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도 후 부부관계 회복하기 - 워크샵 참석 후
페이지 정보
작성자 베이질 댓글 0건 조회 997회 작성일 11-07-26 23:59
본문
세계적인 외도치료 전문가인 Taxas A&M 대학교
심리학과 스나이더 교수의 ‘외도 후 부부관계 회복하기’ 주제의 워크샵이 있었다.
심리학과 스나이더 교수의 ‘외도 후 부부관계 회복하기’ 주제의 워크샵이 있었다.
그의 모델을 간단히 살펴보자.
그의 회복모델은..
1단계로 외도 충격을 조절하고 완화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무슨 일이 있었는지에 대한 이해,
2단계로 외도에 기여한 관계적 요인과 상황적인 요인을 살피고, 새로운 가정들을 설정하였다.
외도로 인해 단절된 부부관계를 살피고 관계회복을 위한 노력들에 관심을 기울인다.
배우자의 외도로 상처입은 배우자는 “왜 외도를 하였나?”에 초점을 맞추게 되는 점에서 한 발 나아가 배우자가 외도를 하도록 기여한 자신의 요인에도 초점을 맞춘다.
외도를 한 배우자는 상처입은 배우자가 보이는 ‘플레시백 - 외도 상황을 지속적으로 떠올리는 것’에 대해서 일체의 언급을 삼가하고 외도로 인한 결과로 상처주고 싶지 않다는 않는 일반적인 반응을 보인다. 상처를 준 행동에 대해서 충분히 설명하고 자신에 대한 보다 적절한 관점을 가지도록 한다.
부부로서의 안정감을 찾기, 각자의 욕구를 인식하기, 건설적인 변화를 통해 취약성을 감소시키기 등
외도로 인해 부부가 변화시켜야 할 부분들을 주목한다.
배우자의 외도로 상처입은 배우자는 “왜 외도를 하였나?”에 초점을 맞추게 되는 점에서 한 발 나아가 배우자가 외도를 하도록 기여한 자신의 요인에도 초점을 맞춘다.
외도를 한 배우자는 상처입은 배우자가 보이는 ‘플레시백 - 외도 상황을 지속적으로 떠올리는 것’에 대해서 일체의 언급을 삼가하고 외도로 인한 결과로 상처주고 싶지 않다는 않는 일반적인 반응을 보인다. 상처를 준 행동에 대해서 충분히 설명하고 자신에 대한 보다 적절한 관점을 가지도록 한다.
부부로서의 안정감을 찾기, 각자의 욕구를 인식하기, 건설적인 변화를 통해 취약성을 감소시키기 등
외도로 인해 부부가 변화시켜야 할 부분들을 주목한다.
3단계는 ‘앞으로 나아가기’를 통해 용서도 하고 회복에 장애가 되는 위험들을
부부가 줄여나가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편지도 쓰고...
이 과정에서 또 하나, 아이들을 돌보는 것과 가정을 잘 관리하는 것 중요하다는 것도...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외도를 해도
‘내 배우자만은 아닐 것이다’라는 믿음은 삶을 완전히 흔들어놓기에
외도의 상처는 분명히 외상(Trauma)인 것이다.
‘내 배우자만은 아닐 것이다’라는 믿음은 삶을 완전히 흔들어놓기에
외도의 상처는 분명히 외상(Trauma)인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