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가 범죄형 인간 알아보는 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inceton 댓글 0건 조회 1,638회 작성일 10-08-11 23:14
본문
범죄의 원인을 외모로 접근하게 된 것은 아주 옛날의 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외과의사이자 범죄의 아버지로 불리는 이탈리아의 롬브로소는 이탈리아 감옥에 수감된 수천 명의 죄수들을 대상으로 범죄형 얼굴에 대한 연구를 했다. 그 결과 범죄형 얼굴의 특징으로 ‘경사진 이마, 튀어나온 턱, 비대칭의 얼굴’이 대표적으로 꼽혔다.
이 외에는 처진 귀를 가진 사람, 왼손잡이나 양손잡이의 사람, 눈과 눈 사이가 보통보다 넓은 사람, 광대뼈가 튀어나온 사람, 주름살이 많은 피부 등이 범죄형 인간의 또 다른 특징으로 언급되기도 했다.
“롬브로소가 밝힌 생물학적 특징은 심리학적으로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얼굴이 비대칭이라든지 어느 부위가 특정하게 발달했다든지 하는 외모의 소유자는 사회적으로 외면을 받고 친구들도 적은 편입니다. 따라서 낮은 자아 존중감을 갖게 되고 사람들에게 분노를 느끼기 때문에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많아지는 것이죠.”
하지만 범죄형 얼굴이 따로 있다고 하는 이 이론은 절대적인 학설로 받아들여지진 않고 있다. 실제 검거된 범죄자들이 이러한 기준에 맞지 않는 경우도 많고 이를 반박하는 연구 결과 또한 발표된 바 있기 때문이다.
범죄형 인간을 알아보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그 사람의 ‘눈’을 보는 것. 눈은 ‘마음의 창’이라고 하듯이 사람은 대화를 할 때 상대방의 눈을 자연스럽게 바라보고 따뜻한 눈길을 보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범죄형 인간은 상대방의 눈을 정면으로 바라보기보다 눈동자를 이리저리 굴리는 경향이 많다고. 대화를 할 때 여기저기를 살펴보면서 주변을 경계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면 이는 뭔가 다른 목적이 있다는 증거로 볼 수 있다.
범죄형 인간의 또 다른 특징은 ‘감언이설’이나 과장된 행동을 많이 하는 것이다. 지나치게 친절하거나 지나치게 호의를 보이는 사람도 조심하는 게 좋다. 특히 허황된 이야기를 많이 하거나 자신의 능력이나 처지에 비해 과잉으로 잘 해주는 사람, 또 자기 과시욕이 많은 사람도 경계 대상이라고 충고한다.
이런 사람들은 상대에게 무언가를 노리는 경우가 많지만 많은 여성들이 진위를 파악하지 못하고 빠져드는 경우가 많다고 하다. 때문에 이런 사람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그 사람에 대한 무조건적인 믿음을 버리고 자의적인 판단보다는 제3자의 객관적인 의견을 들어보고 가까이하는 것이 좋다.
모든 문제나 잘못을 남 탓으로 돌리는 사람도 조심해야 한다. 범죄형 인간들은 모든 문제를 자기 탓이 아닌 남 탓으로 돌리는 경향이 많다. 특히 사회적으로 불경기가 계속되는 상황에는 가난을 부유층이나 사회의 탓으로 돌리며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많아지는데, 요즘 우리 사회의 상황으로 볼 때 이런 유형의 범죄자가 많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신경학적으로도 범죄형 인간은 구별되어진다. 학설에 따르면 전뇌엽에 이상이 생긴 사람들 또한 쉽게 범죄를 저지를 수 있다는 것이다. 사람의 뇌에서 전뇌엽은 주의력, 계획력, 충동성 억제, 자발적 행동에 대한 기능을 담당하는데 이 전뇌엽에 이상이 발생하면 주의력과 계획성이 없어지고 충동적인 사람이 되어 이성적인 판단을 못하고 범죄를 저지르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따라서 평소 자신을 제어하지 못하고 매사에 계획성이 없으며 충동적인 기질을 보이는 사람도 조심해야 할 대상에 포함된다.
이 외에는 처진 귀를 가진 사람, 왼손잡이나 양손잡이의 사람, 눈과 눈 사이가 보통보다 넓은 사람, 광대뼈가 튀어나온 사람, 주름살이 많은 피부 등이 범죄형 인간의 또 다른 특징으로 언급되기도 했다.
“롬브로소가 밝힌 생물학적 특징은 심리학적으로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얼굴이 비대칭이라든지 어느 부위가 특정하게 발달했다든지 하는 외모의 소유자는 사회적으로 외면을 받고 친구들도 적은 편입니다. 따라서 낮은 자아 존중감을 갖게 되고 사람들에게 분노를 느끼기 때문에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많아지는 것이죠.”
하지만 범죄형 얼굴이 따로 있다고 하는 이 이론은 절대적인 학설로 받아들여지진 않고 있다. 실제 검거된 범죄자들이 이러한 기준에 맞지 않는 경우도 많고 이를 반박하는 연구 결과 또한 발표된 바 있기 때문이다.
범죄형 인간을 알아보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그 사람의 ‘눈’을 보는 것. 눈은 ‘마음의 창’이라고 하듯이 사람은 대화를 할 때 상대방의 눈을 자연스럽게 바라보고 따뜻한 눈길을 보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범죄형 인간은 상대방의 눈을 정면으로 바라보기보다 눈동자를 이리저리 굴리는 경향이 많다고. 대화를 할 때 여기저기를 살펴보면서 주변을 경계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면 이는 뭔가 다른 목적이 있다는 증거로 볼 수 있다.
범죄형 인간의 또 다른 특징은 ‘감언이설’이나 과장된 행동을 많이 하는 것이다. 지나치게 친절하거나 지나치게 호의를 보이는 사람도 조심하는 게 좋다. 특히 허황된 이야기를 많이 하거나 자신의 능력이나 처지에 비해 과잉으로 잘 해주는 사람, 또 자기 과시욕이 많은 사람도 경계 대상이라고 충고한다.
이런 사람들은 상대에게 무언가를 노리는 경우가 많지만 많은 여성들이 진위를 파악하지 못하고 빠져드는 경우가 많다고 하다. 때문에 이런 사람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그 사람에 대한 무조건적인 믿음을 버리고 자의적인 판단보다는 제3자의 객관적인 의견을 들어보고 가까이하는 것이 좋다.
모든 문제나 잘못을 남 탓으로 돌리는 사람도 조심해야 한다. 범죄형 인간들은 모든 문제를 자기 탓이 아닌 남 탓으로 돌리는 경향이 많다. 특히 사회적으로 불경기가 계속되는 상황에는 가난을 부유층이나 사회의 탓으로 돌리며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많아지는데, 요즘 우리 사회의 상황으로 볼 때 이런 유형의 범죄자가 많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신경학적으로도 범죄형 인간은 구별되어진다. 학설에 따르면 전뇌엽에 이상이 생긴 사람들 또한 쉽게 범죄를 저지를 수 있다는 것이다. 사람의 뇌에서 전뇌엽은 주의력, 계획력, 충동성 억제, 자발적 행동에 대한 기능을 담당하는데 이 전뇌엽에 이상이 발생하면 주의력과 계획성이 없어지고 충동적인 사람이 되어 이성적인 판단을 못하고 범죄를 저지르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따라서 평소 자신을 제어하지 못하고 매사에 계획성이 없으며 충동적인 기질을 보이는 사람도 조심해야 할 대상에 포함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