 소화 불량과 설사 치료제로 사용해왔다. 한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한약은 IBS 환자에게 단기적인 치료 효과 가 있으며, 특히 설사를 겪는 환자에게 도움이 된다고 한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효과가 있지는 않다. 그 효과에 대해 보다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
관상동맥 질환 Coronary heart disease
판차카르마(인도 전통 의술의 해독치료)라고 하는 아유르베다의 광범위한 정화과정 및 해독과정으로, 심장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혈관확장제로 작용할 수 있으며 총 콜레스테롤을 빠른 속도로 감소시키며 과산화지질(활성산소의 지표)을 감소시키고 긴장감도 크게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아르주나(터미날리아 아르주나) 껍질가루는 전통적으로 고혈압과 심근경색에 대해 심근경색을 예방하고 심장을 보호하는 약으로 활용되어 왔는데, 이에 대한 한 연구에 따르면 관상동맥 질환이 있는 환자의 콜레스테롤과 과산화지질 수치를 낮추고 강한 항산화작용을 하며, 이러한 작용은 비타민 E가 체내에서 작용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한다.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
당뇨병 Diabetes
아유르베다의 다양한 치료법에 대한 일부 연구가 실시된 후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양한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 전통적인 당뇨치료를 위한 치료법인 코치니아 인디카(Coccinia indica)는 성인형 당뇨병의 내당능(체내에서 포도당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개선시킬 수 있다고 한다. 살라시아 레티쿨라타(Salacia reticulata)를 함유한 차(Kothala Himbutu tea)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당조절 능력을 증진시키고 글리벤클라마이드의 사용횟수를 감소시킨다. 카롤라(Karolla)라고 알려져 있는 여주열매(Momordica charantia) 추출액을 마시면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환자의 혈중 포도당 수치가 감소한다. Pancreas Tonic이라고 하는 아유르베다의 전통적인 치료제는 HbA(1c) 수치가 높은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중기 당수치 조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Bijaka, Pitasara, Pitashalaka라고도 불리는 아유르베다 허브인 Vijayasar (Pterocarpus marsupium, 인도키노나무)는 이제 막 당뇨병 진단을 받았거나 치료를 안받은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혈중 포도당 수치를 조절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위에 언급한 모든 치료법에 대하여 보다 완성도 높은 임상실험이 실시되어 그 효과 여부에 대한 분명한 판단을 할 필요가 있다.
C
대장염 Colitis
예비연구에 따르면 인도유향검(Boswellia serrata gum)으로 부작용은 최소화한 상태에서 만성 대장염이 있는 환자의 증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C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류마티스성 관절염 Rheumatoid arthritis
전통적인 아유르베다 한약인 RA-1은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관절부종을 줄이는 효과가 있으나 다른 증상에는 효과가 없다는 연구가 있다. RA-1에는 Withania somnifera (ashwagandha), Boswellia serrata (gugulla), Zingiberis officinale (생강)과 Curcuma longa (울금)이 들어간다. Boswellia serrata(H15, indish incense)에서 추출한 수지는 소염제로 작용한다. 그러나 류마티스성 관절염 환자에게는 효과가 없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류마티스성 관절염에 대한 치료 효과를 명확히 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
망막병증 Retinopathy
Saptamrita Lauha라는 아유르베다 허브가 출혈이 신속하게 흡수되는 것을 돕고 당뇨병성 환자와 고혈압 환자의 망막병성 안구 질환이 재발하는 것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
변비 (진행성 암 치료) Constipation (in advanced cancer treatment)
미스라카스네함(Misrakasneham)이라고 하는 아유르베다의 액체 허브 약재에는 21가지의 다양한 허브가 들어가는데, 대표적으로 피마자유, 기(ghee, 인도 요리에 사용하는 정제 버터) 및 우유가 있다. 초기 연구에 따르면 암 환자의 오피오이드로 유발된 변비 증상 해결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
불면증 Insomnia
아유르베다의 전통적인 불면증 치료제(Blissful Sleep, Maharishi Ayurvedic Products International)에는 인도발레리안(valeriana wallichi), 장미꽃잎(rasa centifolia), Muskroot (Nardostachys jatamansi), Heart-leaved moonseed (Tinospora cordifolia), 생강(Zingibar officinalis), Aloeweed (Convolvulus pluricalis)와 감초뿌리 (Glycyrrhiza glabra)가 들어가는데, 이 한약으로 불면증 환자의 입면시간(잠이 들기 까지 걸리는 시간)을 부작용 없이 줄일 수 있다고 한다.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
수막뇌염 (바이러스성) Encephalitis (viral)
초기 연구에 따르면 O. sanctum 잎의 추출액이 바이러스성 수막뇌염이 있는 환자에게 효과가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 치료법에 대한 인간 대상의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C
심장 질환 Cardiac disease
심장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아유르베다에서 오래전부터 사용해오던 허브 및 광물이 조합된 아바나에 대한 초기 연구에서는 아바나가 심장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
우울증 (경증 및 중등도) Depression (mild to moderate)
초기 연구에 따르면 전통적인 아유르베다 한약제조법에 따라 4가지 인도 허브(Ashvatha, Kapikachu, Dhanvayasa, and Bhuriphali (the GS-02 formulation))를 조합하여 섭취하면 일반적인 항우울제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
울혈성 심부전 Congestive heart failure
예비연구에 따르면 님바/님/아리시타(Azadirachta indica)라고 알려져 있는 아유르베다 허브에서 추출한 소디움 님비디네이트(sodium nimbidinate)로 울혈성 심부전이 있는 환자에게 이뇨제로 작용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
인지 기능 Cognitive function
아유르베다에서는 브라미(Bacopa monnieri, 백설)라고 하는 식물을 다양한 질병에 적용하고 있다. 완성도 높은 한 연구에 따르면 브라미가 성인의 기억력과 인지 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한다. 다른 연구에서는 마하리시 암리트 칼라시(MAK)-4 허브 요법은 주의력과 명료한 정신을 키우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노화 방지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
위장 질환 (위염 및 소화 불량) Stomach disorders (gastritis and dyspepsia)
아말라키(학명: Emblica officinalis / Phyllanthus emblica) 허브는 Chyavanaprash tonic를 포함한 다양한 아유르베다 치료제에 많이 사용되는 과실이다. 한 연구에 따르면 아말라키는 위염과 소화 불량 증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다른 연구에서는 Asparagus racemosus (Shatavari)라는 아유르베다 허브가 음식이 위에 머무는 시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소화 불량에 많이 사구용하는 소화제인 메토클로프라미드의 작용과 유사하다. 연구 대상이 대부분 건강한 사람이었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
죽상경화증 (막힌 동맥) Atherosclerosis (clogged arteries)
연구에 따르면 환자에게 식이요법과 운동, 스트레스 감소 및 허브(마하리시 아유르베다 치료제)을 처방했을 때 죽상경화증의 지표가 되는 경동맥 내중막 두께(IMT)가 감소했다고 한다. 특히 선천성 심장 질환(CHD)이 있는 환자에게서 효과가 두드러졌다. 또한 마하리시 암리트 칼라쉬(MAK)-4와 MAK-5(전통적인 허브 처방법에 현대적인 방법을 적용한 2개의 허브 처방법)는 죽상경화증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그러나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
천식 Asthma
초기 연구에 따르면 인도 유향검(Boswellia Serrata gum), 아유르베다에서는 살라이 구갈(Salai guggal)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것을 매일 씹으면 호흡 곤란증상과 천식 발생이 나아질 수 있다고 한다. 다른 허브인 개잎갈나무(Devadaru = Cedrus deodara)는 기도 경련을 예방하여 기관지 천식 증상을 감소시키며, 특히 천식이 발생한지 얼마 되지 않고 천식 발생횟수가 적은 환자에게 도움이 된다. 이를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
치열 (항문 부위 파열 현상) Anal fissure
아유르베다의 전통 치료법에서는 알칼라인 스레드(ksharasutra 또는 Ayurvedic setons)를 사용하여 병변부위가 점진적으로 부식되도록 하는데, 이는 치열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대안적 수술법이다.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
C
체중 감량 Weight loss 아유르베다의 전통적인 허브인 Guggul (Medohar)이 비만환자의 체중 감소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연구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이와 관련된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보다 폭넓은 임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전통적인 허브 치료제인 Mucuna pruriens는 파킨슨병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파킨슨병을 오랫동안 앓게 된 환자의 L-dopa 분비에 작용한다고 한다. 다른 연구에 따르면 Mucuna pruriens에서 추출한 HP-200이라고 하는 아유르베다 치료제를 사용하여 파킨슨병의 증상을 감소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
편모충증 Giardiasis
Pippali Rasayana는 아유르베다식 한약제조법으로 palash(학명: Butea monosperma [Lamk] Kuntze; Leguminaceae)와 Pippali(학명: Piper longum L.; Piperaceae)로 만들 수 있다. 완성도 높은 연구에 따르면 편모충의 장관내 감염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라고 한다. 그 효과에 대해 보다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
편평태선 (구강) Lichen planus (of the mouth)
울금(turmeric, 강황의 뿌리를 건조한 후 빻아 만든 노란색 향신료)은 아유르베다 치료제로 많이 사용되는 허브이다. 이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구강 편평태선이라고 하는 구강점막 염증성 질환에 대한 치료제로 울금이 효과가 있다고 한다. 그러나 초기 연구이기 때문에 보다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C
협심증 (흉통) Angina (chest pain)
아바나(Abana)는 식물과 광물의 조합으로 아유르베다에서 심장의 건강을 위해 전통적으로 사용해온 방법이다. 주재료는 터미널리아 아르주나, 인디안 윈터체리, 가자나무, 인디안 구즈베리, 스파이크나드(감송), 티노스포리아 코르디폴리아, 감초, 생강, 개박하이다. 초기 연구에 따르면 아바나로 협심증 증상인 흉통의 발생횟수 및 위중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한다. 터미널리아 아르주나의 껍질 파우더는 고혈압 환자 및 심근경색 환자에게 항협심증 약물 및 심장보호제로써 예로부터 사용되었으며, 터미널리아 아르주나 껍질파우더는 이소소르빈 모노나이트레이트(isosorbine mononitrate, ISMN)에 비해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이다. 그러나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
이질 (세균성 이질) Dysentery (shigellosis)
한 연구에 따르면 세 가지 아유르베다 치료제인 Bel (Aegle marmelos)과 Thankuni (Hydrocotyle asiatica), Gandhavadulia (Paederia foetida)와 항생제인 암피실린을 비교했을 때 별 다른 효과가 없었다고 한다.
D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