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적 교류의 세가지 유형
페이지 정보
작성자 베이질 댓글 0건 조회 805회 작성일 11-07-26 23:39
본문
부부가 나누는 정서적 교류에는 세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1. 다가가기 (Turning toward)
서로 긍정적인 감정(관심, 애정)을 표현하고 나누고자 하는 여러 가지 시도들을 주고 받고, 서로가 이에 대해 진심으로 반응해 주는 것
; 나는 당신의 말을 잘 듣고 있어요.
; 나는 당신에게 관심이 있어요.
; 나는 당신을 이해해요.
; 나는 당신을 돕고 싶어요.
; 나는 당신을 믿어요.
이 반응에는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담겨져 있는 것이다
; 나는 당신의 말을 잘 듣고 있어요.
; 나는 당신에게 관심이 있어요.
; 나는 당신을 이해해요.
; 나는 당신을 돕고 싶어요.
; 나는 당신을 믿어요.
이러한 반응들은 결국 더 많은 시도들을 이끌어내게 되고 관계를 성장하고 발전하게 한다.
평상시에 서로 긍정적인 감정을 주고받고자 하는 시도들을 많이 해 온 부부, 진심으로 대하는 부부들은 그렇지 않은 부부들에 비해서 많은 애정 예금을 가지고 있다.
부부가 강한 스트레스를 받아 폭풍에 휩싸이고 흔들려도 이 예금은 강한 방패막이가 된다.
평상시에 서로 긍정적인 감정을 주고받고자 하는 시도들을 많이 해 온 부부, 진심으로 대하는 부부들은 그렇지 않은 부부들에 비해서 많은 애정 예금을 가지고 있다.
부부가 강한 스트레스를 받아 폭풍에 휩싸이고 흔들려도 이 예금은 강한 방패막이가 된다.
예1 )
아내 : 자기야 명절이라 가긴 가는데, 가슴까지 답답하네.
남편 : 요즘 일때문에 스트레스도 많이 받는데, 힘들지?
내가 천천히 조용조용 운전 할테니까 자긴 좀 자, 어머님 한텐 차 막혀서 늦었다고 다고 둘러대지 뭐
(사실 대한민국에 사실 이런 남자 별로 없죠?..-_-)
아내 : 자기야 명절이라 가긴 가는데, 가슴까지 답답하네.
남편 : 요즘 일때문에 스트레스도 많이 받는데, 힘들지?
내가 천천히 조용조용 운전 할테니까 자긴 좀 자, 어머님 한텐 차 막혀서 늦었다고 다고 둘러대지 뭐
(사실 대한민국에 사실 이런 남자 별로 없죠?..-_-)
예 2)
남편 : 와! 저차 멋있다. 그치? 내가 저거 한대 사 줄까?
아내 : 와~ 멋있다, 우리 자기 앞으로 팍팍 밀어 줘야겠네?
남편 : 와! 저차 멋있다. 그치? 내가 저거 한대 사 줄까?
아내 : 와~ 멋있다, 우리 자기 앞으로 팍팍 밀어 줘야겠네?
2. 외면하기(Turning away)
상대방에게 관심을 끌고 감정적인 연결시도를 하려는 시도에 대해 반응을 안보이고
전혀 딴 얘기를 하는 것
가장 빨리 이혼을 하게 만드는 반응이다
전혀 딴 얘기를 하는 것
가장 빨리 이혼을 하게 만드는 반응이다
이것들은 모두 다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담고 있다
; 나는 당신이 관심을 보이는 것들에 별 관심이 없다
; 나는 당신과 이런저런 것들을 나누기를 원치 않는다.
; 나는 너무 바쁘고 마음에 여유가 없다.
; 당신이 원하는 것 보다 나는 좀더 자유롭고 독립적이고 싶다.
; 나는 당신이 관심을 보이는 것들에 별 관심이 없다
; 나는 당신과 이런저런 것들을 나누기를 원치 않는다.
; 나는 너무 바쁘고 마음에 여유가 없다.
; 당신이 원하는 것 보다 나는 좀더 자유롭고 독립적이고 싶다.
남편들의 경우는 대개 무심해서 그런 경우가 많은데 이때 아내가 얼마나 마음이 상하고 상처받는지, 이런 행동들이 둘 사이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차 의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예 1)
아내 : 자기야 명절이라 가긴 가는데 가슴까지 답답하네
남편 : 어머님 아버님 드릴 용돈 잘 챙겼지? (전혀 아내의 말에 관심 없음)
아내 : 자기야 명절이라 가긴 가는데 가슴까지 답답하네
남편 : 어머님 아버님 드릴 용돈 잘 챙겼지? (전혀 아내의 말에 관심 없음)
예 2)
남편 : 와! 저차 멋있다. 그치? 내가 저거 한대 사 줄까?
아내 : 근데, 이 길이 맞는거야?
남편 : 와! 저차 멋있다. 그치? 내가 저거 한대 사 줄까?
아내 : 근데, 이 길이 맞는거야?
3. 시비걸기(Turning Aganist)
상대방의 여러 가지 시도들에 대해서 도전적이고 비꼬거나 비웃고 등의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경우
서로 감정적으로 멀어진 부부들의 경우 습관적으로 은연중에 이런 반응을 반복적으로 한다.
서로 감정적으로 멀어진 부부들의 경우 습관적으로 은연중에 이런 반응을 반복적으로 한다.
이 메시지들은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보낸다
; 나는 당신에게 화가 나있다.
; 나는 당신을 존중하지 않는다.
; 나는 당신과의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 나는 당신에게 상처주고 싶고 멀리 떠나고 싶다.
; 당신에게 관심을 보이라는 요구가 나를 화나게 한다.
; 나는 당신에게 화가 나있다.
; 나는 당신을 존중하지 않는다.
; 나는 당신과의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 나는 당신에게 상처주고 싶고 멀리 떠나고 싶다.
; 당신에게 관심을 보이라는 요구가 나를 화나게 한다.
예)
아내 : 자기야~ 명정이라 가긴 가는데 가슴까지 답답하네
남편 : 거, 일년에 한두번 있는 명절인데 좋은 기분으로 못가냐? 대한 민국에 너만 혼자 일하냐?!!
아내 : 자기야~ 명정이라 가긴 가는데 가슴까지 답답하네
남편 : 거, 일년에 한두번 있는 명절인데 좋은 기분으로 못가냐? 대한 민국에 너만 혼자 일하냐?!!
예 2)
남편 : 와! 저차 멋있다. 그치? 내가 저거 한대 사 줄까?
아내 : 돈이 어디서 떨어져? 주제를 알셔야지~
남편 : 와! 저차 멋있다. 그치? 내가 저거 한대 사 줄까?
아내 : 돈이 어디서 떨어져? 주제를 알셔야지~
이상 세가지 정서적 교류의 유형을 설명 드렸습니다.
재미있게도 시비걸기를 자주 하는 부부는 외면하기보다는 더 늦게 헤어진다고 합니다,
오랫동안 싸우며 서서히 멀어지기 때문입니다
재미있게도 시비걸기를 자주 하는 부부는 외면하기보다는 더 늦게 헤어진다고 합니다,
오랫동안 싸우며 서서히 멀어지기 때문입니다
갈등상황에서는 아내의 유머, 관심, 애정, 등과 같은 긍정적인 반응이
남편이 차분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남편이 차분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평상시에는 남편의 다가가기(turning toward)가 필요하고,
갈등시에는 아내의 시비걸기(turning away)를 하지 않는것이 중요합니다
갈등시에는 아내의 시비걸기(turning away)를 하지 않는것이 중요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