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ttman 박사의 행복한 부부에 대한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자 베이질 댓글 0건 조회 812회 작성일 11-07-26 23:51
본문
최근 몇몇 전문가들이 행복하게 잘 사는 부부를 직접 관찰하고 면담하는 실험을 통해 그들의 특징을 알아내려는 시도를 했다. 워싱턴 대학의 고트만(Gottman) 박사도 그 중 한 사람이다. 고트만 박사는 워싱턴 주 시애틀 시 외곽에 ‘애정연구소’라는 실험실을 차리고 주말마다 그 곳을 찾아오는 수많은 부부를 상담하고 관찰하는 작업을 10년 이상 하였다.
그의 연구가 지금도 많은 부부전문가들에게 참고와 인용이 되고 있는 이유는 그가 한 작업이 불행한 부부 행복한 부부를 포함한 수많은 샘플 부부들을 대상으로 철저하게 객관적인 관찰과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이루어진 연구이기 때문이다. 그전에도 부부 관계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과 지혜로운 조언을 해주던 전문가는 많이 있었지만, 그들의 자료는 대개 이혼 직전의 불행한 부부를 상담하고 얻어낸 것들 이었다. 사실 대부분의 상담가들이 하는 조언은 이렇듯 그들의 주관적인 경험을 통해 깨달은 일종의 믿음이자 가설인 셈이다. 그러나 고트만 박사의 연구는 이러한 믿음과 가설이 실제로 그러한지 아니지를 입증하기 위한 과학적인 시도였던 셈이다. 그는 ‘애정연구소’라는 집에 몰래 카메라를 각방마다 설치하고는, 부부가 그곳에서 실제로 일상생활을 함께 하는 모습, 대화하는 모습, 부부싸움 하는 모습, 등을 비디오로 일일이 다 찍었다. 그리고 찍은 비디오 테이프를 몇 번이고 반복하여 관찰하면서, 부부들의 행동 패턴, 얼굴표정, 몸짓, 제스쳐, 목소리 톤, 사용하는 말이나 단어, 등을 세밀히 분석하였다. 또한 부부가 평화로울 때와 부부가 싸울 때의 심박동수, 혈압, 근육긴장도, 땀분비량, 같은 것들을 측정하면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도 비교 분석하였다. 이렇게 행복한 부부의 특징, 불행한 부부의 특징이라는 가설을 과학적으로 알아보기 위한 연구였으니, 당연히 많은 부부전문가들은 그의 연구결과에 관심을 안 가질 수가 없었다.
헌데 실로 헤아릴 수 없이 방대한, 그 많은 양의 자료들을 과학적으로 분석한 뒤, 고트만 박사는 허무하게도 행복한 부부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간단명료하게 발표하였다.
‘행복한 부부는 서로 긍정적인 감정(애정, 우정, 친밀감, 성적인 끌림, 이해와 인정, 관심, 존경, 헌신)을 많이 갖고 있다.’
그의 연구가 지금도 많은 부부전문가들에게 참고와 인용이 되고 있는 이유는 그가 한 작업이 불행한 부부 행복한 부부를 포함한 수많은 샘플 부부들을 대상으로 철저하게 객관적인 관찰과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이루어진 연구이기 때문이다. 그전에도 부부 관계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과 지혜로운 조언을 해주던 전문가는 많이 있었지만, 그들의 자료는 대개 이혼 직전의 불행한 부부를 상담하고 얻어낸 것들 이었다. 사실 대부분의 상담가들이 하는 조언은 이렇듯 그들의 주관적인 경험을 통해 깨달은 일종의 믿음이자 가설인 셈이다. 그러나 고트만 박사의 연구는 이러한 믿음과 가설이 실제로 그러한지 아니지를 입증하기 위한 과학적인 시도였던 셈이다. 그는 ‘애정연구소’라는 집에 몰래 카메라를 각방마다 설치하고는, 부부가 그곳에서 실제로 일상생활을 함께 하는 모습, 대화하는 모습, 부부싸움 하는 모습, 등을 비디오로 일일이 다 찍었다. 그리고 찍은 비디오 테이프를 몇 번이고 반복하여 관찰하면서, 부부들의 행동 패턴, 얼굴표정, 몸짓, 제스쳐, 목소리 톤, 사용하는 말이나 단어, 등을 세밀히 분석하였다. 또한 부부가 평화로울 때와 부부가 싸울 때의 심박동수, 혈압, 근육긴장도, 땀분비량, 같은 것들을 측정하면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도 비교 분석하였다. 이렇게 행복한 부부의 특징, 불행한 부부의 특징이라는 가설을 과학적으로 알아보기 위한 연구였으니, 당연히 많은 부부전문가들은 그의 연구결과에 관심을 안 가질 수가 없었다.
헌데 실로 헤아릴 수 없이 방대한, 그 많은 양의 자료들을 과학적으로 분석한 뒤, 고트만 박사는 허무하게도 행복한 부부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간단명료하게 발표하였다.
‘행복한 부부는 서로 긍정적인 감정(애정, 우정, 친밀감, 성적인 끌림, 이해와 인정, 관심, 존경, 헌신)을 많이 갖고 있다.’
물론 아무리 행복한 부부라도 부정적인 감정(불만, 화, 미움, 원망, 서운함, 무시, 비난, 경멸 모욕)을 전혀 경험하지 않는 것은 아닐 것이다. 항상 두 사람의 모든 욕구와 관심이 다 충족될 수는 없는 노릇이니 말이다. 그래서 그들 역시 불만족감이 생기고 갈등이 생기면 부부싸움을 하고, 서로 미워하고 화를 내면서 긍정적인 감정을 조금씩 잃어 가는 자연스러운 과정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헌데 많은 불행한 부부가 자신들의 욕구와 관심이 계속 충족되지 않으면서 생기는 부정적인 감정의 범람에 휩쓸려 점점 안 좋은 방향으로 떠내려가는 것과는 달리, 행복한 부부는 부정적인 감정을 줄이고 긍정적인 감정을 늘리는 상호작용을 필사적으로, 혹은 자연스럽게, 혹은 마술과도 같이 신기하게 실천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들 행복한 부부 사이에서 일어나는 이 상호작용(Interaction)의 비밀은
‘1) 평상시에 긍정적인 감정을 많이 저축하고,
2)갈등이 생겼을 때는 부정적인 감정이 덜 생기게끔 하는 부부 싸움을 할 줄 알고 있었으며,
또 3)갈등이 생겼을 때에도 오히려 긍정적인 감정이 생기게끔 하는 것이었다.’
이들 행복한 부부 사이에서 일어나는 이 상호작용(Interaction)의 비밀은
‘1) 평상시에 긍정적인 감정을 많이 저축하고,
2)갈등이 생겼을 때는 부정적인 감정이 덜 생기게끔 하는 부부 싸움을 할 줄 알고 있었으며,
또 3)갈등이 생겼을 때에도 오히려 긍정적인 감정이 생기게끔 하는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행복한 부부는 긍정적인 감정을 더 많이 경험하고, 부정적인 감정은 가능하면 적게 경험한다는 이야기이다. 여기서 고트만 박사의 실험 결과를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행복한 부부가 경험하는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의 비율은 5:1이었고, 이혼을 앞 둔 불행한 부부가 경험하는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의 비율은 1: 1.25였다.
이러한 비율이 얼마나 정확한지에 대해 여러 가지 이견이 있기는 하지만 중요한 것은 부부 사이에서는 긍정적인 감정이 훨씬 많이 경험되어져야 행복한 부부라고 할 수 있고, 부정적인 감정이 긍정적인 감정보다 조금만 더 많아져도 부부는 함께 살기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이는 우리의 인간관계라고 하는 것이 긍정적인 감정보다 부정적 감정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두 사람 사이에 부정적인 감정이 조금만 더 많아져도 인간은 함께 지내기가 괴로워지는 것이다. 그래서 사회생활을 하면서 부정적인 감정이 더 많이 느껴지는 사람은 아무래도 피하게 된다. 어쩔 수 없이 같이 있어야 할 경우에라도 우리는 그런 사람에 대해 사무적으로 대하거나, 건성으로 대답하거나, 가급적이면 눈길이라도 외면하게 된다. 그런데 부부는 부정적인 감정이 더 많을 때도 아침에 같이 밥을 먹어야 하고, 밤에 같이 잠자리에 들어가야 하고, 수시로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해야 하니 점점 더 불편해지고, 점점 더 원수가 되어가는 것이다.
이러한 비율이 얼마나 정확한지에 대해 여러 가지 이견이 있기는 하지만 중요한 것은 부부 사이에서는 긍정적인 감정이 훨씬 많이 경험되어져야 행복한 부부라고 할 수 있고, 부정적인 감정이 긍정적인 감정보다 조금만 더 많아져도 부부는 함께 살기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이는 우리의 인간관계라고 하는 것이 긍정적인 감정보다 부정적 감정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두 사람 사이에 부정적인 감정이 조금만 더 많아져도 인간은 함께 지내기가 괴로워지는 것이다. 그래서 사회생활을 하면서 부정적인 감정이 더 많이 느껴지는 사람은 아무래도 피하게 된다. 어쩔 수 없이 같이 있어야 할 경우에라도 우리는 그런 사람에 대해 사무적으로 대하거나, 건성으로 대답하거나, 가급적이면 눈길이라도 외면하게 된다. 그런데 부부는 부정적인 감정이 더 많을 때도 아침에 같이 밥을 먹어야 하고, 밤에 같이 잠자리에 들어가야 하고, 수시로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해야 하니 점점 더 불편해지고, 점점 더 원수가 되어가는 것이다.
=======================================================(박스처리) ====
Gottman 박사의 그 밖의 연구결과
- 남편과 아내의 흥분 상태로 결혼 만족도의 감소를 예측할 수 있었다
즉 부부가 상호 작용을 할 때 남편과 아내의 심박동수, 혈압, 땀이 증가된 결혼생활의
만족도가 떨어지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특히 남편의 흥분 상태가 더 중요한 예측 요인이었다.
- 부부가 상호작용을 할 때의 얼굴 표정이 이혼의 예측요인이 될 수 있었다
즉 아내의 경멸과 혐오가 담긴 얼굴 표정이 나타나고, 남편의 두려움과 궁색한 미소가
담긴 얼굴 표정이 나타나면 두 사람이 이혼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 하였다
- 남편이 아내의 의견을 거부하기 시작하고 아내가 남편에게 부정적인 말로 잔소리를 시작
하면 두 사람이 헤어지는 과정을 시작하였다고 볼 수 있었다.
- 아내가 속상해할 때 남편이 이를 달래주는 데 실패하는 경우, 남편이 화가 났는데 아내가
이를 달래주는데 실패하는 경우도 두 사람이 헤어질 확률이 높다고 하였다
- 행복한 부부의 경우가 남편과 아내가 유머를 통해 서로 심박동수를 낮추고 있었다.
Gottman 박사의 그 밖의 연구결과
- 남편과 아내의 흥분 상태로 결혼 만족도의 감소를 예측할 수 있었다
즉 부부가 상호 작용을 할 때 남편과 아내의 심박동수, 혈압, 땀이 증가된 결혼생활의
만족도가 떨어지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특히 남편의 흥분 상태가 더 중요한 예측 요인이었다.
- 부부가 상호작용을 할 때의 얼굴 표정이 이혼의 예측요인이 될 수 있었다
즉 아내의 경멸과 혐오가 담긴 얼굴 표정이 나타나고, 남편의 두려움과 궁색한 미소가
담긴 얼굴 표정이 나타나면 두 사람이 이혼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 하였다
- 남편이 아내의 의견을 거부하기 시작하고 아내가 남편에게 부정적인 말로 잔소리를 시작
하면 두 사람이 헤어지는 과정을 시작하였다고 볼 수 있었다.
- 아내가 속상해할 때 남편이 이를 달래주는 데 실패하는 경우, 남편이 화가 났는데 아내가
이를 달래주는데 실패하는 경우도 두 사람이 헤어질 확률이 높다고 하였다
- 행복한 부부의 경우가 남편과 아내가 유머를 통해 서로 심박동수를 낮추고 있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