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去之惡 아닌 7그之善!!!
페이지 정보
작성자 뽕킴 댓글 0건 조회 1,144회 작성일 10-08-18 13:28
본문
칠거지악(七去之惡)은 과거 중국, 한국 등 유교문화권에서 남편의 일방적인 의사표시로 아내와 이혼할 수 있는 일곱 가지 이유를 말합니다.
글자 그대로는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일곱가지 잘못'이라는 뜻이죠. 《공자가어》에 처음으로 이런 내용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데, 여성 회원님들 예전에 태어나지 않으신게 참으로 다행인 것을 알수 있죠?
우리의 선대 할머니들은 어처구니없는 수모를 당하셨다는 걸 다음 내용을 읽어 보시면 새삼 깨닫게 됩니다.
글자 그대로는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일곱가지 잘못'이라는 뜻이죠. 《공자가어》에 처음으로 이런 내용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데, 여성 회원님들 예전에 태어나지 않으신게 참으로 다행인 것을 알수 있죠?
우리의 선대 할머니들은 어처구니없는 수모를 당하셨다는 걸 다음 내용을 읽어 보시면 새삼 깨닫게 됩니다.
• 시부모에게 순종하지 않음 (不順父母)
• 아들이 없음 (無子)
• 음탕함 (不貞)
• 질투함 (嫉妬)
• 나쁜 병이 있음 (惡疾)
• 말이 많음 (多言)
• 도둑질을 함 (竊盜)
질투는 그렇다 치더라도, 말이 많다고 집에서 쫓겨나야 했다면 얼마나 비인간적입니까.
<7그之善>이란 <그>자로 시작되는 7가지 선한 행동을 말합니다.
1. 그러려니
*이제 나이가 들면 웬만한 일엔 화를 내거나 흥분해서는 안됩니다.
남편이나 부인이 잔소리를 해도 한귀로 듣고 바로 한귀로 흘려야 무병장수할수 있습니다.
차를 몰고 가다, 옆차의 젊은이와 차선 변경때 다툼 요소가 있더라도 같이 삿대질을 하지 마시고, “나도 예전엔 그랬었지…”하며 지나치세요.
*이제 나이가 들면 웬만한 일엔 화를 내거나 흥분해서는 안됩니다.
남편이나 부인이 잔소리를 해도 한귀로 듣고 바로 한귀로 흘려야 무병장수할수 있습니다.
차를 몰고 가다, 옆차의 젊은이와 차선 변경때 다툼 요소가 있더라도 같이 삿대질을 하지 마시고, “나도 예전엔 그랬었지…”하며 지나치세요.
2. 그리하셔
*남편이나 부인이 무얼 하자고 제의할 때, 특별한 일이 없으면 하자는 대로 하는 게 건강에, 부부금실에 특효약입니다 ㅎㅎ
*남편이나 부인이 무얼 하자고 제의할 때, 특별한 일이 없으면 하자는 대로 하는 게 건강에, 부부금실에 특효약입니다 ㅎㅎ
3. 그럼 그럼
*저도 참 오랜 버릇을 고치기가 힘든데, 아내가 이야기를 오래할 때 그걸 못참고 신문을 보거나 텔레비전을 시청하게 됩니다.
그럴 땐, “이, 인간이!!!” 하며 바로 직사포가 날라오죠(안 날라온다면 1004와 아니, 1004는 아니더라도 904나 804와 사시네요 ㅋㅋ).
신문이나 텔레비전은 잠시 있다 보더라도 아내가 이야기 끝날때까지 경청하며, “그럼, 그럼~”하며 맞장구를 치는 게 노후를 편안하게 보낼수 있습니다.
*저도 참 오랜 버릇을 고치기가 힘든데, 아내가 이야기를 오래할 때 그걸 못참고 신문을 보거나 텔레비전을 시청하게 됩니다.
그럴 땐, “이, 인간이!!!” 하며 바로 직사포가 날라오죠(안 날라온다면 1004와 아니, 1004는 아니더라도 904나 804와 사시네요 ㅋㅋ).
신문이나 텔레비전은 잠시 있다 보더라도 아내가 이야기 끝날때까지 경청하며, “그럼, 그럼~”하며 맞장구를 치는 게 노후를 편안하게 보낼수 있습니다.
4. 그래 당신 말이 맞아
*이것도 3번과 같은 내용입니다.
*이것도 3번과 같은 내용입니다.
5. 그러게 말이야
*아내가 옆집 여자의 흉을 볼 때, “그사람도 그럴 사정이 있겠지”하며 편을 들어서는 큰일납니다.
“그러게 말이야. 당신 행동이 맞아~”라고 쿵짝을 해야죠.
*아내가 옆집 여자의 흉을 볼 때, “그사람도 그럴 사정이 있겠지”하며 편을 들어서는 큰일납니다.
“그러게 말이야. 당신 행동이 맞아~”라고 쿵짝을 해야죠.
6. 그게 좋겠네
*2번과 일맥상통한 거지만, 친구들끼리 무엇을 결정할 때,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좋은게 좋다”고 대의를 따르는 게 우정에 금가지 않은 일입니다.
물론, “이런들 어떠리 저런들 어떠리~만사~흥~”해서는 안되지만, 나이가 들수록 이것 저것 따지는 건 몸에 해롭습니다.
*2번과 일맥상통한 거지만, 친구들끼리 무엇을 결정할 때,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좋은게 좋다”고 대의를 따르는 게 우정에 금가지 않은 일입니다.
물론, “이런들 어떠리 저런들 어떠리~만사~흥~”해서는 안되지만, 나이가 들수록 이것 저것 따지는 건 몸에 해롭습니다.
7. 그러면 좋지
*6번과 비슷한 내용입니다. 웬만하면 양보의 미덕을 발휘하자는 의도입니다.
주위 사람들에게 이런 운동을 펼치면 좋은데, 특히 부부간은 더더욱 강조해야 할 덕목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