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연애 하세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inceton 댓글 0건 조회 1,066회 작성일 10-08-06 15:59
본문
사랑에는 나이도 없고 국경도 없다는데, 안타깝게도 유통기한은 있나보다. 그렇게 뜨겁고 열정적일 것 같던 사랑도 결혼하고 나면 시들시들해지는 게 과연 당연지사일까? 사랑은 언제나 그대로 주어지는 신의 선물이 아니다. 서로 더 노력하고 애쓸 때 더 많이 얻을 수 있는 게 사랑이다. 즉, 사랑은 노력의 산물이다. 물론 연애 시절 잠깐의 찌릿한 사랑을 결혼 내내 지속하기란 쉽지 않다. 그렇다고 전혀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당연히 동일한 환경에서 동일한 자극의 효과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 결혼 후에도 계속 열정적일 수만 있다면 그건 무지 행복한 일이다. 하지만 우리는 생물학적으로도 그렇고, 외부환경적으로도 그렇고 그냥 가만히 있으면서도 그러한 열정을 가질 수는 없다. 부부가 서로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인위적으로라도 열정을 만들어내려고 하지 않으면 열정은 사라지게 마련이다.
사랑의 유통기한은 18~30개월? 사랑을 두뇌의 화학적 작용이라고 해석하는 학자도 있다. 실제로 상대방에게 호감을 느끼면 대뇌에서 신경전달 물질인 도파민이 만들어지는데, 이 때문에 상대를 보면 가슴 떨리고 흥분되며 행복감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사랑에 빠지면 중추신경을 자극하는 천연각성제인 페닐에틸아민이 만들어진다. 이것이 격정과 열정을 생산한다고도 한다. 그밖에도 여러 가지 화학적 작용이 대뇌에서 이뤄져 각종 호르몬이 분비된다. 안타깝게도 18~30개월여 정도가 되면 대뇌에 항체가 생겨서 더 이상 이러한 화학물질이 생성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럼 정녕 사랑의 유통기간이 2년여 정도에 불과하단 말인가?
물론 설득력 있고 근거 있는 얘기다. 실제로 과학적 근거도 있으니 무작정 의심하거나 아니라고 항변하는 것도 한계가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사랑의 유통기한을 2년여로 정한다는 것은 다소 무리가 따른다. 부부가 살다보면 연애 시절처럼 설레는 마음이 퇴색되어버리는 건 당연하다. 그렇다고 그걸 사랑이 식고, 정으로만 산다고 한다는 건 지나친 해석일 것이다.
결혼 후 변하는 게 정상인가? 부부들이 결혼한 뒤 가장 많이 하거나 듣는 얘기가, '연애 때는 어땠는데 결혼하고선 어떻게 변했다'는 얘기일 것이다. 과연 우리는 결혼 후 정말 변했는가? 변했다면 뭐가 변했을까? 정작 변한 것은 서로에 대한 관심이 아닐까. 연애할 때는 매일 만나 외식도 하고, 카페에도 들르고, 극장이나 공연장에도 자주 가고, 여행도 자주 가려고 한다. 그러나 결혼만 하고 나면 연애 때의 라이프 스타일은 온데간데 없어진다. 물론 서로 맞벌이하다보면 시간도 없고 몸도 피곤하고, 또 집안일도 해야한다는 등의 핑계를 댄다. 연애 때는 그보다 더 어려운 상황에서도 매일 만나려고 하지 않았던가? 데이트하기 더 어려운 환경에서도 악착같이 했는데, 왜 환경이 훨씬 개선된 부부 사이에 데이트가 어려운 일이 되어버리는 것일까?
연애 때나 신혼 때는 섹스도 정열적으로 자주 하다가, 세월이 지나면서 섹스도 시들해진다. 농담삼아 어찌 가족과 섹스를 하겠냐고도 한다. 맞다. 남녀가 만나 결혼하면 연인에서 가족이 되어버리는 게 현실이다. 왜냐고? 결혼한 부부들은 돈이나 집, 자녀 교육에 우선적으로 관심을 둔다. 부부 사이 문제는 관심 순위에서 하위로 밀려나기 때문이다. 결혼하면 더 이상 아내가 여자가 아니고, 남편이 남자가 아니고, 그냥 가족일 뿐이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결혼하면 다 그래'라는 식으로 변명과 핑계를 대서 뭐하겠는가? 부부간 데이트는 돈이 많아서, 아니면 시간이 많아서 하는 게 아니다. 서로에 대한 관심과 배려만 있으면 할 수 있는 것이다.
같은 나이라도 결혼한 사람과 연애 중인 사람은 표정부터 다르다. 사랑을 하면 예뻐진다고들 한다. 예뻐지려고 화장품도 많이 쓰고, 살도 뺀다. 부부간에도 연애하듯 살면 특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계속 예뻐진다.
속는 셈치고 부부 사이에 연애를 시작해보라. 내 남편을 아저씨로, 내 아내를 아줌마로 만들기 싫다면 부부 사이 연애를 뜨겁게 하라. 연애하는 사람은 표정도 밝고 매사 활기차며, 또 더 젊어지니까~.
당연히 동일한 환경에서 동일한 자극의 효과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 결혼 후에도 계속 열정적일 수만 있다면 그건 무지 행복한 일이다. 하지만 우리는 생물학적으로도 그렇고, 외부환경적으로도 그렇고 그냥 가만히 있으면서도 그러한 열정을 가질 수는 없다. 부부가 서로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인위적으로라도 열정을 만들어내려고 하지 않으면 열정은 사라지게 마련이다.
사랑의 유통기한은 18~30개월? 사랑을 두뇌의 화학적 작용이라고 해석하는 학자도 있다. 실제로 상대방에게 호감을 느끼면 대뇌에서 신경전달 물질인 도파민이 만들어지는데, 이 때문에 상대를 보면 가슴 떨리고 흥분되며 행복감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사랑에 빠지면 중추신경을 자극하는 천연각성제인 페닐에틸아민이 만들어진다. 이것이 격정과 열정을 생산한다고도 한다. 그밖에도 여러 가지 화학적 작용이 대뇌에서 이뤄져 각종 호르몬이 분비된다. 안타깝게도 18~30개월여 정도가 되면 대뇌에 항체가 생겨서 더 이상 이러한 화학물질이 생성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럼 정녕 사랑의 유통기간이 2년여 정도에 불과하단 말인가?
물론 설득력 있고 근거 있는 얘기다. 실제로 과학적 근거도 있으니 무작정 의심하거나 아니라고 항변하는 것도 한계가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사랑의 유통기한을 2년여로 정한다는 것은 다소 무리가 따른다. 부부가 살다보면 연애 시절처럼 설레는 마음이 퇴색되어버리는 건 당연하다. 그렇다고 그걸 사랑이 식고, 정으로만 산다고 한다는 건 지나친 해석일 것이다.
결혼 후 변하는 게 정상인가? 부부들이 결혼한 뒤 가장 많이 하거나 듣는 얘기가, '연애 때는 어땠는데 결혼하고선 어떻게 변했다'는 얘기일 것이다. 과연 우리는 결혼 후 정말 변했는가? 변했다면 뭐가 변했을까? 정작 변한 것은 서로에 대한 관심이 아닐까. 연애할 때는 매일 만나 외식도 하고, 카페에도 들르고, 극장이나 공연장에도 자주 가고, 여행도 자주 가려고 한다. 그러나 결혼만 하고 나면 연애 때의 라이프 스타일은 온데간데 없어진다. 물론 서로 맞벌이하다보면 시간도 없고 몸도 피곤하고, 또 집안일도 해야한다는 등의 핑계를 댄다. 연애 때는 그보다 더 어려운 상황에서도 매일 만나려고 하지 않았던가? 데이트하기 더 어려운 환경에서도 악착같이 했는데, 왜 환경이 훨씬 개선된 부부 사이에 데이트가 어려운 일이 되어버리는 것일까?
연애 때나 신혼 때는 섹스도 정열적으로 자주 하다가, 세월이 지나면서 섹스도 시들해진다. 농담삼아 어찌 가족과 섹스를 하겠냐고도 한다. 맞다. 남녀가 만나 결혼하면 연인에서 가족이 되어버리는 게 현실이다. 왜냐고? 결혼한 부부들은 돈이나 집, 자녀 교육에 우선적으로 관심을 둔다. 부부 사이 문제는 관심 순위에서 하위로 밀려나기 때문이다. 결혼하면 더 이상 아내가 여자가 아니고, 남편이 남자가 아니고, 그냥 가족일 뿐이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결혼하면 다 그래'라는 식으로 변명과 핑계를 대서 뭐하겠는가? 부부간 데이트는 돈이 많아서, 아니면 시간이 많아서 하는 게 아니다. 서로에 대한 관심과 배려만 있으면 할 수 있는 것이다.
같은 나이라도 결혼한 사람과 연애 중인 사람은 표정부터 다르다. 사랑을 하면 예뻐진다고들 한다. 예뻐지려고 화장품도 많이 쓰고, 살도 뺀다. 부부간에도 연애하듯 살면 특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계속 예뻐진다.
속는 셈치고 부부 사이에 연애를 시작해보라. 내 남편을 아저씨로, 내 아내를 아줌마로 만들기 싫다면 부부 사이 연애를 뜨겁게 하라. 연애하는 사람은 표정도 밝고 매사 활기차며, 또 더 젊어지니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