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하품하는 당신…혹시?
페이지 정보
작성자 Emile 댓글 0건 조회 694회 작성일 15-01-31 04:38
본문
책상 앞에서 졸음이 쏟아지고 최근 몸무게가 불었다면 '사회적 시차증(Social jetlag)'일 확률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ABC뉴스는 의학 전문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 실린 독일 루드비히 막시밀리안스대학 틸 로엔네베르크 박사의 사회적 시차증 연구결과를 11일 소개했다.
로엔네베르크 박사는 "사회적 시차증이란 최근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현대사회의 증후군"이라며 "생체시계와 현실시계가 서로 일치하지 않아 생기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몸은 더 자고 싶다는 신호를 보내는데 출근시간이 되면 어김없이 일어나야만 하는 현대인의 운명이 사회적 시차증을 만들어냈다"며 "이를 앓고 있는 사람은 상대적으로 비만이 될 확률이 높고 만성적으로 잠이 부족하다"고 덧붙였다.
로엔네르크 박사팀은 세계수면지도를 만들기 위해 10여 년간 수면과 기상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다.
참가자들의 신장, 체중, 수면 패턴 등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시차증을 앓고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과체중이 될 가능성이 실제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로엔네르크 박사는 "모든 사람이 생체시계를 가지고 있지만, 이는 시계처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없다"며 "실외에서 햇볕을 쐬거나 창가에 앉아 있는 것만으로도 사회적 시차증 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렇게라도 하지 않는다면 사람들의 생체시계는 점점 늦춰져서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하거나 낮에도 계속 피곤을 느끼게 된다"고 덧붙였다.
또 "충분히 잘 자는 것만으로도 업무 수행 능력이 향상되고 가족 또는 친구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며 잠에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 결코 낭비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머니투데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