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공교육 이대로 괜찮을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뽕킴 댓글 0건 조회 1,836회 작성일 11-04-25 11:46
본문
현재 미국 대학의 80% 이상이 한국의 대학 수학능력시험에 해당되는 SAT 성적을 입학사정에 이용하고 있지만, 일부에선 대학입학사정 항목에서 SAT 시험을 제고하자는 움직임도 일고 있다. 진보 진영의 주장은 SAT 시험이 인종, 소득, 계층간 불평등을 심화시킨다는 것이다. 또한 이들은 비록 SAT 성적은 조금 낮지만 학교 성적이 우수한 학생, 저소득층 및 소수계 학생들에 대한 입학문호를 넓힐 수 있다는 장점을 강조하고 있다.

반면 반대론자들은 SAT를 제외할 경우 입학사정시 학생들의 실력을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객관적 척도를 상실하게 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또 과거 무시험 전형을 실시해왔던 일부 대학 중에는 대학 지원자들에게 SAT 성적 제출을 의무화하는 방향으로 방침을 선회하고 있으며, 진보 진영이 우려하는 것처럼 소수계 학생들의 입학이 크게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주장이다.
이런 가운데 올해 SAT 시험을 본 학생들의 성적이 가계의 소득, 부모의 학력 수준과 정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AT를 주관하는 칼리지보드의 '2010 SAT 보고서' 를 보면 전국에서 154만 명이 치른 올해 SAT 평균 성적은 독해 501점, 수학 516점, 작문 492점으로 나왔다. (참고로 과목별 만점은 800점)
SAT 점수를 가계 소득 수준을 2만 달러에서 20만 달러까지 10단계로 나눠 분석한 결과를 보면 소득 수준과 자녀 성적이 완벽하게 정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의 경우, 소득 수준이 한 단계 높아질 때마다 자녀 성적도 5~25점 높아졌다. 부모의 학력 수준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고졸 이하인 부모를 둔 학생과 대학원 이상 부모의 자녀간 점수 차이는 과목별 평균 129~139점이나 됐다.
이와 같은 현상은 당초 진보 진영이 우려했던 것과 일치하는 것이다. 교육 전문가들은 교육을 통한 계층 대물림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평가했다. 최근 한국에서 이뤄진 연구 결과를 봐도 수능 성적은 내신 성적보다 부모의 경제력에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온 바 있다. 그렇다면 대안은 무엇일까? 바로 공교육을 강화하는 것이다. 최근 미국은 공교육 강화를 위해 수많은 정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역부족이다.
수차례에 걸쳐 한국 교육을 본 받아야 한다고 역설했던 오바마 대통령은 최근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해 "내 딸들이 워싱턴 D.C.의 공립학교에 다녔다면 지금 다니고 있는 사립학교와 같은 수준 높은 양질의 교육을 받지는 못했을 것" 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동안 미국은 교육 개혁을 통해 상당한 진전을 이뤘지만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많은 게 현실이다. 지역적 편차도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최근 미국의 공교육 정책과 관련해서 가장 획기적인 발언은 수업 일수 증가와 무능력 교사에 대한 퇴출 압력이다. 한인으로 워싱턴 D.C.의 교육감 자리에 있는 미셸 리 교육감은 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잘못된 힉교 시스템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할 수는 없으며, 학생들은 최고의 능력을 갖춘 교사들로부터 양질의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는 만큼 무능한 교사들은 더 이상 학교에 머물 수 없다" 고 강조했었다.
하지만 LA 타임즈가 지난 달 실시했던 교직원 평가 결과를 보고 비관한 나머지 한 교사가 자살을 함으로서 오바마 대통령의 교육개혁에 대한 회의론이 확산되고 있다. 요즘 미국도 사교육비 때문에 많은 부모들이 힘들어 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 인도인들의 경우 많은 부모들이 자녀를 학원에 보내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미국사회의 주류인 백인들 역시 학원을 보내지 않고서는 경쟁에서 이길 수 없다는 생각에 앞다퉈 자녀들을 학원에 보내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 미국은 경기침체와 함께 공교육이 심판대에 올랐다. 미국에서 공부하면 사교육비가 필요 없다는 말은 아주 먼 과거의 얘기가 됐다. 교육에도 대물림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게 작금의 미국 현실이다.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되면서 이같은 현상은 점점 더 심해질 수밖에 없다. 과연 오바마 정부가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는 대목이다.
반면 반대론자들은 SAT를 제외할 경우 입학사정시 학생들의 실력을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객관적 척도를 상실하게 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또 과거 무시험 전형을 실시해왔던 일부 대학 중에는 대학 지원자들에게 SAT 성적 제출을 의무화하는 방향으로 방침을 선회하고 있으며, 진보 진영이 우려하는 것처럼 소수계 학생들의 입학이 크게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주장이다.
이런 가운데 올해 SAT 시험을 본 학생들의 성적이 가계의 소득, 부모의 학력 수준과 정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AT를 주관하는 칼리지보드의 '2010 SAT 보고서' 를 보면 전국에서 154만 명이 치른 올해 SAT 평균 성적은 독해 501점, 수학 516점, 작문 492점으로 나왔다. (참고로 과목별 만점은 800점)
SAT 점수를 가계 소득 수준을 2만 달러에서 20만 달러까지 10단계로 나눠 분석한 결과를 보면 소득 수준과 자녀 성적이 완벽하게 정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의 경우, 소득 수준이 한 단계 높아질 때마다 자녀 성적도 5~25점 높아졌다. 부모의 학력 수준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고졸 이하인 부모를 둔 학생과 대학원 이상 부모의 자녀간 점수 차이는 과목별 평균 129~139점이나 됐다.
이와 같은 현상은 당초 진보 진영이 우려했던 것과 일치하는 것이다. 교육 전문가들은 교육을 통한 계층 대물림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평가했다. 최근 한국에서 이뤄진 연구 결과를 봐도 수능 성적은 내신 성적보다 부모의 경제력에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온 바 있다. 그렇다면 대안은 무엇일까? 바로 공교육을 강화하는 것이다. 최근 미국은 공교육 강화를 위해 수많은 정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역부족이다.
수차례에 걸쳐 한국 교육을 본 받아야 한다고 역설했던 오바마 대통령은 최근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해 "내 딸들이 워싱턴 D.C.의 공립학교에 다녔다면 지금 다니고 있는 사립학교와 같은 수준 높은 양질의 교육을 받지는 못했을 것" 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동안 미국은 교육 개혁을 통해 상당한 진전을 이뤘지만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많은 게 현실이다. 지역적 편차도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최근 미국의 공교육 정책과 관련해서 가장 획기적인 발언은 수업 일수 증가와 무능력 교사에 대한 퇴출 압력이다. 한인으로 워싱턴 D.C.의 교육감 자리에 있는 미셸 리 교육감은 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잘못된 힉교 시스템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할 수는 없으며, 학생들은 최고의 능력을 갖춘 교사들로부터 양질의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는 만큼 무능한 교사들은 더 이상 학교에 머물 수 없다" 고 강조했었다.
하지만 LA 타임즈가 지난 달 실시했던 교직원 평가 결과를 보고 비관한 나머지 한 교사가 자살을 함으로서 오바마 대통령의 교육개혁에 대한 회의론이 확산되고 있다. 요즘 미국도 사교육비 때문에 많은 부모들이 힘들어 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 인도인들의 경우 많은 부모들이 자녀를 학원에 보내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미국사회의 주류인 백인들 역시 학원을 보내지 않고서는 경쟁에서 이길 수 없다는 생각에 앞다퉈 자녀들을 학원에 보내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 미국은 경기침체와 함께 공교육이 심판대에 올랐다. 미국에서 공부하면 사교육비가 필요 없다는 말은 아주 먼 과거의 얘기가 됐다. 교육에도 대물림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게 작금의 미국 현실이다.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되면서 이같은 현상은 점점 더 심해질 수밖에 없다. 과연 오바마 정부가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는 대목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