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의 뇌, 똑똑하고 침착하고 행복하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레몬밤 댓글 0건 조회 890회 작성일 11-08-04 23:22
본문
차 키를 들고 한 참동안 차키를 찾아 해멘 적이 있다.
가스렌지에 국을 올려놓고 불 끄는 것을 잊고 한참이나 딴 일을 했던 적이 있다.
누군가의 이름을 듣고도 한동안 생각이 나지 않을 때가 있다. 나는 자주 그런다. 치매인가 의심까지 하면서...
텔레비전에 나온 누군가는 핸드폰을 냉장고에 넣고도 기억하지 못할때가 있었다고 했다.
저장이 아니라 인출이 되지 않는 뇌.... 중년의 뇌다.
가스렌지에 국을 올려놓고 불 끄는 것을 잊고 한참이나 딴 일을 했던 적이 있다.
누군가의 이름을 듣고도 한동안 생각이 나지 않을 때가 있다. 나는 자주 그런다. 치매인가 의심까지 하면서...
텔레비전에 나온 누군가는 핸드폰을 냉장고에 넣고도 기억하지 못할때가 있었다고 했다.
저장이 아니라 인출이 되지 않는 뇌.... 중년의 뇌다.
기존의 노화에 대한 연구와 마찬가지로 나이가 들어간다는 것에 대해서 우리는 회의적이고 부정적인 생각을 할 때가 있지만, 바버라 스트로치(Barbara Strauch)는 중년이 되는 것이 얼마나 훌륭한 뇌를 가질 수 있는지를 이야기하고 있다.
'가장 뛰어난 중년의 뇌'라는 그녀의 책에서는 중년이 되었기에 일상이 얼마나 더 행복할 수 있는지 알려준다.
개인적으로 인상적인 구절도 있었다. 다양하고 폭넓은 중년의 "경험이라는 것이 관절에 쌓이는 것이 아니라 뇌 안에 쌓인다는 사실"이다.
개인적으로 인상적인 구절도 있었다. 다양하고 폭넓은 중년의 "경험이라는 것이 관절에 쌓이는 것이 아니라 뇌 안에 쌓인다는 사실"이다.
재미있는 사실은 나이를 먹으면서 우리가 긍정적인 것에 초점을 더 맞추게 되고 그렇게 하고 싶어 한다는 것이다.
뇌가 감정을 더 잘 통제할 줄 알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뇌의 양쪽 모두를 사용하면서...부정적인 것보다 긍정적인 것을 인식하고 뇌에 저장하면서....
뇌가 감정을 더 잘 통제할 줄 알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뇌의 양쪽 모두를 사용하면서...부정적인 것보다 긍정적인 것을 인식하고 뇌에 저장하면서....
100세를 사는 시대에서 오래사느냐보다 얼마나 오래 제대로 기능하며 행복할 수 있는지는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중년이 행복하고 잘 사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뇌과학자들은 같은 50세여도 70대의 뇌를 가질 것인지, 30대의 뇌를 가질 것인지, 치매에 걸리더라도 삶의 질은 어떠했는지에 대해서 연구해왔다고 한다.
뇌에 어떤 힘을 비축해 둘것인가? any idea?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중년이 행복하고 잘 사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뇌과학자들은 같은 50세여도 70대의 뇌를 가질 것인지, 30대의 뇌를 가질 것인지, 치매에 걸리더라도 삶의 질은 어떠했는지에 대해서 연구해왔다고 한다.
뇌에 어떤 힘을 비축해 둘것인가? any idea?
최근 처럼 많은 심리정신적인 기능들을 뇌과학으로 설명하는 시대에서 어떻게 하면 뇌를 잘 그리고 온전히, 행복하게 보존하고 지킬 것인가가? 하는 것이 관건이 된다.
노년에도 젊은이 못지않는 창조성을 갖는 것, 평생에 걸쳐 '교육(인지적 자극)'을 받는 것, 많이 걷고 운동하는 것, 만날 친구가 있는 것, 영양을 조절하는 것, 좋은 경험을 많이 하는 것 등 소개가 되기도 한다. 이런 것들로 중년의 뇌를 더욱 똑똑하고 건강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한가지 더, 긍정적인 것을 만이 생각하는 것도 포함된다.
뇌가 나이가 들면서 똑똑해진다는 사실을 발견해보자.
아무리 복잡한 문제가 있어도 쉽게 해결책을 찾을 수 있지 않겠는가?
지금이야 말로 중년인 우리의 뇌에 좀 더 관심을 가져볼 시기가 아닌가 한다.
40세 이상?
뇌가 나이가 들면서 똑똑해진다는 사실을 발견해보자.
아무리 복잡한 문제가 있어도 쉽게 해결책을 찾을 수 있지 않겠는가?
지금이야 말로 중년인 우리의 뇌에 좀 더 관심을 가져볼 시기가 아닌가 한다.
40세 이상?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