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 질환 있는 생리통 VS 없는 생리통 구별법은?
페이지 정보
작성자 Emile 댓글 0건 조회 677회 작성일 15-02-04 00:10
본문
생리통은 생리 중 통증으로 참고 지내거나 결혼해 임신을 하면 좋아지는 병 정도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생리통은 원인 질환이 유무에 따라 증상과 치료법이 다르므로 정확하게 진단하고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리통은 생리를 하는 여성의 약 50%에서 발생하는 증상이며, 정상적인 생리작용에서부터 정확한 진단이 필요한 질병까지 다양한 질환에서 나타난다.
생리통은 특별한 원인질환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 일차성 생리통이라고 하며, 자궁근종, 자궁내막증, 자궁선근증 등 특정 원인에 의한 경우를 이차성 생리통이라 한다. 일차 생리통은 대개 초경이 있은 후 1~2년이 지나고 나타난다. 이 기간은 무배란 월경이 끝나고 배란성 월경이 시작되는 시기로 자궁내막에 발생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이라는 물질이 자궁수축을 일으키면서 통증을 느끼게 된다.
일차성 생리통의 증상은 대개 생리시작 수 시간 전이나 생리시작 직후에 통증이 시작돼 48~72시간 동안 지속된다. 통증은 주로 방광 위쪽에서 발생하며, 허리 및 엉치뼈, 허벅지까지 통증을 느끼기도 하며, 헛구역질 및 구토와 함께 설사를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일차성 생리통에 의한 복통은 다른 복통과는 달리 복부 마사지 혹은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완화되기도 한다.
이차성 생리통은 생리시작 1주~10일전부터 통증이 시작되며 생리가 끝나도 지속될 수 있다. 생리통과 함께 성교통, 배변시 통증, 불규칙한 질 출혈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주기적인 생리통이 발생할 경우 먼저 일차성인지, 이차성 생리통인지 정확하게 진단을 내린 후 치료를 시작하는데 일반적으로 골반 진찰, 초음파, 염증검사, 혈액검사 등을 시행하고 필요할 경우 제한적으로 복부 CT, 복강경 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다. 치료는 일차성 생리통인 경우는 우선 약물치료를 실시하는데 생리시작 전부터 1~3일정도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억제제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치료를 주기적으로 사용하면 대부분 좋아진다. 이차성 생리통인 경우 원인질환이 치료되면 대부분 사라진다.
대전성모병원 산부인과 정인철 교수는 "약물의 도움 없이 생리통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증상이 있을 때 옆으로 누워 배를 따뜻하게 하거나 따뜻한 물에 허리를 담그고, 적당한 운동과 규칙적인 식사와 수면을 취하면 좋다"고 조언한다. 특히 적당한 운동은 통증을 줄이는 베타 엔돌핀을 증가시켜 생리통과 동반된 우울감정 등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두통, 불안, 초조, 피로 등의 생리전증후군이 동반될 때는 규칙적인 운동, 단백질, 과일를 통한 비타민 섭취를 많이 하는 것도 도움이 되고 배변 장애가 있는 경우 충분한 섬유질을 섭취해 주는 것이 좋다. 특히 비타민 B6인 피리독신은 생리전증후군의 통증과 불쾌감을 줄이기 위해 효과적이므로 같이 복용하면 도움이 된다.
헬스조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